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method

검색결과 1,257건 처리시간 0.026초

가자미 구이 저작·연하 용이 노인식 개발 (Development of Easily Chewable and Swallowable Pan-fried Flat Fish for Elderly)

  • 김수정;주나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3-159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food for the elderly, which are well-shaped and easy to chew and swallow. The amounts of water and gelatin were adjusted to facilitate breaking down of the food with the tongue. In the aging society,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products that can ease the intake functions of swallowing and chewing, while complementing with the essential nutrients supplements; such products can be actively commercialized in the elderly industry. Various types of food, for elderly with difficulties in chewing and swallowing, were used for sensory assessment. Sensory panel consisted of 10 dietitians (10 women) in nursing care facilities. The sensory optimal composite recipes were determined by central composite design (CCD). The sensory measurem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appearance (p<0.01), saltiness (p<0.01) and overall quality (p<0.01). The optimum formulation of pan fried flat fish, calculated by numerical and graphical method, was 8.54 g of salt and 6.34 g of olive oil. Moisture content, hardness, and adhesiveness of pan fried flat fish were 84.77%, 250, and -1.20, respectively. The result showed that easily chewable and swallowable pan fried flat fish for the elderly will have sufficient competitiveness, considering its safety, taste, and preference. This study may provide the basic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easily chewable and swallowable foods for elderly.

단체급식 및 외식업체에서 이용되는 양상추의 식초수 소독의 적용을 위한 연구;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Applying Vinegar as a Disinfectant for Lettuce in Foodservice Operations;A Focused Evaluation of Its Phys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Effects)

  • 김혜영;김현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28-235
    • /
    • 2008
  • In this study, vinegar disinfection was evaluated as a novel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raw food ingredients used in foodservice operations. The test materials were washed and disinfected using three different methods, and were then stored at temperatures of $3^{\circ}C\;and\;10^{\circ}$ for 7 days; Following storag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 comparisons were performed. Temperature for all test materials ranged between 15.2-20. $9^{\circ}C$, water activity was maintained near 0.96, and the pH levels of the samples were 6.44, 6.29, and 6.35, respectively. Residual chlorine levels were generally low, ranging between 0.01 and 0.02. The physicochemical qualities of the sample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storage method and temperature. Brightness(L value), redness(a value), and yellowness(b value)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storage time. The evaluated sensory characteristics included appearance, color, smell,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nce. With regard to storage temperature the vinegar-treated samples were evaluated as superior, receiving a score of 7.00, and the ingredients stored at $3^{\circ}C$ were evaluated as significantly (p< 0.001) superior to those stored at $10^{\circ}C$. Overall, vinegar is an effective disinfectant to apply in the preparation of raw vegetables that are typically served without heating, and which can cause serious food safety issues when contaminated.

Extraction and Mixing Effects of Grape (Campbell) Seed Oil

  • Kang, Han-Chul;Min, Young-Kyoo;Hwang, Jong-Taek;Kim, Si-Dong;Kim, Tae-Su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175-179
    • /
    • 1999
  • Grape seed oil was extracted using different preparatory treatments as follows: (1) grinding, (2) grinding and roasting, (3) grinding and wet- roasting, (4) grinding, roasting, and wet-roasting, and (5) grinding, wet-roasting, and wet-roasting.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as obtained from the sample with the method (2). Initial states of oxidation were similar except method (1) that showed more oxidized state, being P.O.V.8. Acid values were observed in the range from 1.42 to 1.89. The lowest acid value was found as 1.42 in method (1) and those of others were somewhat higher, indicating that heating process of roasting produced some free fatty acids. From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the best odor and taste were obtained from the methods (2) and (3). Repetitive procedure of wet-roasting, like method 5, caused some loss of flavor components and decrease in the sensory evaluation score. Addition of grape seed oil (method 2) to soybean and perilla oil at the level of 20% retained considerable antioxidant activities as much as 4.3 and 5 times, respectively, than 100% soybean or perilla oil stored for 12 weeks. When soybean or perilla oil was mixed with 20% grape seed oils, P.O.V. decreased to half of that of unmixed oils.

  • PDF

Ayres의 감각통합중재 중심원리에 따른 치료사의 치료수행도 조사 (Fidelity in Core Principles of Ayres Sensory Integration$^{(R)}$ Intervention: In Clinical Practice)

  • 홍은경;김경미;장문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20
    • /
    • 2011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자기-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Ayres의 감각통합중재 중심 원리를 바탕으로 한 치료사의 치료적 수행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기간은 2010년 5월부터 6월까지이었고, 연구대상은 감각통합중재를 하고 있는 치료사 66명이었다.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Ayres의 감각통합중재 중심원리에 따라 치료를 수행하는 정도를 자기-평가하도록 하였다. 설문지는 감각의 기회제공, 적절한 도전의 과제 제공, 활동을 선택할 기회 제공 등 Ayres의 감각통합중재 중심 원리에 대한 10가지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총 66부의 수거된 설문지는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T 값을 통해 퍼센타일을 알아보았다. 결과 : 모든 치료사들은 Ayres의 감각통합중재 중심 원리의 10가지를 모두 고려하여 치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가지 Ayres의 감각통합중재 중심 원리 중 자기 조직화 가이드 중심 원리를 제외하고 90%이상에서 종종, 자주, 항상 고려하여 치료하고 있었다. 감각의 기회제공, 적절한 과제제공, 활동 선택 기회제공, 아동의 성공을 최대화, 신체적 안전성 보장, 치료적 존중의 감정 조성은 T 값 50점 이상을 나타냈다. 자기 조직화 가이드, 적절한 각성 유지, 놀이 환경의 조성, 아동이 치료실 정리에 참여는 T 값 50점 이하를 나타냈다. 결론 : 지속적인 Ayres의 감각통합중재 중심 원리에 따른 치료사의 자기 수행에 대한 평가를 통해 치료의 질을 점검하고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 PDF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he Brotherhood Group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to Social Interaction of the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 박지훈;김수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1-31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전반적 발달장애 진단을 받은 만 7~8세 아동 2명을 대상으로 2011년 7월부터 9월까지 총 8주간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개별실험연구방법(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선 A 3회기, 중재기 B 16회기, 기초선 A' 3회기로 총 22회기를 적용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은 기초선 A와 A'기간에 ESI(Evaluation Social Interaction)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의 빈도는 기초선 기간에는 중재가 없는 상태에서 측정하였으며, 중재기간에는 매 중재 후 10분간의 자유놀이를 비디오로 촬영하여 등간기록법(interval recording)을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 아동 모두에게서 중재 후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매 회기 중재 후 실시한 자유놀이에서 대상 아동 모두 기초선 A의 평균과 2표준편차 밴드 이상인 값들이 두 개 이상 연속으로 나타나 사회적 상호작용의 빈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결론 :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가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임상에서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에게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치료방법으로써 형제그룹 감각통합치료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감각통합치료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의 신체도식과 실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Program on Body-scheme and Praxis Ability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 김현호;유병국;장용수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7-57
    • /
    • 2009
  • 목적: 본 논문에서는 감각통합치료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신체도식과 실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30명의 발달장애아를 대상으로 6주 동안 Ayres의 감각통합이론을 근거로 변형된 발달장애아 감각통합 치료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실행능력의 평가는 신체도식 검사(한점 모방 검사, 신체 6퍼즐 맞추기 검사), 실행검사(언어지시실행, 구강실행, 순서실행) 및 감각통합실행검사(SIPT)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치료 전과 치료 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 1. 감각통합치료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의 신체도식능력, 즉 한 점 모방과 신체 6 퍼즐 맞추기 능력에서 치료 전 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2. 감각통합치료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의 실행능력, 즉 언어지시실행, 구강실행 과 순서실행 모두에서 치료 전 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 3. 감각통합치료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의 감각통합실행능력(SIPT)에서 유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다(p<0.01).

  • PDF

대학생의 플립드 러닝 기반 감각통합치료 수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Students' Experiences of Flipped Learning-Based Clas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 이나핼;정혜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0-92
    • /
    • 2017
  • 목적 : 플립드 러닝기반 감각통합치료 수업을 받은 작업치료 대학생의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고 수업 후 학습자의 요구와 성찰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대학생의 플립드 러닝 기반 감각통합치료 수업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중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7년 1학기 K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전공필수과목인 '감각통합치료 및 실습'을 수강한 3학년 학생 중 10명이다. 자료 수집을 위해 일대일 면담방법을 이용하였고, 녹음한 면담내용을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의미단위 20개, 중심의미 8개, 주제 3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경험, 오프라인 수업에서의 학습경험, 플립드 러닝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와 성찰의 주제로 분석하였다. 온라인 수업은 원하는 시간과 공간에서 학습할 수 있다는 편리함과 반복학습의 만족감을 가져왔다. 하지만 교수와의 면대면 수업의 부재로 소통과 집중력의 문제를 호소하였다. 오프라인 수업에서는 다양한 감각통합 실습수업에 흥미를 보였고, 적극적인 실습태도의 변화가 있었다. 결론 : 실습이 요구되는 감각통합 수업에 플립드 러닝 기반 수업은 시간의 확보와 실습 몰입 면에서 효과가 있었다. 다른 작업치료교과목도 플립드 러닝으로 수업하고 싶다는 요구가 있었으며, 플립드 러닝 수업을 통해 능동적인 학습 자세가 필요하다는 성찰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작업치료 교육 분야에서 플립드 러닝 수업을 시도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식미 관능평가 5가지 방법별 전문가와 일반인의 평가능력 비교 (Comparison of the Sensory Ability of Experts and Untrained Panelists to Evaluate Cooked Rince by using Five Sensory Methods)

  • 윤미라;곽지은;이정희;전재범;박향미;서정필;장재기;이춘기;이점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92-97
    • /
    • 2016
  • 본 시험은 관능평가 5가지 방법별 전문가와 일반인의 평가능력을 비교하여 쌀 산업현장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이용 가능한 식미 관능평가 방법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품종 간 식미에서 단순차이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일-이점 검사 및 삼점검사를 수행한 결과 전문가 및 일반인 패널 모두 하이아미, 추청 및 다산 1호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품종 간 식미특성 차이에 의한 선호도 평가를 위해 이점비교검사, 순위법 및 다시료비교검사를 수행하였다. 전문가 패널은 3가지 관능평가 방법 모두에서 하이아미 > 추청 > 다산 1호 순으로 좋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반면 일반인 패널에서는 이점비교검사와 순위법에서만 하이아미 > 추청 > 다산 1호 순으로 유의하게 좋은 것으로 평가하였으나, 다시료비교법에서는 하이아미와 추청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쌀 산업현장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식미관능평가 방법은 2개 품종 간 식미특성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이점비교검사법을, 3개 이상 품종 간 식미특성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순위법이 적합할 것으로 고찰된다.

감각통합중재를 사용하는 작업치료사의 실무 역량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요구도 (Investigating Professional Competency and the Needs of Training for Occupational Therapists Using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s)

  • 정혜림;이지현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6-38
    • /
    • 2022
  • 목적 : 감각통합중재를 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감각통합중재 역량의 중요도, 수행도,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여 역량의 우선 순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성별, 나이, 학력, 근무지, 작업치료 경력, 감각통합치료 경력을 조사하고, 감각통합중재 역량의 중요도, 수행도,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역량의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통해 그 차이를 조사하고, 보리치 요구도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역량의 우선순위를 조사하였다. 결과 : 치료사들은 전문성 역량군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수행도는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모든 하위역량에서 중요도는 높지만 수행도는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요구도 결과 전문성 역량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요도-수행도 분석 결과 전문성 역량군이 가장 시급한 중점개선 영역으로 나타났고, 보리치 요구도 분석 결과 모든 역량의 중요도와 실제 수행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전문성 역량군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결론 : 감각통합중재를 하는 작업치료사는 전문성 역량군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지만 실제 임상 수행에서는 가장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에 우선 고려되어야 할 부분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역량기반 감각통합중재 교육과정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R 디스플레이 연결을 통한 감각시각화에 대한 표현 검토 (Study on the Expression of Sensory Visualization through AR Display Connection - Focusing on Eye Tracking)

  • 마소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357-363
    • /
    • 2024
  • AR 디스플레이 가상기술이 대중 학습 생활에 광범위하게 들어오면서 현실과 가상이 연결을 하는 디자인 전달 방식도 변화하고 있다. 본 논문은 평면의 시각적방향 감각 정보 시각화 경험을 통하여 3D 연결 감각 정보 시각화 경험과 가상 현실적 증강 사이의 표현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AR 디스플레이 대한 고찰과 평면 시각화 사례의 현재 적용과 비교하여 기본 설정하는 방법을 조사하여 분석된다. AR 디스플레이 연결 디자인에서 제스처 연결, 안구추적, 음성 연결 및 센서의 4가지 범주에서 안구 추적 기술을 중심으로 감각 시각화와의 관계를 통해 사용자가 더 나은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이 논문의 범위이다. AR 디스플레이 상호작용에 대한 고찰과 평면 시각화 사례의 현재 적용 및 비교 분석 과정을 통해 AR 디스플레이 상호작용을 통한 안구 추적 기술을 중심으로 감각 시각화의 요소 시각 도형의 기하학적 일관성, 빛과 색상의 일관성, 다감각 상호작용 방식의 조합, 합리적인 내용의 표시, 스마트 푸시는 가상현실에서의 감각 시각화를 보다 사실적이고 편리하게 표현하여 수용자에게 간단하고 편리한 감각 시각화 경험을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