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ot tip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31초

바위솔의 줄기조직으로부터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from the Stem Tissue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 최상욱;남상해;양기종;조무제;양민석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5-68
    • /
    • 1994
  • 한방에서 항암제로 사용되고 있는 약용식물들로부터 이 차대사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시도로서 바위솔의 조직배양을 시도하였다. 바위솔의 부위별 조직, 즉 잎, 줄기 및 화주 조직을 이용하여 캘러스 유기를 시도하였다. 줄기조직과 화주조직에서는 캘러스가 유기되었으나 잎 조직으로부터는 캘러스가 유기되지 많았다. 따라서 캘러스 유기가 가장 왕성하게 일어나는 줄기조직으로부터 유기된 캘러스를 이용하여 식물체 재분화를 시도하였다. 캘러스 유기에는 MS배지에 4 mg/L 2,4-D와 2 mg/L BAP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잎 조직으로부터는 캘러스형성이 되지 않았다. 식물체 재분화에 있어서 줄기분화는 MS배지 0.5 mg/L와 BAP 2 mg/L를 첨가한 배지에서 가장 높은 분화율을 나타내었으며, 뿌리형성은 2,4-D 1 mg/L와 kinetin 1∼3 mg/L를 첨가한 배지에서만 5%의 분화율을 나타내었다. 뿌리형성에 대한 2,4-D의 적정 농도에 대한 연구 및 뿌리 발생시 생성되는 적색물질의 규명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완전한 식물체로 재분화가 일어나는데는 약 14 주의 기간이 소요되었다.

  • PDF

열처리와 경정배양을 이용한 바이러스 무병 사과 생산 시스템 (Production System of Virus-free Apple Plants Using Heat Treatment and Shoot Tip Culture)

  • 이건섭;김정희;김현란;신일섭;조강희;김세희;신주희;김대현
    • 식물병연구
    • /
    • 제19권4호
    • /
    • pp.288-293
    • /
    • 2013
  • 국내외적으로 ACLSV, ASGV, ApMV, ASSVd와 같은 바이러스 및 바이로이드 병의 발생으로 사과 과실의 생산량 감소와 기형적인 외형 등 많은 문제점들이 보고되었다. 하지만 사과 바이러스의 감염에 대한 방제 대책은 거의 알려진 바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과 신품종인 '단홍', '홍안', '새나라', '썸머드림'을 분양하기에 앞서 바이러스 무병묘를 생산하는 시스템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37^{\circ}C$가 유지되는 항온 항습장치에서 4주간 열처리를 하였으며 기내에서 경정 배양을 하였다. 열처리된 각각의 사과 신품종들은 바이러스 진단 프라이머를 통해 RT-PCR을 수행하여 바이러스 진단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단홍'은 28%의 바이러스 무병묘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홍안'은 16%, '새나라'와 '썸머드림'은 12%의 확률로 바이러스 무병 사과를 확보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열처리 및 경정배양을 통해 사과 신품종에서 바이러스 무병묘 생산 시스템 구축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오이 캘러스 분화시 광의 영향, 형태발생 및 단백질함량 (Light Influences, Morphogenesis and Protein Content on Callus Differentiation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 이은모;조만현;송남현;우인식;이영복;곽상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13-217
    • /
    • 2000
  • 기내에서 무균적으로 생장시킨 오이 유묘의 경단조직과 하배축을 배양하여 캘러스 분화 및 생장에 대해 조사했다. 오이 경단조직을 생장조절물질이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서는 유식 물체로 분화하였으나 2,4-D가 0.5∼2 mg/L 첨가된 MS배지에서는 비배발생캘러스와 점액성캘러스가 유도되었고 배발생 캘러스는 분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유묘 육성시 암조건에서 발아 후 5∼7일 된 개체의 하배축을 5∼10mm크기로 절단하여 2,4-D가 1.0 mg/L이 첨가된 MS배지에 50일간 광조건에서 배양했을 때에는 배발생캘러스와 배상체가 분화되었다. 아울러 하배축 유래 비배발생캘러스 중 백색캘러스는 45.1%가 발근된 반면에, 노랑색캘러스는 불과 0.6%만 발근되었으며. 조단백질의 함량은 백색캘러스보다 노랑색캘러스가 월등히 많았다. 배발생캘러스와 배상체에서 발달된 소식물체는 순화과정을 거쳐 비닐하우스 내의 고형배지경에서 양액재배로 정상적인 과실을 수확하였다.

  • PDF

生長點 培養에 依한 민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 var. inerme Makino)의 器內 大量 增殖 및 土壤 活着 (In Vitro Mass Propagation and Soil Adjastment of Zanthoxylum piperitum var. inerme Makino through Apical Meristem Culture)

  • 정우규;이상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71-179
    • /
    • 199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wth regulators and medium composition on the growth of each stage in apical meristem culture for mass propagation of Zanthoxylum piperitum var. inerme Makino. The source material, shoot tip segments were taken from three-years old graft trees. Apical meristems were cultured in vitro on basal MS, GD, WS, half strength MS(1/2MS) and half strength GD(1/2GD) media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for growth regulators(BA, IBA) and inorganic nutrients. The results summarized are as follows: 1. In culture establishment stage, ratio of culture establishment was 96.7% and the best resuit was obtained usin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0mg/l BA and 0.2mg/l IBA. 2. In shoot multitication stage, both shoot multiplication and growth were achieved in average 5.6cm. These results were obtained on i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0mg/l BA and 0.2mg/l IBA. 3. In roothing stage, phloroglucinol(PG) acted as IBA synergist in root initiation. The most faverable combinations for root development was half-strength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62mg/l PG and 0.2mg/l IBA, and ratio of rooting was 58.0%. 4. In Vitro formed plantlets were transplanted to paper pots in greenhouse with 85% of relative humidity. 96% of survival rate was obtained from artificial soil mix having same volume of sand, vermiculite, peat, and soil.

  • PDF

Microprogation And Environment Conditions Affecting On Growth Of In Vitro And Ex Vitro Of A. Formosanus Hay

  • Ket, Nguyen-Van;Paek, Kee-Yoeup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2년도 심포지엄
    • /
    • pp.29-30
    • /
    • 2002
  •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the effectiveness of in vitro culture method for A. formosanus and study the environment in vitro conditions affecting on growth. The first series of experiments were examined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three different basal media, MS (Murashige and Skoog, 1962), Knudson (KC; Knudson, 1946) and modified hyponex on growth and multiplication during in vitro culture. Multiple shoot proliferation was induced in shoot tip explants on Hyponex (H3) media supplemented with BA (1 mg1$\^$-1/) or TDZ (1-2 mg1$\^$-1/). Addition of activated charcoal (1%) to the TDZ containing medium promoted rapid shoot tip proliferation (11.1 shoots per explant) but the same medium had an opposite effect resulting in poor proliferation in the nodal explants. However, the regenerated shoots had slow growth rate and failed to elongate. This problem was overcome by transferring the shoot clumps to a hormone free H3 media supplemented with 2% sucrose and 0.5% activated charcoal. Using bioreactor culture for scaling up was also shown the best way for multiple shoot induction and growth of this plant. The second series of experiments was stud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on growth of in vitro plantlets. The Anoectochilus formosanus plantlets were cultured under different air exchange rate (0.1, 0.9, 1.2h$\^$-1/), without sucrose or supplement 20g.1$\^$-1/ (photoautotrophic or photomixotrophic, respectively), and different photosynthesis photon flux (40, 80, 120 ,${\mu}$mol.m$^2$.s$\^$-1/- PPF). Under non-enrichment CO$_2$ treatment, slow growth was observed in photoautotrophical condition as compared with photomixotrophical condition on shoot height, fresh weigh and dry weight parameters; High air exchange (1.2.h-l) was found to be inadequate for plant growth in photomixotrophical condition. On the contrary, under CO$_2$, enrichment treatment, the plant growth parameters were sharply (visibly) improved on photoautotrophic treatments, especially on the treatment with air exchange rate of 0.9.h-1. The growth of plant in photoautotrophic condition was not inferior compared with photomixotrophic, and the best growth of plantlet was observed in treatment with low air exchange rate (0.9.h-1). Raising the PPF level from 80 to 120${\mu}$mol.m$\^$-2/.s$\^$-1/ decreased the plant height, particularly at 120${\mu}$mol.m$\^$-2/.s$\^$-1/ in photoautotrophic condition, fresh weight and dry weight declined noticeably. At the PPF of 120${\mu}$mol.m$\^$-2/,s$\^$-1/, chlorophyll contents lowed compared to those grown under low PPF but time courses of net photosynthesis rate was decreased noticeably. Light quality mainly affected morphological variables, changes of light quality also positively affected biomass production via changes in leaf area, stem elongation, chlorophyll content. Plant biomass was reduced when A. formosanus were grown under red LEDs in the absence of blue wavelengths compare to plants grown under supplemental blue light or under fluorescent light. Stem elongation was observed under red and blue light in the present experiment. Smaller leaf area has found under blue light than with other lighting treatments. Chlorophyll degradation was more pronounced in red and blue light compared with white light or red plus blue light which consequent affected the photosynthetic capacity of the plant. The third series of experiment were stud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on growth of ex vitro plants including photosynthesis photon flux (PPF), light quality, growing substrates, electrical conductivity (EC) and humidity conditions. In the present experiments, response of plant on PPF and light quality was similar in vitro plants under photosynthesis photon flux 40${\mu}$mol.m,$\^$-2/.s$\^$-1/ and white light or blue plus red lights were the best growth. Substrates testing results were indicated cocopeat or peat moss were good substrates for A. formosanus growth under the greenhouse conditions. In case of A. formosanus plants, EC is generally maintained in the range 0.7 to 1.5 dS.m-1 was shown best results in growth of this plant. Keeping high humidity over 70% under low radiation enhanced growth rate and mass production.

  • PDF

상수리나무 기내배양(器內培養)에서의 Pulse처리(處理)에 의한 줄기증식(增殖) 및 Peat Plug를 이용(利用)한 참나무류(類) 기내줄기의 기외삽목(器外揷木) (In vitro Shoot Proliferation by Pulse Treatment from Shoot Cultures of Q. acutissima and Ex vitro Root Induction Using Peat Plug Systems in Quercus spp.)

  • 문흥규;윤양;손성호;이석구;이재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221-226
    • /
    • 1993
  • 상수리나무 유묘(幼苗)로부터 기내증식(器內增殖)된 줄기를 재료(材料)로 BA 단독 혹은 BA와 zeatin이 혼합첨가(混合添加)된 멸균수(滅菌水)와 WPM 액체배지(液體培地)에 BA 혹은 BA와 zeatin이 혼합첨가(混合添加)된 용액(溶液)의 pulse 처리(處理)에 의한 줄기증식(增殖) 효과(效果)를 검토(檢討)하였다. 또한 기내증식중(器內增殖中)인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및 신갈나무를 재료(材料)로 peat plug를 이용한 기외삽목(器外揷木)을 실시(實施)하였다. BA 혹은 BA와 zeatin이 혼합(混合)된 멸균수(滅菌水) 처리(處理)에는 앞서 기술한 액체배지(液體培地)와 함께 처리한 것보다 증식효과(增殖效果)는 감소(減少)되었으나 줄기생장은 다소 양호(良好)하였다. 처리(處理)는 1시간 처리하였을때 유효(有效)하였으며, 처리시간(處理時間)이 길어질수록 줄기발생 및 생장(生長)이 감소(減少)되며 유리화 현상이 나타났다. BA의 단독처리(單獨處理)는 BA와 zeatin의 혼합처리(混合處理)보다 증식(增殖)에 효과적(效果的)인 반면 건전한 줄기의 유도는 BA와 zeatin의 혼합첨가(混合添加)가 주효(主效)하였다. Peat plug를 이용한 기외삽목(器外揷木)에서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는 높은 발근력(發根力)이 유지되어 실용적(實用的) 응용(應用)이 가능(可能)하였으나, 졸참나무와 신갈나무는 정단괴저(頂端壞疽)로 고사(枯死)되어 발근력(發根力)이 저조(低調)하였다. 본(本) 연구(硏究)는 pulse 처리(處理)에 의한 줄기증식(增殖) 및 peat plug를 이용한 기외삽목(器外揷木)의 효과(效果)와 그 문제점(問題點) 등(等)을 검토(檢討)하였다.

  • PDF

서양고추냉이의 기내 전형성능에 관한 특성 (Characterization of In Vitro Totipotency by Armoracia rusticana)

  • BAE, Chang-Hyu;MIN, Kyung-Soo;AHN, Chang-Soon;LIM, Yong Pyo;KAMEYA, Tosiaki;Lee, Hyo-Yeon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9-124
    • /
    • 1997
  • 십자화과 향신료 작물인 서양고추냉이 (Armoracia rusticana (Lam.) Gaerth., May. et Scherbs)의 재분화에 미치는 제 요인을 조사하였다. 서양고추냉이의 callus로부터 식물체 재분화는 IAA 0.5 mg/L, BA 5.0 mg/L, spermine 10 mg/L이 첨가된 MS배지에서 가장 높았다. BA 2.0 mg/L과 NAA 2.0 mg/L가 첨가된 MS배지에 엽, 엽병, 뿌리의 조직을 치상한 결과 각각의 조직으로부터 체세포배가 발생하였으며, 기관발생 경로를 거쳐서 식물체가 재분화 되었으며, 빈도는 낮았지만 생장조절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MS배지에서도 각 조직으로부터 식물체가 분화되었다. 수소이온 농도는 pH 4.0부터 8.0의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multiple shoot가 형성되었으며, polyamine류의 첨가는 shoot와 뿌리의 형성을 촉진시켰다. Callus로부터 뿌리 또는 잎이 분화 중인 조직에서 특이적인 단백질이 생성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 서양고추냉이는 생장점 배양, 체세포배발생, 기관발생과정을 각기 거쳐 식물체가 재생될 수 있는 식물체로 확인되었다. 서양고추냉이의 이러한 특성은 세포, 조직, 기관의 형태형성 연구 및 형질전환 연구에도 좋은 재료로 이용되리라 생각된다.

  • PDF

토마토에서 칼슘수송체와 칼슘결합단백질 공동발현에 의한 칼슘결핍유사증상의 완화 (Restriction of Ca2+ deficiency-like symptoms by co-expressing a Ca2+ transporter and a Ca2+-binding protein in tomato)

  • 한증술;강호주;김창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7권4호
    • /
    • pp.549-555
    • /
    • 2010
  • 본 연구는 칼슘 수송체의 하나인 sCAX1과 칼슘결합단백질의 하나인 CRT가 토마토에서 발현했을 때 tip-burn과 배꼽썩음병 (BER)이 토마토의 전 생육기간에 걸쳐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를 관찰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하였고, 최종 연구 결과는 CRT 공동발현이 sCAX1 발현에 의해 야기된 병징을 억제시킬 수 있음을 확인시켰다. 양분공급이 불량한 환경하에 놓인 sCAX1 단독 발현 토마토 식물체는 그 근단 조직, 정단 조직 및 과실의 암술부착부위 조직에 토마토 재배 농가포장에서 빈번하게 관찰되는 칼슘결핍 증상과 일치하는 괴사현상을 나타내었다. sCAX1 형질전환체와 비형질전화체를 각각 대목과 접수로 달리 사용한 교호접목 실험을 통해 sCAX1 발현에 따른 tip-burn 병징이 토양으로부터의 칼슘이온 흡수에 장애를 받아 생긴 결과가 아님을 확인하였다. 형질전환을 통해 CRT 발현 토마토를 획득한 후 CRT가 sCAX1에 의한 불량한 특성 발현을 제어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양자간 교배조합을 작성하였다. sCAX1과 CRT를 토마토에서 공동발현 시켰을 때 완벽하지는 않지만 양극 조직의 괴사와 BER이 뚜렷하게 감소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sCAX1 발현에 의해 방해 받은 세포 내 칼슘 이온 관련 어떤 기구는 CRT 공동발현을 통해 복구될 수 있다는 하나의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Plant Regeneration through Callus of Korean Native Seosanjong of Zingiber officinale Rosc.

  • Jo, Man-Hyun;Ham, In-Ki;Song, Nam-Hyun;Woo, In-Shik
    • Plant Resources
    • /
    • 제3권2호
    • /
    • pp.131-134
    • /
    • 2000
  • Embryogenic callus cultures of Korean native Seosanjong of ginger(Zingiber of officinale Rosc.) were induced through stem explants taken from in vitro shoot-tip cultures. Among the four concentrations of 2,4-D tested in Murashige and Skoog medium, 0.5 and 1 mg/L of 2,4-D was most effective in inducing embryogenic callus. Leaf explants did not express any new morphogenetic response in all 2,4-D concentrations tested. Plantlets transferred to hormone-free MS medium were developed and successfully acclimatized under greenhouse.

  • PDF

First Record of Aphelenchoides nonveilleri (Nematoda: Aphelenchoididae) from South Korea

  • Kim, Jiyeon;Kim, Taeho;Park, Joong-Ki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4권2호
    • /
    • pp.110-113
    • /
    • 2018
  • Aphelenchoides nonveilleri $Andr{\acute{a}}ssy$, 1959, belonging to the family Aphelenchoididae Skarbilovich, 1947, is first reported from South Korea. The genus Aphelenchoides Fischer, 1894 includes about 200 species worldwide, but to date only nine Aphelnechoides species have been reported from South Korea. Specimens of A. nonveilleri were collected from the roots and shoot tips of chrysanthemum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1792) from a greenhouse. This species is distinguished from other Aphelenchoides species by its star-shaped mucro on the female tail tip, three lateral incisures, and the length of the post-vulvar uterine sac. Here we provide details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morpometrics of A. nonveilleri based on optical microsco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