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ior employment program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9초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Policy Suggestions for Senior Employment Promotion Programs for Improving Life Quality for the Elderly)

  • 박경순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9권4호
    • /
    • pp.1-17
    • /
    • 2015
  • This study is aimed to discover the deciding factors in senior employment program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The dependent variable used in this study was the quality of elderly persons. Personal and familial characteristics, and the community involvement of the elderly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encouraging the elderly to participate in a senior employment promotion program was previous experience of senior employment programs. Second, health condition, residence in city areas, experience of volunteer work, and knowledge of senior employment program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men and women. However, living arrangements had an effect solely on elderly men, and home ownership and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had effects solely on elderly women. Third, the life quality of the elderly was affected differently by sex. Health condition had the greatest effect on male elderly persons, whereas, the effective variable, the composition of the family had the most effect on female elderly persons. Thus, active campaigns through various mass media and information sessions are needed to promote participation in senior employment programs, according to the above mentioned deciding factors. In particular infrastructure providing the elderly with more volunteer work opportunity needs to be built for baby boomer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In addition, diversified senior employment programs are needed. Because the elderly living in city areas are more willing to participate in senior employment programs, specialized programs suitable for the elderly in city areas are needed. The government should also prepare programs that help the elderly stay healthy while they are working.

농촌노인의 일자리사업 참여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of Rural Elderly People in Senior Employment Programs, Satisfaction Level and Needs)

  • 하경분;주민경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0권4호
    • /
    • pp.1149-117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농촌노인들의 일자리사업 참여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도를 살펴봄으로써 농촌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노인들은 노인일자리사업 중에 공익형에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었으며, 환경개선사업 활동을 가장 많이 하고 있었고, 생계비 마련을 위해 가장 많이 참여하였다. 둘째, 노인일자사업 중에는 소속기관 실무자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급여수준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셋째, 농촌노인들은 노인일자리사업 교육에 있어 가장 우선적으로 노인의 차이와 다양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강화가 개선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으며,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교통문제로 인해 가장 많은 어려움을 느꼈다. 이런 결과를 볼 때, 농촌노인들의 특성과 욕구에 맞는 보다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제공과 교통편의 제공을 통해 참된 자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적 배려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시니어클럽의 현황 및 정책과제: 노인일자리사업을 중심으로 (Current Status and Policy Issues of Senior Clubs: With Focus on Senior Employment Programs)

  • 원영희
    • 한국노년학
    • /
    • 제32권2호
    • /
    • pp.525-54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시니어클럽의 현황 전반에 대해 살펴보고, 노인일자리사업을 중심으로 시니어 클럽의 정책과제를 모색함에 있다. 시니어클럽의 현황에서 법적 근거, 조직, 사업 유형, 재원, 사업 성과, 그리고 운영상 어려움(낮은 수익 산출, 높은 노동 강도와 저임금, 부족한 예산 지원, 사업수행의 법적 근거 미약)에 대해 살펴 보았다. 향후 시니어클럽의 정책과제로 1) 시니어클럽의 역할 정립(지역노인일자리사업의 거점, 지역특성에 적합한 시장형 노인일자리사업 수행 주체, 노인인식 증진 및 노인역량 강화를 통한 지역사회 변화의 구심체), 2) 노인일자리의 질적 향상(욕구반영 및 지속 가능한 노인일자리 창출, 노인일자리사업 교육의 내실화, 실무자의 근무여건 향상, 민·관 지원연계 및 파트너십 구축), 3) 노인일자리사업 관련 법 제·개정 등을 제시하였다.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셀프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the Job Performance by Participants' Self-leadership and Empowerment in Senior Employment Programs)

  • 박용두;정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216-226
    • /
    • 2013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셀프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을 매개로 하여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광주, 전남, 전북, 제주지역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로 총 158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SPSS Versio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각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셀프리더십과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통해 직무성과가 극대화 된다고 나타났다. 이를 위해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자연적보상전략과 의미성, 역량, 영향력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시니어계층의 취업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연구 (Study on the Policy Directives for Activation of a Senior Employment)

  • 권기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24-136
    • /
    • 2014
  • 본 연구는 세계에서 유례없이 인구의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우리의 현 상황 속에서, 시니어계층의 삶의 질 확보를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시니어계층 취업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국, 영국, 일본의 법적, 제도적 측면의 정책을 조사하였고, 이를 근거로 시니어계층의 취업활성화와 관련한 기존 정책의 문제점을 법규적 측면, 정책 프로그램적 측면, 사회적 환경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법규적 측면에서는 정년 나이 제한, 권고조항의 강화, 법규제정 주체의 일원화, 정책 프로그램적 측면에서는 목표설정의 방향조정, 교육프로그램의 운영기간 및 다양화 측면, 운영프로그램간의 네트워크화, 65세 이상으로 교육 대상의 확대, 사회적 환경측면에서는 민간차원에서의 적극적 정책시행 및 시니어계층을 대하는 인식의 변화와 관련한 홍보정책 등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으며, 그에 대한 대책을 제안하였다.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 유용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29-13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참여노인의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임파워먼트 및 노인의 생활만족도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임파워먼트는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임파워먼트가 높일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일자리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둘째, 새로운 사회적지지망 형성과 자원 개발 연결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들의 일자리 욕구에 부합되는 맞춤식 일자리 제공과 같은 임파워먼트 접근이 필요하다.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노인대상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노인종합복지관과 비교하여 - (A Study on the Services of Senior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Compared with the Senior Programs in Senior Welfare Centers)

  • 이명희;김미초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91-107
    • /
    • 2010
  • 본 논문은 고령화 사회의 공공도서관에서 제공되는 노인대상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 수집을 위해 서울시 소재 노인종합복지관과 공공도서관 홈페이지의 노인교육 프로그램을 비교하였다. 프로그램 내용을 건강, 문해/교양, 정보화교육, 죽음준비교육, 취미, 취업/자원봉사의 6가지 세부주제로 구분하여 각 기관별 해당 주제를 조사하였다. 두 기관에서 가장 많은 교육프로그램이 제공된 분야는 취미분야였으며, 노인종합복지관에서는 공공도서관보다 3배이상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공공도서관의 경우, 취미(34.1%), 기타, 문해/교양(24.4%), 건강과 정보화교육(22.0%), 취업/자원봉사(17.1%), 죽음준비(7.3%)순으로 프로그램이 제공되었으며, 문제점에 따른 제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행복지도 만들기'를 14주차에 걸쳐서 시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예시하였다.

An Analysis of the Senior Employment Programs for Wellness in Changwon City based on Blended Return On Investment

  • Jang, Yumi;Jin, Jaem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8권3호
    • /
    • pp.66-73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conomic and social impact of the SEP in which the elderly participate by using the blended return on investment (BROI), economic return on investment (EROI), and social return on investment (SROI) research methods. And the sustainable conditions of SEP were confirme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one market-type SEP approved by the Korea Elderly Labor Force Development Institute (KLFDI), one preliminary social enterprise approved by Changwon City Hall, and one market-type SEP operated by a social welfare center for the elderl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EROI, SROI, and BROI were the highest in the SEP of preliminary social enterprises operated by subsidies in Changwon.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EROI and SROI was greatest in the market-type SEP operated by the elderly social welfare center.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economic and social impacts. The social influence of the elderly was evaluated to be higher than the income of the elderly.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노인의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자아존중감과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Factors that Influence Social Relations in Elderly People Participating in the Senior Employment Project: Focusing on the Job Satisfaction and Self-esteem)

  • 유용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231-24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노인의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노후의 사회적 관계 증진을 통해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임의표집방법을 활용하여 노인일자리 사업에 1년 이상 참여한 경험이 있는 노인 272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직무만족은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노인의 사회적 관계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일자리 사업참여노인의 자아존중감, 직무만족이 높일수록 사회적 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정책 및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노인들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근로자성의 인정, 사업유형 및 분야의 다양화, 처우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새로운 사회적 관계망 형성을 위한 공적 비공식적 지원체계 개발 및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체육계열 4학년 학생의 취업준비행동 분석 (A Study on Employment Preparation of Graduating Senior in the Department affiliated with Physical Education)

  • 최진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453-460
    • /
    • 2017
  • 이 연구는 4학년 체육계열학과 졸업대상자를 중심으로 취업준비행동을 파악하고 현재 상황을 되짚어 전략적인 취업지도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분석을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3 대졸자 직업이동조사 기초분석보고서를 비교대상으로 삼았다.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경기, 서울, 충남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5개 대학 체육계열학과 164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그에 따른 기술통계, 빈도분석, 독립표본 평균 t-검증을 통해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재 4학년 체육계열학과 졸업대상자들은 교내 취업프로그램에 낮은 참여율을 보였으며 진로 및 취업프로그램과 적성검사에만 50% 정도의 참여경험을 나타냈다. 대학교육과 진로관련 지원에는 만족하고 있었지만 취업시설과 복지시설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전공과 관련한 국가전문자격증과 민간자격증을 취득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청년고용정책에는 실제 참여율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체육계열학과 특성에 맞는 전략적인 취업준비지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