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king image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5초

이용자 중심의 이미지 접근과 이용 분석을 통한 차세대 멀티미디어 검색 패러다임 요소에 관한 연구 (Towards Next Generation Multimedia Information Retrieval by Analyzing User-centered Image Access and Use)

  • 정은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121-138
    • /
    • 2017
  • 멀티미디어 정보환경의 발전과 다양한 요구를 지닌 정보이용자는 멀티미디어의 접근과 이용에 있어서 기존 정보검색 패러다임에서 중요시하지 않았던 요소를 사용하는 추세이다. 특히 이미지를 포함한 멀티미디어의 감정 접근과 이용은 다양한 정보환경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추상적 개념인 감정을 이용자에게 접근점으로 제공할 필요성이 증가한다. 본 연구는 감정으로 접근이 가능한 게티 이미지 뱅크의 이미지를 5가지 기본 감정으로 검색하여 부여된 색인어 총 22,675건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색인어는 전체감정, 긍정감정, 부정감정의 세 가지 데이터셋으로 구분하여 분석되었다. 분석을 위해서는 동시출현단어행렬로 작성되어 가중 네트워크와 군집화기법으로 시각화되었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전체감정은 대분류로써 긍정감정, 부정감정, 가족의 3개 군집과 하위 20개의 군집으로 나타났다. 긍정감정은 10개의 군집이며, 부정감정은 10개의 군집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가중 네트워크와 군집구성 분석을 통해, 세 가지 중요한 차세대 멀티미디어 검색을 위한 요소로 논의하였다. 첫째는 이미지 감정 표현을 위한 인물 색인어 특성이다. 둘째는 명시적 단어와 감정을 표현하는 함축적 단어와의 네트워크 구성을 통해서 상대적으로 색인이 용이한 명시적 단어만으로도 함축적 단어 추론 가능성이다. 셋째는 감정으로 표현하는 함축적 단어의 유사어/동의어로의 확장은 이용자 중심의 접근을 제공하는 측면에서 중요하다는 점이다.

예비 가정교사들의 가정교과에 대한 이미지의 유형 (Preliminary Home Economics Teachers' Image of Home Economics)

  • 왕석순;남수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05-211
    • /
    • 2008
  •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의 성격과 정체성, 그리고 미래 방향을 탐구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가정교과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인식인 교과의 이미지를 유형화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개인의 주관적 인식 경향을 객관화하여 유형화할 수 있는 질적 연구방법인 Q방법론을 활용하여 예비 가정교사를 대상으로 가정과교과의 이미지를 유형화 하였다. 그 결과 가정교과에 대한 이미지의 유형을 총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유형은 '사회의 적응을 위한 교과'로서 인식하는 집단이다. 이 유형은 가정교과를 통해 개인이 사회의 성숙된 구성원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능력이 길러지며, 미래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가정교과를 통해 완성될 수 있다고 인식하는 집단이다. 두 번째 유형은 '편견으로 소외된 교과'로서 인식하는 집단이다. 이 유형은 가정교과는 다른 교과와 비교할 때 입시와 관련이 적고 취업과도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아직도 가정주부들의 일을 배우는 교과로 인식하는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상처를 많이 받는 교과로 생각하는 집단이다. 세 번째 유형은 '삶의 기본요소를 알려주는 교과'로 인식하는 집단이다. 가정교과가 삶의 기본적인 요소를 가르쳐 주는 교과로 다양한 경험의 습득, 바르게 살아갈 수 있는 능력 등과 관련된 교과로 인식하는 집단으로, 인간생활의 거의 모든 면을 다루는 교과로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교과로 생각하는 집단이다. 네 번째 유형은 '가정생활을 강조하는 교과'로 인식하는 집단이다. 이 집단의 경우 가정교과를 전통적으로 가정교과가 담당하고 있었던 가정생활 영위를 위한 기술과 능력을 배양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이러한 가정생활의 기술이 여성에게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남성에게도 필요한 분야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다섯 번째 유형은 '개인적 성숙을 강조하는 교과'로 생각하는 집단이다. 이 유형에 속하는 집단은 가정교과가 개인의 성숙의 바탕이 되는 기본적인 자질을 배양하는 경향이 있으며, 기본적인 인격수양과 바른 인성 그리고 위기대처 능력까지를 포함한 개인발달의 기초가 되는 여러 가지 능력을 키우는 교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여헌(旅軒) 한시(漢詩)에 나타난 대나무(竹)의 이미지 -현실인식(現實認識)과 삶의 지향(志向)을 중심으로- (The Image of Bamboo from Yeoheon Chang Hyun-kwang's Poetry - Focusing on his view of world and attitude to life)

  • 권혁명
    • 동양고전연구
    • /
    • 제41호
    • /
    • pp.91-120
    • /
    • 2010
  • 본고는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한시 속에 등장하는 주요 이미지인 '대나무(죽(竹))'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그것이 가지는 상징적 의미를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은거의 계기로서 여헌의 현실인식과 출처관을 살펴보았다. 여헌은 당대의 현실을 '강상(綱常)이 실추(失墜)된 것'으로 인식하였다. 여헌이 살았던 선조, 광해군, 인조대는 4번의 전란과 인조반정, 이괄의 난, 정치세력 간의 대립과 갈등, 사회경제구조의 변화, 지배질서체제의 이완 등 대내외적으로 불안정하고 어려운 시기였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위로는 위정자로부터 아래로는 백성에 이르기까지 모든 사람들이 인륜의 근간이 되는 강상윤리를 무시하고 일신의 안위와 이익만을 추구하기에 급급하였다. 따라서 여헌은 강상이 실추된 현실 속에서 출사할 마땅한 의리를 찾지 못하고 은거를 선택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여헌이 은거 후에 지향한 삶의 태도는 대나무의 이미지를 통해 드러나고 있는 바, 완성된 인격을 바탕으로 강상(綱常)의 사표(師表)로 살아가고자 하는 의지라 할 수 있다. 여헌의 시에는 일반 대나무와 길재가 심은 대나무가 그 의미에 있어서 차이를 드러낸다. 일반 대나무는 불변함과 고결함의 이미지를 지니고 있지만, 여헌이 지향한 삶의 태도로서 길재의 대나무는 백이숙제의 고죽과 기욱의 대나무의 이미지를 동시에 지니고 있었다. 즉, 백이 숙제의 고죽은 부정한 현실에 동참하지 않고 변함없이 은거하는 삶을 살아가겠다는 은거에의 확고한 의지를, 기욱의 대나무는 학문 수양을 통해 완성된 인격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었다. 여헌이 금오산 정상에서 길재가 심은 대나무를 찾아보고는 '어느 곳인들 대나무가 없겠는가마는 나는 선생이 심으신 이 대나무를 사랑한다오'라고 하며 대나무의 이미지를 빙(氷), 철(鐵), 옥(玉) 등의 더 차갑고, 더 단단하고, 더 강인한 것으로 강화시킨 것도, 단단해진 인격을 바탕으로 강상의 사표로 살아가고자 삶의 지향이었던 것이다.

임플란트 수술환자의 치과의료기관 선택요인: 청장년층 20~64세를 대상으로 (Dental institution selection factors for implant surgery among young adults aged 20-64 years)

  • 박보영;오유빈;김정민;김채린;어소령;장유진;최주현;윤미숙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5-33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factors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dental institutions for implant surgery among young adults (age: 20-64 years) and identifying differences in these factor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Methods: We conducted an internet survey for approximately 2 months, from April to July 2022, and analyzed data from a total of 128 people. Dental institution selection factors included three items of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five items of physical environment, three items of image of institution, five items of image of dental staff, five items of dental service, and four items of basic dental elements. The importance score for each item was investigated on a five-point scale. Results: The importance score for each dental institution selection factor was the highest for dental service (4.42 points), followed by basic dental element (4.00 points), physical environment (3.89 points), image of institution (3.81 points),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3.76 points), and image of dental staff (2.78 points). The importance score for each item was the highest for dentists' technique, followed by cleanliness, reliability, and dentists' attitude. Women had higher average scores for all factors compared to me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scores for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physical environment, image of institution, dental service, and basic dental elements (p< 0.05). Conclusion: To attract patients seeking implants to a dental institution,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patients' institution selection factors. In addition, the environment of a dental institution should be created in such a way that it favors patients' selection factors.

지역 이미지 표현을 위한 가로환경시설물 개선방안 - 안동시 가로환경시설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reet environmental facilities improvement plan for regional image - Concentate in city of Andong environmental facilities -)

  • 최계영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91-203
    • /
    • 2007
  • 빠른 경제성장과 함께 도시환경에 대한 관심증가는 도시환경조성이 도시의 생명력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1995년 지방자치제가 실행됨으로써 지자체의 활성화와 자립기반조성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지역 고유의 이미지 확립을 위한 여러 방안의 시도를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안동시 가로환경시설물 사례분석을 통하여 지방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문화적 특징을 반영하여 지역 고유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가로환경시설물들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방자치단체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현재 안동시에 설치되어있는 가로환경시설물의 문제점 분석을 통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지역고유의 이미지표현을 위한 가로환경시설물의 활발한 설치는 다양한 부가가치 창출의 기반을 마련하고 고유의 이미지 확립을 통한 지역민자부심고취를 통한 지자체 발전에 한몫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많은 적용사례가 늘어나 새로운 지역이미지 표현의 방법으로 많은 투자와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PDF

X세대 남성의 패션스타일 유형과 특성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Styles of the Generation-X Man)

  • 홍윤정;김리라;김영인
    • 복식
    • /
    • 제65권1호
    • /
    • pp.150-163
    • /
    • 2015
  • Due to desire for more variation from male consumers within the men's fashion market in Korea, there has been an ongoing development of departmentalization of fashion styles. The Generation-X man, in particular, is the most active member of our current day society, and will be the principal agent in the senior market from here on forth. Thus, this study categorized their preferred fashion styles, and will seek to analyze the behaviors related to the pursuit of clothing of the Generation-X man. The qualitative investigations of the Q-method as well as the quantitative investigation of the SPSS 12.0 were used in conjunction as the method of study. Additionally, images and types resulting from the preceding first-year study entitled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Men's Fashion Images" were utilized as part of the surveys. As a result of the Q-method, which was used to derive the preferred fashion styles of the Generation-X man,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the classic suit preferring 'conservative class type', the polished, comfortable style preferring 'modern sophisticated type', and the adventure and variety seeking 'uninhibited individualistic style'. After analyzing the factors which influence clothing preference behaviors of these men, a total of seven causes were drawn from the results, including: conservative indifference to fashion, others conscious pursuit of fashion, the aim to show off brand name products, high involvement in the aspect of design, pursuit of TPO, pursuit of self-image, and conformity to fashion. The elements that revealed differences in the behaviors in pursuing clothing within the preferred fashion style types of the Generation-X man included the conservative indifference to fashion, and others conscious pursuit of fashion, which therefore shows that rather than enjoying the fashion lifestyle, these men possess a more conservative disposition instead.

현대복식에 나타난 팝아트 요소의 코드화 -2000년대 초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de of Pop. Art in Modern Style of Clothing -Since the Early of the 2000's-)

  • 위재선;나수임
    • 복식문화연구
    • /
    • 제12권3호
    • /
    • pp.441-454
    • /
    • 2004
  • This article aimed at semiotically analyzing and encoding the characteristics of Pop. Artistic style of a dress in the 2000's, and understanding social and cultural meaning to characteristics revealed at modern style of a dress. As research methods, Pop. Art factors were adjusted to non-individuality, openness, eroticism, parody through precedent research comparing and considering Pop. art, and 61 photo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analyzed into signifier and signified. It'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Non-individualistic image revealed modern style of a dress was intensively indicated at the pattern aspect of Pop. Art style of a dress, and any remarkable characteristics were not shown at the form aspect. Non-individuality was actively and progressively expressed due to the effect of the 2000's trends to pursue of frank desire, artistic and sensual life. For open image revealed at modern style of a dress, the characteristics were intensively highlighted at the details and accessories of style of a dress, and at the details and accessories of style of a dress, and at textile and pattern aspect, and notable signifier did not turn up. Pop. Artistic eroticism in the 2000's could be seen to unconditionally expose, or commercialize sex, but fashionably and gorgeously re-interpret it, which was found that the expression to women was changed in a free and emotionally-oriented way by the influence of feminism, expansion of feministic thought and optimism on New-millenium. At parody, simple and humorous parody rather than deep intended or heavy mattered one was seen, which means the effect of the 21st culture pursuing pleasure, fun and humor appeared as an positive parody phenomenon. It is found that the Pop. Art style of a dress in the 2000s shows up as a feministic, bright, cheerful Pop. Art in that it creates exaggerated harmony mixed with decorativeness ad functionalism, and pursue for frank desire and reflects optimistic trend of New Millenium seeking for fun and humor.

  • PDF

한국화 모티브를 활용한 어패럴용 텍스타일 CAD 디자인 (Textile Design with CAD for Apparel Employing Motives from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 김칠순;조용주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01-110
    • /
    • 2008
  • We believe distinguishable product development to be competitive against foreign products, and realize the need to expand domestic business worldwide. In order to be competitive, we should produce fashion items that meets global taste, and at the same time contain exclusive Korean culture and emotional beauty. This article examines and creates unique textile design with the touch of Korean art. Desigus have been proceeded under the following three themes: 'Strong Ego,' 'Gorgeous Days' and 'Song Eternal Seeking Love' using Primavision Computer-aided Design ("CAD"). We have put our interestes in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called Hangukhwa. Suitable design motives had been selected and modified from the four gracious plants (bamboos, peonies etc.), and paintings of birds and flowers. Primavision, a CAD software, had been used to manipulate those desigus, and to add instant changes in color, scale, and layout. We had modified Korean traditional motives to make modem image, and had arranged layouts which can be suitable for half-drop repeat and square repeat. The use of color is essential in pattern design. Thus, we explored coloring ways for each design to meet the trends, and the final mapping had been conducted in western style of dresses. We have tried to mix Korean image of textile designs with Western clothing style, expressing hybrid in the mapping process. With global movements, we need to develop products with Korean traditional exotic taste to attract foreign consumers. Therefore, we selected symbolic motives from Korean paintings to express deep spiritual significance. We developed textile design and processed mapping on selected western designer's dress, employing current trend colors and making crossover coordination. We realized Korean painting would be an excellent source for exclusive fabric design, and tried to create a modernized design which maintains Korean ethnical identities.

  • PDF

장소마케팅 개념을 도입한 화양읍 농촌중심지 활성화 사업 계획 (A Revitalize Rural Hub Project in Hwayang-eup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Place Marketing)

  • 박지환;김태구;오창송
    • 농촌계획
    • /
    • 제25권2호
    • /
    • pp.119-130
    • /
    • 2019
  • In a situation in which rural areas are declining, local governments are seeking to revitalize areas by place marketing. Place marketing, defined by various efforts to promote the image of a place, has been used as an economic tool. As a result, the image has been over-promoted and marketing has been driven in a perfunctory manner, so individual residents' lives and experiences have been ignored. Thus,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types of cultural place marketing and economic place marketing, this study established a 'project for rural revitalization of Hwayang-eup' so that it could be applied to political place marketing aimed at inducing internal investment and improving the welfare of local residents. To implement this project, the concept was set up as building network organizati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ymbiotic relationship, and various H/W and S/W plans were developed. First of all, in terms of political place marketing, the Hwaeyang Oulim Center was constructed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local autonomous organizations. In terms of cultural place marketing, we explored cultural resources at the village level and created a small community space. In terms of economic place marketing, the landscape around the main street and the township was reorganized to create a cultural business space for urban and rural exchanges. The reinterpretation of place marketing seen through this project was first, it was more process-oriented than results, second, it was important to induce the community-participating village-making project, and finally, the role of experts was important to expand the community movement.

벽면녹화의 패턴 표현방법에 따른 반복패턴 디자인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Repetition Pattern in Green facade focusing on the Biophilic Design)

  • 정희영;이현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81-92
    • /
    • 2016
  • Within green facades, the greening side of the wall is first recognized by people, leaving a visually lasting impression. As facades play a crucial factor in forming street image, their design can be considered most important. In modern days, 'patterns,' one of the popular elements of design, has developed into becoming a method of expressing architects' emotions or images as well as ways of seeking satisfaction. As opposed to recent overseas movement where patterned green facades have been widely utilized, the domestic trend still remains in outdoor green facades without patterns. This study, focusing on overseas patterned green facades, classifies the facade pattern's expressive methods into two greater parts, and four categories. Furthermore, among the elements and properties from Biophilic pattern guidelines, we specifically focus on 'Repetition Pattern,' which corresponds to 'Complexity & Order.' Biophilic design has the notion of pursuing an environment that aids modern people's comfort and well being. Providing information on patterned green facades that have largely gained popularity, this study also presents its aesthetic directions that may be applicable domestically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