• 제목/요약/키워드: short answer questions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7초

Conceptual Graph Matching Method for Reading Comprehension Tests

  • Zhang, Zhi-Chang;Zhang, Yu;Liu, Ting;Li, She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7권4호
    • /
    • pp.419-430
    • /
    • 2009
  • Reading comprehension (RC) systems are to understand a given text and return answers in response to questions about the text. Many previous studies extract sentences that are the most similar to questions as answers. However, texts for RC tests are generally short and facts about an event or entity are often expressed in multiple sentences. The answers for some questions might be indirectly presented in the sentences having few overlapping words with the questions. This paper proposes a conceptual graph matching method towards RC tests to extract answer strings. The method first represents the text and questions as conceptual graphs, and then extracts subgraphs for every candidate answer concept from the text graph. All candidate answer concepts will be scored and ranked according to the matching similarity between their sub-graphs and question graph. The top one will be returned as answer seed to form a concise answer string. Since the sub-graphs for candidate answer concepts are not restricted to only covering a single sentence, our approach improved the performance of answer extraction on the Remedia test data.

데이터베이스 강의 관리 자동화 시스템 (Automatic Database Lecture Management System)

  • 허태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67-274
    • /
    • 2014
  • 컴퓨터를 활용한 강의 지원시스템은 오래전부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완벽한 강의지원이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대학 강의에 적합한 온라인 강의지원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개발 시스템은 대학에서의 데이터베이스과목 관리에 목표를 두고 주로 시험과 채점관리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었다. 강의관리를 위한 출석관리, 리포트관리, 퀴즈와 같은 수시시험관리 및 정규(중간, 기말)고사의 실시 및 채점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시험의 경우 객관식, 주관식, 단답식 그리고 SQL로 나누어 개발되었다. 특히 SQL의 경우 구분분석을 통해 채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채점관리에 주력하였다. 주관식 및 단답형의 경우는 수작업을 통한 채점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이 모든 과정을 학생 스스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채점과 관련한 문제를 해소하도록 하였다.

기계학습 분류기의 예측확률과 만장일치를 이용한 한국어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시스템 (Automated Scoring System for Korean Short-Answer Questions Using Predictability and Unanimity)

  • 천민아;김창현;김재훈;노은희;성경희;송미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5권11호
    • /
    • pp.527-534
    • /
    • 2016
  • 최근 정보화 사회에서는 단순 암기보다는 문제 해결 능력과 종합적인 사고력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인재를 요구한다. 이에 따라 교육과정도 학생들의 종합적인 사고력을 판단할 수 있는 서답형 문항을 늘리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 그러나 서답형 문항의 경우 채점자의 주관에 의존하여 채점이 진행되기 때문에, 채점 결과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런 점을 해결하기 위해 해외에서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자동채점 시스템을 채점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 한국어는 영어와 언어학적으로 다른 분류에 속하므로 영어권에서 사용하는 자동채점 시스템을 한국어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한국어 체계에 맞는 자동채점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계학습 분류기의 예측확률과 만장일치 방법을 사용한 한국어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시스템을 소개하고, 자동채점 시스템을 이용한 채점 결과와 교과 전문가의 채점 결과를 비교하여 자동채점 시스템의 실용성을 검증한다. 본 논문의 실험을 위해 2014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국어, 사회, 과학 교과의 서답형 문항을 사용했다. 평가 척도로 피어슨 상관계수와 카파계수를 사용했다. 채점자가 개입했을 때와 개입하지 않았을 때의 상관계수 모두 0.7 이상으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자동채점 시스템이 교과 전문가가 채점한 결과와 유사한 방향으로 답안에 점수를 부여한 것이므로 자동채점 시스템을 채점 보조도구로서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질의 응답 시스템을 위한 질의문 심층 분석 (Deep Analysis of Question for Question Answering System)

  • 신승은;서영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2-19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질의 응답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한 질의문 심층 분석을 제안한다. 일반적인 질의응답 시스템들은 사용자의 자연언어 질의의 의미를 분석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한 정답을 제공하는 것이 어렵다. 질의문 심층 분석은 의미자질 추출 문법과 자연언어 질의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질의를 의미적으로 분석하고, 의미자질들을 추출한다. 의미자질 추출 문법과 자연언어 질의 특성은 사용자 질의의 의미와 구문 구조를 반영하기 위해 의미자질과 형식형태소로 표현된다. 웹에서 추출한 세부 정답 유형이 '인물'인 100개의 질의에 대한 실험을 통해, 비교적 짧지만 사용자의 질의 의도를 충분히 표현하고 있는 자연언어 질의에 대해 질의문 심층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질의 의도를 분석하고, 의미자질들을 추출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30{\sim}47$ 개월 일반아동의 의문사 질문 이해 발달: 누가, 누구를, 누구한테, 무엇이, 무엇을 (The Comprehension of 'who' and 'what' Questions in Normally Developing Korean Children)

  • 정미란;황민아
    • 음성과학
    • /
    • 제13권3호
    • /
    • pp.207-219
    • /
    • 2006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omprehension of 'who' and 'what' questions in 2- to 3-year-old normal children. Sixty children were divided into 3 groups depending on their ages, i.e., age groups 2;6-2;11, 3;0-3:5, and 3;6-3;11. Three types of 'who' questions and 2 types of 'what' questions were generated depending on the attached case markers, i.e., who-nominative, who-accusative, who-dative, what-nominative, and what-accusative. The children watched 36 cuts of short video recordings. After watching each cut, they were asked to answer one of the 5 types of wh-questions. For the 'who-nominative' and 'what-accusative' questions, even the late 2-year-old children performed with over 70% of accuracy, and the late 3-year-old children performed with over 95% of accuracy. For the 'who-accusative' and 'who-dative' questions, the late 2-year olds exhibited difficulty in comprehension with performance accuracy of 41% and 33%, respectively. However, the late 3-year olds could comprehend those questions correctly with over 90% of accuracy. On the other hand, in answering 'what-nominative' questions, the children did not show rapid development across the age groups, as the mean performance accuracies of the 3 groups were 39%, 49%, and 59%,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s understanding of a wh- question is largely affected by the case of the interrogative.

  • PDF

원격시험 컴퓨터활용 답안지 진본성 검증에 관한 연구 (Research of Verifying the Remote Test Answer Sheets Authentication)

  • 박기홍;장혜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35-141
    • /
    • 2012
  • 인터넷 발전은 교육과 평가 방법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교육은 학습 결과를 측정하기 위해 시험의 시행이 온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온라인 시험은 출제 및 시험 감독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 되었지만 시험 답안의 진본성 검증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시험 답안지 작성 형식에는 선택형, 단답형, 서술형, 실습형 등이 있는데 실습형을 제외한 답안 작성은 웹상에서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습형 답안지 중 컴퓨터활용 답안의 진본 확인을 위해 답안지에 검증정보를 기록하여 진본임을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한다. 이 시스템의 특징은 인터넷에서 컴퓨터활용 시험 실시 중 답안지가 부정하게 작성되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진본 검증을 위해 검증정보를 서버에서 응시자 답안지에 기록하도록 하였으며, 그 결과 제출된 답안지의 검증정보를 이용하여 진본여부를 검증하는 것이다.

함수 영역 문제해결 협력학습 과정에서 문제 유형에 따른 중학생의 인지부하 분석 (The cognitive load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problem types in collaborative learning for solving the function problems)

  • 김성경;김지연;이선지;이봉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7권2호
    • /
    • pp.137-155
    • /
    • 2018
  • From the assumption that an individual's working memory capacity is limited, the cognitive load theory is concerned with providing adequate instructional design so as to avoid overloading the learner's working memory. Based on the cognitive load theory,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ffective problem-based collaborative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by analyzing the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cognitive load which is perceived according to the problem types(short answer type, narrative type, project)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n middle school function part. To do this,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re is a relev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cognitive load for the problem type according to the math achievement level and gender in the process of cooperative problem solving. As a result, there was a relevant difference in the task burden and task difficulty perceived according to the types of problems in both first and second graders in middle schools student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gnitive effort. In addition, the efficacy of task performance differed between first and second grad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learning, which is most frequently used in school classrooms, it examined students' cognitive load according to problem types in various aspects of grade, achievement level, and gender.

BIM 운용 전문가 시험을 통한 ChatGPT의 BIM 분야 전문 지식 수준 평가 (Evaluating ChatGPT's Competency in BIM Related Knowledge via the Korean BIM Expertise Exam)

  • 최지원;구본상;유영수;정유정;함남혁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21-29
    • /
    • 2023
  • ChatGPT, a chatbot based on GPT large language models, has gained immense popularity among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domain professionals. To assess its proficiency in specialized fields, ChatGPT was tested on mainstream exams like the bar exam and medical licensing tests. This study evaluated ChatGPT's ability to answer questions related to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by testing it on Korea's BIM expertise exam, focusing primarily on multiple-choice problems. Both GPT-3.5 and GPT-4 were tested by prompting them to provide the correct answers to three years' worth of exams, totaling 150 ques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versions passed the test with average scores of 68 and 85, respectively. GPT-4 performed particularly well in categories related to 'BIM software' and 'Smart Construction technology'. However, it did not fare well in 'BIM applications'. Both versions were more proficient with short-answer choices than with sentence-length answers. Additionally, GPT-4 struggled with questions related to BIM policies and regulations specific to the Korean industry. Such limitations might be addressed by using tools like LangChain, which allow for feeding domain-specific documents to customize ChatGPT's responses. These advancements are anticipated to enhance ChatGPT's utility as a virtual assistant for BIM education and modeling automation.

중학교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or the Gifted and the General Science Class in Middle School)

  • 이지향;김동진;황현숙;박세열;백인환;박국태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721-741
    • /
    • 2010
  • 이 연구는 중학교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을 관찰하여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 학생의 응답에 대한 유형과 빈도 분석을 통해 교사와 학생사이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연구 결과, 일반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들은 교과서의 내용을 정리해서 묻거나 그대로 안내하는 발문을 많이 사용하였고, 재진술 형태의 즉각 피드백을 주로 사용하였다. 학생들은 네, 아니오, 와 같은 단순 확인 단답형 응답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언어적 상호작용 모형은 인지 기억적 사고 발문-단답형 응답-즉각 피드백 순서가 가장 많았다. 영재학급의 과학수업에서 교사들은 이유가 뭐에요? 왜 그런 거예요? 와 같은 개방적 발문의 확산적 사고 발문과 평가적 사고 발문을 사용하였고, 설명형 형태의 즉각 피드백을 주로 사용하였다. 일반학급과 비교하여 지연 피드백은 높게 나타났으나 즉각 피드백은 낮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짧은 단어나 간단한 문장 형태의 단답형으로 응답하였으며, 수업참여가 보다 적극적이었다. 언어적 상호작용 모형은 인지 기억적 사고 발문-문장 형태 단답형 응답-지연 피드백 순서가 많았다.

호흡기계(系) 질환의 역학적(疫學的) 조사방법 게발에 관한 연구(II) -한국(韓國) 실정에 맞는 설문조사서 개발- (A Study on Development of Questionaire for Use in Epidmiologic Survey on Respiratory Illness in Korea)

  • 안윤옥;김건열;권이혁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5권1호
    • /
    • pp.57-73
    • /
    • 1982
  • Questionaires on symptoms of respiratory disease have been used in Korea to elicit the probable health effects of air pollution in epidemiologic studies: The objectives of such studies often include comparing prevalence of symptoms of respiratory system between different population groups or between the same population groups, at different times. Unfortunately,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standardization of those questionaires, whether those are Korean. versions or not. Furthermore, no attempt to develop Korean ,questionaire on respiratory symptoms and relevant information has been made. Followed by 'a comparative study on responses to Korean version questionaires(English origin) of CMI, MRC, and ATS-DLD-78' two types of questionaires on respiratory symptoms and relevant information for Korean adult, which are short form (SUN-81-AS) and long forms (optional questions are added to the short one, SUN-81-AL), have been designed suitable to Korean background by authors (see Annex). The self-administered and closed-question questionaire were tested their validity and reliability by administration to l80 normal adults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and 60 clinical pati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ith spirometric exam. The results obtained and conclusions drawn are as follow: 1. It took less than 10 minutes to complete the questionaire SNU-81-AS and SNU-81-AL. 2.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each questions in AS and AL ,were observed as 92.7% and 92.1%, respectively. And all of the level of agreemen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kappa statistic. 3. In addition to higher prevalence rate of symptoms in patients group compared, with, normal. group, the correlations between FEV 1.0/FVC predictive value(%) and number of symptom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patients group (See Fig. 1 and, Table 7). 4. The answer rate to optional questions in AL form among those who are not to do was about 10%, while the no-answer rate among who are to do was about 15% in Normal (medical and nursing students) group. 5. From the viewpoint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new Korean questionaire (SNU-81-AS and AL) developed by authors are to be recommendable to use in epidemiologic studies on respiratory illness in Korea. The self-administration, however, of optional questions in AL form may not assure the quality of data gather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