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ot density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3초

The influence of silver thiosulfate and thidiazuron on shoot regeneration from cotyledon explants of Brassica napus

  • Roh, Kyung-Hee;Kwak, Bo-Kyung;Kim, Jong-Bum;Lee, Kyeong-Ryeol;Kim, Hyun-Uk;Kim, Sun-Hee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133-139
    • /
    • 2012
  • The influences of ethylene inhibitors ($AgNO_3$ and silver thiosulfate) and cytokinins (BAP and TDZ) on shoot regeneration from cotyledon and hypocotyl explants of B. napus cv. Youngsan were investigated. The presence of $50{\mu}M$ Silver thiosulfate (STS) in shoot regeneration medium formed shoots at 60-68% after 3-4 weeks of culture, which was enhanced by 2-fold compared to that of Silver nitrate ($AgNO_3$). Moreover, cotyledon explants were more regenerative than hypocotyls; shoots from cotyledon explants began to occur 4-5 days earlier than that of hypocotyl explants. TDZ at a concentration of $8-10{\mu}M$ was effective for shoot regeneration, compared with BAP. Consequently, the optimal shoot regeneration response was observed in medium supplemented with $50{\mu}M\;STS+8{\mu}M\;TDZ$. I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nalysis, higher density of silver nanoparticles was shown to be accumulated widely inside the cell wall and plasmodesmata of regenerating leaf cultured in medium supplemented with $AgNO_3$. By contrast, in the cell cultured in medium with STS, fine-grained deposits were partly observed in the surroundings of the cell wall.

진동만과 가막만에 서식하는 잘피 개체군의 생장 동태 및 탄소고정량 추정 (Growth Dynamics and Carbon Incorporation of the Seagrass, Zostera marina L. in Jindong Bay and Gamak Bay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김태환;박상률;김영균;김종협;김승현;김정하;정익교;이근섭
    • ALGAE
    • /
    • 제23권3호
    • /
    • pp.241-250
    • /
    • 2008
  • Since seagrasses in the coastal and estuarine ecosystems achieve high levels of production, they require high inorganic carbon and nutrient incorporation. Thus, seagrasses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carbon and nutrient cycling in the coastal and estuarine ecosystems. To examine growth dynamics of Zostera marina 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underwater irradianc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and biological parameters such as shoot density, biomass, shoot morphology, and leaf productivity were measured in two bay systems (Jindong Bay and Gamak Bay)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hile underwater irradiance did not show distinct seasonal trend, water temperature at both sites exhibited clear seasonal trend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Shoot density increased dramatically during winter due to the increased seedlings through germination of seeds in Jindong Bay and due to the increased lateral shoots in Gamak Bay. Eelgrass biomass increased during winter and decreased during summer. Maximum biomass in Jindong Bay and Gamak Bay was 250.2 and 232.3 g dry weight m–a2, respectively. Carbon incorporation into the eelgrass leaf tissues was estimated from productivity and leaf tissues carbon content. The calculated annual carbon incorporations at the Jindong Bay and Gamak Bay sites were 163 and 295 g C m–`2 y–`1, respectively. This high carbon incorporation into seagrass tissues suggests that seagrass habitats play an important role as a carbon absorber in the coastal and estuarine ecosystems.

Studies on the population biology of some clonal plants in a coastal reclaimed land

  • Choung, Yeon-Sook;Joon-Ho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4권3호
    • /
    • pp.327-343
    • /
    • 1991
  • Clonal growth and rhizome architecture of calmagrostis epigeios, were studied in a 15-year old coastal reclamed land. As c. epigeios patch grew from center to margin radially over time, concentric annuli were added. the radial increases of the mature patch were 80~130cm/yr. the patch ages of c. epigeios estimated by relationships between the diameter and is radial increament, were 1~6year old. There were the marked variations of density, phytomass, shoot height and inflorecence frequency with increasing age of rhizome system within the patch. the maximum performance occurred at 2-year-old concentric annuli of the patch. The growth phasic continuum with aging was divided into 5 grwth phases ; pioneer, building, matyre, senile and degenerate. The rhizome aging had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the inflorescence frequency than on the other attributes. new rhizomes tended to diverge from the direction of the parent ramet by sympodial growth. in a 1-year-old patch, average length of rhizome segment was 7cm, average number of internode was 6, and the tillering frequency was 27%. The tillering in the early stage resultd in the increase of shoot density and the producation of multibranching rhizome. as the result of that, circular patchwas formed in a year. The branching structure based on such facts was represented graphically in branching degree of 60 and 100. therefore, c. epigeios with clonal growth may establish and grow vigorously earlier than other glycophytes in high salt conditions such as the coastal reclaimed land.

  • PDF

Waterlogging induced oxidative stress and the mortality of the Antarctic plant, Deschampsia antarctica

  • Park, Jeong Soo;Lee, Eun J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3권3호
    • /
    • pp.289-296
    • /
    • 2019
  • We investigated the mortality and the oxidative damages of Deschampsia antarctica in response to waterlogging stress. In field, we compared the changes in the density of D. antarctica tuft at the two different sites over 3 years. The soil water content at site 2 was 6-fold higher than that of site 1, and the density of D. antarctica tuft decreased significantly by 55.4% at site 2 for 3 yea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at site 1. Experimental results in growth chamber showed that the $H_2O_2$ and malondialdehyde content increased under root-flooding treatment (hypoxic conditions-deficiency of $O_2$), but any significant change was not perceptible under the shoot-flooding treatment (anoxic condition-absence of $O_2$). However, total chlorophyll, soluble sugar, protein content, and phenolic compound decreased under the shoot-flooding treatment. In addition, the catalase activity increased significantly on the 1st day of flood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ypoxic conditions may lead to the over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anoxic conditions can deplete primary metabolites such as sugars and protein in the leaf tissues of D. antarctica. Under present warming trend in Antarctic Peninsula, D. antarctica tuft growing near the shoreline might more frequently experience flooding due to glacier melting and inundation of seawater, which can enhance the risk of this plant mortality.

이식된 포기거머리말($Zostera$ $caespitosa$)의 형태적 특성 및 생산성의 변화 (Changes 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of $Zostera$ $caespitosa$ Transplants)

  • 박정임;박재영;이근섭;손민호
    • 환경생물
    • /
    • 제30권1호
    • /
    • pp.47-53
    • /
    • 2012
  • 이식된 포기거머리말의 현장 적응성을 알아보기 위해 철사고정법으로 포기거머리말을 이식후 이식된 개체(이식구)와 인근 자연군락 포기거머리말 (대조구)의 밀도, 형태적 특성과 생산성의 변화를 약 2년간 조사하였다. 대조구에서는 봄 여름에 증가하고 가을 겨울에 감소하는 밀도변화를 보였으나, 이식구에서는 조사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초기 밀도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엽초 길이, 잎 폭, 개체 길이와 엽초, 잎, 개체의 무게는 이식초기에는 대조구에 비해 이식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보였으나 약 5개월 후부터는 대조구와 이식구가 유사해졌다. 잎 생산성도 대조구와 이식구 모두 봄 여름에 증가하고 가을 겨울에 감소하는 뚜렷한 계절 경향을 보였으나, 이식초기 이식구의 개체 잎 생산은 생산성이 낮은 가을인데도 불구하고 증가하였다. 철사고정법으로 이식된 포기거머리말은 개체의 유실이 없었고, 형태적 특성으로 보아 약 5개월의 현장적응기간을 소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희토광물계 비료가 순비기나무와 위성류의 삽목 발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are-earth Fertilizer on the Shoot Cuttings' Rooting of Vitex rotundifolia L. and Tamarix chinensis Lour.)

  • 박종민;장규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42-849
    • /
    • 2015
  • 본 연구는 순비기나무와 위성류의 삽목증식에 있어서 희토광물계 비료가 발근성적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삽목시험은 2008년에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순비기나무와 위성류의 발근율, 평균 뿌리 수, 평균 뿌리길이는 희토비료를 처리할 때 무처리 대조구에 비해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특히, 희토비료 1/2500 희석액의 발근효과가 뚜렷하였다. 이러한 성적은 IAA 발근촉진제에 상응하는 결과이었다. 다만, 위성류의 발근율은 무처리 대조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100%의 발근율을 보임으로써 희토비료 희석액 농도에 따른 발근율의 차이는 없었으나, 발근촉진 효과는 기대할 수 있었다. 희토 희석액의 침지시간에 따른 삽수의 발근성적은 순비기나무와 위성류의 모든 처리구에서 10분 침지한 처리구보다는 60분 침지한 처리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순비기나무와 위성류의 발근율, 평균 뿌리수 및 평균 뿌리길이 등을 분석한 결과를 기준으로 희토 처리 수준 및 효과를 판단하면, 발근촉진제 처리농도는 희토 1/2500 이하의 저농도에서 60분 침지할 경우 삽수 발근 향상에 충분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시험에 사용한 희토광물계 비료는 시판되고 있는 IAA 발근촉진제 대체품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액재배에 있어 근류균의 접종 및 질소반응에 관한 연구 2보. 근류균의 접종 및 질소시용량이 대두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Response of Rhizobium Inoculation and Nitrogen Concentration to Soybean Growth in Nutri-culture 2. Effects of Rhizobium Inoculation and Nitrogen Concentration on Growth and Yield of Soybean Cultivars)

  • 이홍석;윤성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00-407
    • /
    • 1989
  • 양액재배에 있어 근류균의 접종, 양액중의 질소농도 및 재식밀도 등의 대두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추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장에 미치는 처리효과는 생육중기 (V$_{7}$, Stage)에 있어서는 현저하지 않았으나 개화기미(R$_3$ Stage)에서는 그 효과가 증대되어 근류균 접종에 의하여 경장이 증대되었는데 그 정도는 황금콩과 장백콩에서 더욱 컸고 근류비착생계통에서는 현저히 떨어졌으며 질소시용 또는 195ppm까지의 질소증시에 의하여 증대되었고 밀식에 의하여 증대되었다. 2. 건물중에 미치는 영향은 생육시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근류균 접종에 의하여 건물중이 증대되었는데 그 효과는 무질소구에서 더욱 현저하였고 근류비착생 Clark에서는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질소증시에 의하여 장백콩과 팔달콩에서는 건물중이 계속 증가되었으나 황금콩과 Clark에서는 질소증시효과가 미미하였다. 그리고 밀식에 의하여 건물중이 현저히 감소하여하였는데 특히 팔달콩에서 더욱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3. 근중에 대한 지상부중 비율은 근류균 접종에 의하여 무질소 또는 저질소 수준에서는 현저히 증가하였고 근류비착생 Clark에서는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질소증시 및 밀식에 의하여 감소되었으나 팔달콩에서는 질소증시에 의하여 근중에 대한 지상부중 비율이 증가되었다. 4. 폿트당 수량이 미치는 근류균의 접종 효과는 품종간에 차이가 있어 황금콩과 팔달콩에서는 증수효과가 인정되었으나 장백콩과 Clark에서는 현저히 낮았으며 질소증시효과도 품종간에 차이가 있어 황금콩과 팔달콩에서는 질소증시에 의하여 증수되었으나 장백콩과 Clark에서는 증수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밀식에 의한 증수효과도 황금콩에서는 현저하였으나 기타 품종에서는 뚜렷하지 않았다. 5. 개체당 수량도 황금콩과 팔달콩에서 근류균 접종에 의한 증수효과를 나타내었고 질소시용효과는 밀식조건에서는 질소증시에 의한 증수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소식조건에서는 근류균을 접종하였을 때는 증수되지 않았으나 근류균을 비접종하였을 때는 팔달콩과 Clark에서 질소증시에 의하여 증수되었다. 그리고 밀식에 의하여 개체당 수량이 전반적으로 감소되었다. 6. 수량은 건물중, 식물체중의 전질소함량, 그리고 개화기미의 근류수와, 식물체중의 전질소함량은 경장, 건물중, 근류수 및 근류중들과, 그리고 줄기중의 allantoin 질소함량은 근류수 및 근류중들과 각각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버뮤다그래스 페어웨이에 퍼레니얼라이그래스 오버시딩에 따른 두 초종의 밀도 및 품질 변화와 Trifloxysulfuron-sodium 처리에 의한 전이시기 조정 (Transition of Density and Quality of Turfgrasses on Bermudagrass Fairway with Perennial Ryegrass, and Adjustment of Transition Period by Treatment of Trifloxysulfuron-sodium)

  • 김대근;전재만;오상익;심규열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83-88
    • /
    • 2012
  • 버뮤다그래스에 퍼레니얼라이그래스를 오버시딩 했을 때 퍼레니얼라이그래스의 밀도는 3월부터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5월 말에는 88,000주/$m^2$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장마기를 거치면서 급격히 줄어들어 9월 초순경에는 0주/$m^2$가 되었다. 반면에 버뮤다그래스의 밀도는 3월경에 2,000주/$m^2$에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5월 중순경에 10,000주/$m^2$, 6월 초순경에는 20,000주/$m^2$로 증가하였으며, 장마기를 거치면서 일조량 부족으로 7월 중순경에는 4,000주/$m^2$로 떨어졌다. 장마 후에는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9월 초순경에는 50,000주/$m^2$ 정도를 유지하였다. 퍼레니얼라이그래스로 오버시딩한 버뮤래스 페어웨이의 품질은 4월 중순부터 6월 중순까지 좋은 품질이 유지되다가 장마기이후 7월말에 가장 나빴으나 이후 점차 향상되어 9월 초순부터 10월 초순까지 좋은 품질을 나타내었다. 봄철 버뮤다그래스의 전이시기를 앞당겨 장마기의 품질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trifloxysulfuron-sodium을 처리한 결과, 5월중순경부터 버뮤다그래스로 전이가 이루어져 6월 중순경에는 70,000주/$m^2$ 정도의 밀도를 보였으며 장마기에도 약 30,000주/$m^2$를 유지하여 무처리구에 비하여 약 3배 이상의 높은 밀도를 유지하였다.

유산균(Lactobacillus fermentum) 함유 미생물제제의 크리핑 벤트그래스 밀도개선 효과 (Microbial Fertilizer Containing Lactobacillus fermentum Improved Creeping Bentgrass Density)

  • 조기웅;김영선;함선규;배은지;이재필;김두환;김우성;이긍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4호
    • /
    • pp.322-332
    • /
    • 2017
  • 골프장 잔디 관리에서 미생물제제는 잔디의 생육 및 품질을 개선하고, 병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는 유산균(Lactobacillus fermentum)을 함유하는 미생물제제의 처리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무처리구(NF), 대조구(CF), 미생물제제 처리구(MFcL: microbial fertilizer containing L. fermentum; MFL: CF+MFcL $1.0g\;m^{-2}$; 2MFL: CF+ MFcL $2.0g\;m^{-2}$) 및 미생물제제 단독 처리구(OMF; MFcL $1.0g\;m^2$)로 설정하였다. 시험 종료 후 토양 화학성은 처리구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MFcL의 처리가 토양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MFcL 처리 시 잔디의 시각적 품질, 잔디 예지물, 잔디 중 무기 성분 함량 및 흡수량은 대조구와 비슷하였다. 잔디 밀도는 MFcL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약 20% 정도 증가하였다. 이들 결과는 유산균을 함유하는 미생물제제의 처리는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밀도를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수 지상부의 부산물과 추출물의 제초활성 (Weed Control Efficacy of the Residues and its Aqueous Extract of Sorghum Shoots)

  • 박수혁;원옥재;;엄민용;황기선;황재복;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3호
    • /
    • pp.243-248
    • /
    • 2015
  • 본 연구는 수수 지상부 부산물을 이용하여 제초활성을 검정하며 생물제초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수수 지상부 분말을 토양과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 피, 바랭이, 어저귀, 털비름의 발아 억제율은 최대 40% 정도였으며 발아한 개체들의 지상부 생육억제율은 광엽잡초인 어저귀와 털비름에서 최대 30%, 화본과잡초인 피와 바랭이에서는 30%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수수 지상부 추출물의 발아억제 효과는 피를 제외한 바랭이, 어저귀, 털비름에서는 $25mg\;ml^{-1}$ 이상의 농도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50%의 발아를 저해하는 농도가 피에서는 $60mg\;ml^{-1}$였으나 나머지 세 초종에서는 $1060mg\;ml^{-1}$ 이하로 작게 나타났다. 경엽처리활성을 높이기 위해 선발한 11개 전착제 중 DOS70, TM15, TDE7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DOS70는 주요 잡초종을 60%까지 방제할 수 있었다. 비록 수수 지상부 부산물의 잡초방제효과가 크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장기적인 처리에 의한 잡초종자 및 개체밀도의 점진적인 경감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