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al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3초

어군의 음향학적 형태 및 분포특성과 어종식별에 관한 연구 1.한국 연근해 멸치어군의 형태 및 분포특성과 종식별 실험 (Study on the Acoustic Behaviour Pattern of Fish Shool and Species Identification 1. Shoal Behaviour pattern of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Korean waters and Species Identification Test.)

  • 김장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4권1호
    • /
    • pp.52-61
    • /
    • 1998
  • We studied behaviour pattern of anchovy (Engraulis japonicus) shoal by a method of shoal echo integration and tested species identification by a method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using the acoustic data collected in the East China Sea in March 1994 and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of Korea in March 1995. Between areas, frequency distribution of 10 shoal descriptors was different, which showed characteristics of shoal behaviour in size, bathymetric position and acoustic strength. The range and mean of shoal size distribution in length and height was wider and bigger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than in the East China Sea. Relative shoal size of China Sea. Fractal dimension of shoal was almost same in both areas. Mean volume reverbration index of shoal was 3 dB higher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than in the East China Sea. The depth layer of shoal distribution was related to bottom depth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while it was between near surface and central layer in the East China Se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shoal descriptors showed the correlation between shoal size and acoustic strength which was higher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than in the East China Sea. Correlation was also found among the bathymetric positions of shoal to some degree higher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than in the East China Sea. The anchovy shoal of two areas was identified by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 contribution factor index (Cio) of the shoal descriptors between two areas were almost identical feature. The shoal volume reverberation index (Rv) was showed the highest contribution to the species identification, while shoal length and shoal height showed relatively high negative contribution to the species identification.

  • PDF

타원형 수중천퇴상의 규칙파 및 불규칙파의 전파변형 실험(I):비쇄파조건 (Experiments for Wave Transformation of Regular and Irregular Waves over a Submerged Elliptic Shoal(I) : Non-breaking Conditions)

  • 이종인;이정욱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40-246
    • /
    • 2002
  • 타원형 천퇴해역에 대한 규칙파 및 일방향 불규칙파의 전파변형에 대한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수리모형실험은 비쇄파조건의 규칙파와 천퇴의 정상부에서 부분쇄파가 발생하는 일방향 불규칙파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수리모형실험 조건에 대해 포물형근사식을 적용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Boussinesq 방정식을 이용한 수중 천퇴에서의 파랑변형 및 파랑류 계산 (Calculation of Wave Deformation and Wave Induced Current around an Underwater Shoal by Boussinesq Equation)

  • 전인식;성상봉;김귀동;심재설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2-212
    • /
    • 2005
  • 수중 천퇴 인근에 해양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 구조물에 작용하는 설계하중을 구하기 위하여 파고뿐만 아니라 천퇴 주변 파랑변형에 의하여 이차적으로 발생된 파랑류를 아울러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천퇴 주변의 파랑변형과 파랑류를 계산하기 위하여 비선형 Boussinesq방정식 모델과 선형 완경사방정식 모델을 각각 적용하였다. 대상 천퇴는 Vincent and Briggs(1989)의 수리실험에서와 동일하며 실험조건은 규칙파, 일방향 또는 다방향 불규칙파 입사를 포함하는 비쇄파조건으로 하였다. 두 수치모델은 공히 천퇴 중심선을 따라 파랑류가 대칭적으로 형성됨을 잘 보여주었다. 그리고 수리실험에서의 파고계측선을 따라 계산된 파고변화는 전체적으로 실험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음향에 의한 동해안 남부해역 멸치어군의 분포특성조사 연구 (Hydroacoustic Investigations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Anchovy at the South Region of East Sea)

  • 강명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2권1호
    • /
    • pp.16-23
    • /
    • 1996
  •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 and species composition of midwater trawling catch was analyzed biological and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anchovy shoal, using a high resolution echo - sounder at the south region of East sea of Korea. 1) In the survey site A of Lat.35$^{\circ}$55'N, Long.129$^{\circ}$45'E, the anchovy shoal of small to middle size with the horizontal range of 10~25m and large size with the horizontal range of 40~50m were distributed together. However in the survey site B of Lat.35$^{\circ}$38'N, Long.129$^{\circ}$40'E, the anchovy shoal was observed to be mainly small size which about 78% of the detected shoal. Another was that the anchovy shoal with the vertical range of 2~8m occupied about 68.6% in the survey site A and that of 6~12m occupied about 42.5% in the survey site B. The mainly the site A and B were found to be 10~50m super (2), 64.5% and 20~80m super (2), 66%, respectively. 2) The volume backscattering strength in the site A and B were observed to be -44.0~ -28.0dB, respectively. In the site A, the backscattering strength of -40.0~ -30.0dB was analyzed about 41.4%. 3) Most of total anchovy shoal was concentrated in the water layer of 50~100m in depth with 15.3~18.5$^{\circ}C$, 34.0~34.3$\textperthousand$ in the survey site A and 14.2~16.4$^{\circ}C$, 34.1~34.2$\textperthousand$ in the survey site B. 4) Mean total length(TL) and body weight(BW) of anchovy in the survey site A were 9.9cm and 4.4g respectively, with TL-BW relationship of BW=0.0007T$L^3.65$super (3.85). In site B, mean total length(TL) and body weight(BW) were 11.2cm and 8.7g, with TL-BW relationship of BW=0.0023T$L^3.36$.

  • PDF

수중타원형 천퇴상 불규칙파의 파랑쇄파류에 의한 변형 수치모의 (Numerical Simulation of Irregular Wave Transformation due to Wave-induced Current over a Submerged Elliptic Shoal)

  • 최준우;백운일;윤성범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65-573
    • /
    • 2007
  • 타원형 수중천퇴가 있는 지형을 통과하며 변형하는 파랑을 실험한 Vincent and Briggs(1989)의 불규칙파 실험조건을 수치모의하여 파랑과 흐름의 상호작용 효과를 연구하였다. 수치모의를 위해 SHORECIRC(흐름모형)와 REF/DIF S(파랑모형)를 결합한 모형과 파랑과 흐름을 동시에 계산하는 FUNWAVE를 이용하였다. 이 수치모의로부터 수중 천퇴상에서 발생된 쇄파류는 수중천퇴후면의 파 집중현상을 방해하고, 파랑을 천퇴중심축의 바깥쪽으로 굴절시켜, 파고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합모형의 수치모의 결과는 쇄파류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 파랑모형만의 결과보다 실험치와 더 일치하였으며, FUNWAVE를 이용한 수치모의도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이는 파랑쇄파류의 파랑변형에 미치는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주는 것이다.

서해 곰소만 조간대 퇴적작용에서 모래톱의 역할 (Role of Sand Shoal in the Intertidal Flat Sedimentation, Gomso Bay, Southwestern Korea)

  • 이인태;전승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0-129
    • /
    • 2001
  • 곰소만 중앙부의 하부 조간대(lower tidal flat)에는 길이 1300m, 폭 400m규모의 조간대 모래톱(intertidal sand shoal)이 남북 방향으로 발달한다. 이 모래톱을 경계로 3개 구역으로 구분하고, 각 구역에서 표층 퇴적구조, 입도 분포, 퇴적물 이동량(집적율), 그리고 천부 퇴적상을 분석하여, 각 구역의 에너지 영역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각 구역의 퇴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A 구역(offshorewards zone) -세립사(평균입도 3${\varphi}$), 혀모양 연흔, 월 평균 70mm의 집적율과 미발달생물교란구조, B 구역(sand shoal) -중립사(평균입도 2.5${\varphi}$), 사구(4${\sim}$5m의 파장),월 평균 30mm의 집적율과 미발달 생물교란구조, C 구역(onshorewards zone) - 조립질 실트(평균입도 5${\varphi}$), 굴곡형 연흔, 월 평균 10mm의 집적율과 잘 발달된 생물교란구조. 이러한 결과로부터 하부 조간대에 분포하고 있는 모래톱은 외해에서부터 유입되는 파랑의 에너지를 분산시키거나 또는 막아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즉 곰소만 조간대에 사주섬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저 에너지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은 만의 안쪽 지역에 위치하는 모래들이 방파제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 PDF

수중 천퇴 인근에 설치된 해양구조물에 작용하는 유체력 결정에 대한 고찰 (Evaluation of Fluid Forces Acting on Offshore Structures Placed in the Vicinity of Underwater Shoal)

  • 전인식;민인기;심재설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6-145
    • /
    • 2007
  • 파랑이 수중 천퇴부를 넘어 쇄파하는 경우 파고는 작게 형성되나 강한 이차적 흐름 (쇄파유도류)이 발생한다. 따라서, 임의의 해양구조물이 쇄파대에 위치할 경우에는 단순히 가시적인 파고에만 근거한 파력산정은 과소설계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으며 구조물의 안정설계를 위해서는 쇄파유도류의 유속이 가미된 상태에서의 유체력을 정확히 산정하여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Boussinesq 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쇄파대내에서의 파고분포와 쇄파유도류를 계산하는 기법을 수립하였으며 과거에 수행하였던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의 수리모형실험 (1/120)의 모델영역에 적용하였다. 이 계산결과를 이용하여 모형구조물에 작용하는 유체력을 계산하고 수리모형실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쇄파유도류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Monitoring of Moisture Content and Sediment Fineness as Predictors of Shoal Breaching in an Estuary

  • Lee, Seulki;Park, Sungjae;Lee, Chang-Wook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5-32
    • /
    • 2018
  • Namdae-cheon in Gangwon-do Province, Korea, is a valuable well-preserved lagoon. The estuary of Namdae-cheon Stream is closed because of the surrounding natural sand shoal. Thus, during the dry season, river water cannot easily flow to the ocean and therefore stagnates. River water congestion causes environmental deterioration of estuaries, often by eutrophicat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wall disintegration in the estuary area and used it to determine appropriate measures for the conservation of estuary water quality in the future. A total of 24 sites were selected, with 13 sites on the west side and 11 sites on the east side of the estuary study area.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particle size and moisture content both vertically and horizontally. Sedimentary deposition rate was measured, and subsidence analysis was performed. Particle size, water content, sedimentary deposition, and subsidence analyses indicated that flow shifted to the west during the study period. In conjunction with other variables that may affect changes in flow, these parameters can be used in future research to predict shoal breaches and associated changes in water flow direction.

타원형천퇴에 대한 PCGM과 포물형근사식 수치모형비교 (Comparison of PCGM and Parabolic Approximation Numerical Models for an Elliptic Shoal)

  • 서승남;연영진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16-225
    • /
    • 1994
  • Berkhoff등(1982)의 수리실험 결과를 사용하여 PCGM파 포물형근사식(PA) 수치모형의 정밀도와 계산효율을 비교하였다. 두 모형 결과는 수리실험의 실측치와 잘 부합되었으나 비교적 도고가 큰 천퇴 뒷편의 일부 단면에서는 PCGM모형 결과에 비해 PA모형 결과가 실험치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PA모형은 천해역의 넓은 지역에 대한 파랑변형을 예측하는 데 유용한 모형이나 반사파를 무시할 수 있는 경우에만 적용 가능하다. 한편 완경사 파랑식으로부터 직접 차분화하여 반사파를 고려할 수 있는 PCGM모형의 계산효율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PA모형 결과를 PCGM모형의 초기 입력조건으로 사용함으로써 약 40%의 계산시간 감소를 가져왔다.

  • PDF

수중타원형 천퇴를 통과하는 규칙파의 파랑쇄파류에 의한 변형 (Numerical Simulation of Regular Wave Transformation due to Wave-induced Current over a Submerged Elliptic Shoal)

  • 최준우;백운일;윤성범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57-564
    • /
    • 2007
  • 타원형 수중천퇴가 있는 지형을 통과하며 변형하는 파랑을 실험한 Vincent and Briggs(1989)의 실험조건을 수치모의하여 규칙파 변형에 대한 파랑과 흐름의 상호작용 효과를 연구하였다. 수치모의를 위해 흐름모형 SHORECIRC와 파랑모형 REF/DIF 1 그리고 SHORECIRC와 파랑모형 SWAN을 결합한 모형과 파랑과 흐름을 동시에 계산하는 FUNWAVE를 이용하였다. 이 수치모의로 부터 수중천퇴상에서 발생된 쇄파류는 수중천퇴후면의 파집중현상을 방해하고, 파랑을 천퇴중심축의 바깥쪽으로 굴절시켜, 파고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결합모형의 수치모의 결과는 쇄파류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 파랑모형만의 결과보다 실험치와 일치하였으나, 중복파가 발생되는 경우 SWAN모형과 REF/DIF모형으로부터 계산되어지는 잉여응력(radiation stress)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FUNWAVE를 이용한 수치모의는 실험결과와 완벽히 일치하였다. 이는 파랑쇄파류의 파랑변형에 미치는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시켜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