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test

검색결과 1,984건 처리시간 0.036초

Ayres 감각통합 중재가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운동발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yres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Sensory Processing Ability and Motor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 박하나;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30
    • /
    • 2019
  • 목적 : 발달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Ayres 감각통합중재를 적용하여 감각처리능력과 운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만 3-5세의 발달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실험군 9명과 대조군 8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Short Sensory Profile(SSP), Peabody Developmental Motor Scale-2(PDMS-2)를 사용하였다. 실험군은 Ayres의 중심원리에 따른 개별 감각통합치료를 40분씩, 주 2회, 8주간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분석은 SPSS 24.0 의 카이스퀘어 검정, 맨휘트니 U검정,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 Cohen's d 검정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 Ayres의 감각통합중재를 실시한 실험군은 중재를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감각처리능력은 전체 점수와 움직임 민감성, 청각 여과하기, 낮은 에너지/허약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실험군과 대조군의 운동발달은 대근육운동발달지수, 소근육운동발달지수, 전체운동발달지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결론 : Ayres의 감각통합중재는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운동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이트래커를 병행한 감각통합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 및 시지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Combined with Eye Tracker on Sensory Processing and Visual Percep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권소현;안시내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9-53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에게 아이트래커를 병행한 감각통합치료가 감각처리 및 시지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설계는 단일대상연구의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이며, 중재는 아이트래커를 병행한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였다. 기초선 기간과 중재 기간의 매 회기 평가로 시각-운동 속도와 단속적 눈의 움직임을 평가하였으며, 사전·사후 평가로 감각프로파일, 한국판시지각발달검사, 선잇기검사를 실시하였다. 매 회기 평가와 사전·사후 평가는 시각적 분석 및 경향선 분석을 통해 중재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결과 : 회기별 평가 결과, 시각-운동속도와 단속적 눈의 움직임에서 모든 아동의 경향선 기울기가 기초선기간보다 중재기간에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사전·사후 평가결과, 감각처리에서는 움직임, 몸위치, 시각의 감각처리가 또래보다 많음에서 또래와 유사 수준으로 변화하였으며, 시지각에서는 모든 아동의 시각통합능력이 증가하였다. 또한, 아동의 시각추적 및 시각-운동 능력의 향상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선잇기검사 결과, 모든 아동이 사전보다 사후에 수행시간이 감소하였다. 결론 : 발달장애아동의 아이트래커를 병행한 감각통합치료는 감각처리 및 시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최근 기술의 향상과 스마트기기의 보급과 맞추어 아동의 흥미와 동기를 부여할 수 있어 임상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식미 관능평가 5가지 방법별 전문가와 일반인의 평가능력 비교 (Comparison of the Sensory Ability of Experts and Untrained Panelists to Evaluate Cooked Rince by using Five Sensory Methods)

  • 윤미라;곽지은;이정희;전재범;박향미;서정필;장재기;이춘기;이점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92-97
    • /
    • 2016
  • 본 시험은 관능평가 5가지 방법별 전문가와 일반인의 평가능력을 비교하여 쌀 산업현장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이용 가능한 식미 관능평가 방법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품종 간 식미에서 단순차이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일-이점 검사 및 삼점검사를 수행한 결과 전문가 및 일반인 패널 모두 하이아미, 추청 및 다산 1호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품종 간 식미특성 차이에 의한 선호도 평가를 위해 이점비교검사, 순위법 및 다시료비교검사를 수행하였다. 전문가 패널은 3가지 관능평가 방법 모두에서 하이아미 > 추청 > 다산 1호 순으로 좋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반면 일반인 패널에서는 이점비교검사와 순위법에서만 하이아미 > 추청 > 다산 1호 순으로 유의하게 좋은 것으로 평가하였으나, 다시료비교법에서는 하이아미와 추청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쌀 산업현장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식미관능평가 방법은 2개 품종 간 식미특성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이점비교검사법을, 3개 이상 품종 간 식미특성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순위법이 적합할 것으로 고찰된다.

체성감각유발전위검사에 대한 고찰 (Review of Somato Sensory Evoke Potential Test)

  • 김명철;김진상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4권4호
    • /
    • pp.64-74
    • /
    • 2002
  • The SSEP(SomatoSensory Evoke Potentials) test is a valid and repeatable technique which correlates with clinically assessed joint position & vibration sense, skin touch & pressure sense. Also SSEP study is a simple and quantitative test, and has been used to evaluate the sensoty system along the somatosensory pathway from peripheral sensory receptor to the cortex. The ascending pathway of SSEP has been know to be posterior column-lemniscal pathway, but not without controversy. There are two kind of test mathods : one of test is median nerve SSEP and other test is posterior tibial nerve SSEP. Recently, SSEP used to performe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dermatomal SSEP(D-SSEP) and segmental SSEP(5-SSEP) for the diagnosis of lumbasacral radiculopathy, and it can be measure of ingual ahd palatine evoked potentials & indicator of medullary function useful for the diagnosis of brain death.

  • PDF

묘사분석 및 소비자 조사에 의한 참외의 관능특성 (Sensory properties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var. makuwa) by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and consumer test)

  • 김상섭;최은정;최정희;구경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727-737
    • /
    • 2016
  • 본 연구는 친환경 참외의 품질 등급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하여 성주지역에서 재배되는 참외의 묘사적 관능 특성 개발과 재배 방법별 품질 지표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성주산 참외의 묘사분석 결과 총 40개가 도출되었는데, 외과피에서 도출된 특성 6종과 향 특성 2종 및 중과피의 외관 특성 3종, 내과피 (endocarp) 외관 특성 4종, 또 중과피의 향 특성 5종과 내과피의 씨부분의 특성 3종이 도출되었다. 이외에 중과피의 맛 7종 및 조직감 특성 6종이었다. 한편 유기농 재배와 관행 재배된 참외의 pH, 총산도, 고형분 함량 등이 전반적으로 재배 방법과 재배 농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또 이들 시료를 대상으로 묘사 분석 및 일반 소비자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관행재배 시료와 유기농 재배 시료 간에 차이가 있었고, 재배 농가별로 차이가 있다고 분석되었다. 묘사분석에 의한 외관특성과 참외 중과피와 내과피의 품질 특성들의 주성분 분석결과 첫 번째 주성분(F1)과 두 번째 주성분(F2)에 의한 총설명력은 각각 58.36%, 46.18%였다. 전반적으로 과피가 포함된 참외 시료의 경우는 외관에 의해 재배 방법과 재배 농가별로 비교적 차이가 뚜렷하였으나, 과피가 제거된 중과피와 내과피의 관능특성 항목에서는 관행재배(CC)를 제외하고는 농가별 시료는 확실하게 구분되지 않았다. 한편 소비자 조사 후 관능적 품질 특성의 주성분 분석 결과가 묘사 분석 결과와 유사하였고, 전체적인 기호도와 관련이 있는 관능적 품질 특성은 단맛, 단향, 참외 고유의 향과 맛, 참외 껍질의 노란색, 아삭함, 다즙성, 경도가 중요한 영향 요인이었다.

체간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이 한센병력노인의 발바닥 감각상태에 따른 정적·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unk-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on Static and Dynamic Balance of Elderly With History of Leprosy Patients According to Sole Sensory Conditions)

  • 정순미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8-27
    • /
    • 2011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itive effects of specially designed trunk-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on lower extremity balance of elderly with history of leprosy. In this participants, lower extremity functions has been undermined by the development of damage in peripheral nerves. A total of 40 elderly with history of leprosy were divided into 2 groups of equal size ($n_{1,\;2}=20$): a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xercise program, and a control group that did not exercise but did continue to engage in normal daily activities (including walking). The exercise group exercised for 60 minutes 2 days a week for 12 weeks. Static balance ability was measured by asking study participants to a one leg standing test: dynamic balancing ability was measured with a tandem walking test and a timed up-and-go test. The participants in the exercise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completion of the exercise program for comparison, and then divided according to their ability to feel sensory in the soles of their feet into the categories of normal sensory group: group with sensory loss in one foot: and group with sensory loss in both feet. The participants in the exercise program showed a positi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c balanc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05) as measured using the one leg standing test. Similarly, the participants in dynamic balance (p<.05) as measured using the tandem walking and timed up-and-go tests. Finally, these improvements were related to the severity of sensory loss in the soles of the feet for all study participants.

그룹감각통합치료가 아동의 놀이와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for Play Skill and Social Interaction)

  • 홍은경;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25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감각처리장애아동에서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적용 후에 놀이와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실험대상은 B지역에 거주하는 3-7세의 감각통합장애가 있는 아동 3명이었다. 평가는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전과 후에 감각처리능력과 놀이 기술, 그리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모를 통해 감각처리능력의 Sensory Profile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사회성숙도 검사를 하였고, 관찰을 통해 놀이 기술의 The Test of Playfulness와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Peer Social Interactions Rating Scale을 평가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회기 동안에는 Goal Attainment Scale를 통해 감각처리능력과 놀이 기술, 그리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평가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은 촉각, 전정감각, 고유수용성감각을 위주로 하여 구성하였고, 4주간 총 12회기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SPSS/WIN 버전10.0과 엑셀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에 놀이기술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동안 평가한 GAS의 결과, 놀이기술과 감각처리에서 점차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이 감각통합장애아동에서 놀이기술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명확하게 결론짓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대상의 수와 실험기간을 늘려 치료를 적용한다면, 더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 PDF

Sous-Vide 조리법을 적용한 오리 가슴살의 관능적 및 품질특성 (The Sensory and Physico-Chemical of Sous-Vide Cooking Duck Breast Meat)

  • 안종성;김세한;김나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90-998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ous-vide duck breast by comparing its water content, pH, color, number of microorganism, mechanical quality characteristic test, springiness, and sensory test with its control group which was cooked in traditional way. Sous-vide duck breast brightness, yellowness, and springiness. It l redness, hardness, and number of microorganism than its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pH difference. Although sous-vide duck breast need longer cooking time, it was softer and had springiness. Overal-vide duck breast longer storage period and than traditionally cooked duck breast in sensory teste expected.

Some New Approaches to Consumer Acceptance Measurement as a Guide to Marketing

  • Lee, Hye-Seong;O'Mahony, Michael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6호
    • /
    • pp.863-867
    • /
    • 2007
  • The potential impact of the methods of sensory science on consumer testing and marketing is reviewed. Areas such as predicting purchase behavior, new approaches to scaling, and cross cultural effects are discussed. An example of the complexity of sensory measurement used to obtain consumer and marketing information is highlighted, using the simple paired preference test as an example.

Sensory Difference Testing: The Problem of Overdispersion and the Use of Beta Binomial Statistical Analysis

  • Lee, Hye-Seong;O'Mahony, Michael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4호
    • /
    • pp.494-498
    • /
    • 2006
  • An increase in variance (overdispersion) can occur when a binomial statistical analysis is applied to sensory difference test data in which replicate sensory evaluations (tastings) and multiple evaluators (judges) are combined to increase the sample size. Such a practice can cause extensive Type I errors, leading to serious misinterpretations of the data, especially when traditional simple binomial analysis is applied. Alternatively, the use of beta binomial analysis will circumvent the problem of overdispersion. This brief review discusses the uses and computation methodology of beta binomial analysis and in practice evidence for the occurrence of overdisp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