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explant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 of Basal Medium and Plant Growth Regulator on in vitro Plant Regeneration from Axillary Buds of Walnut New Cultiver "Sinlyeong"

  • Kwon, Young Hee;Lee, Joung Kwan;Kim, Hee Kyu;Kim, Kyung Ok;Park, Jae Seong;Huh, Yoon Su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15
    • /
    • 2019
  • The walnut (Juglans regia L.), a member of the Juglandaceae, is native to the mountain ranges of central Asia. This species of walnut is valued commercially for its nuts and in some areas for its timber. The seeds of walnut are recalcitrant and it has strong integument dormancy and their germination is irregular, making its natural propagation difficult. Low percentage of seed germination and long propagation cycle are the main problems of propag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medium composition on in vitro plantlet regeneration from axillary buds of walnut. It has proved to be the most generally applicable and reliable method of in vitro propagation. Micropropagation culture that axillary buds are excised aseptically enables faster multiplication of plants. The axillary buds of walnut new cultivar "Sinlyeong" were cultured on two basal media which contained the different plant growth regulators depending on the respective shooting and rooting stage. After 12 weeks, the shoot generation rate was 85.3%, the shoot number and its length were 1.9/explant and 2.7 cm in the most favorable medium composition. The percentage of rooting was 25.4%. From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e optimum basal medium and plant growth regulator for in vitro plant regeneration from axillary buds of walnut new cultivar "Sinlyeong". However, we have continued to search the other medium additives to enhance the rate of walnut root.

  • PDF

Effect of Medium Composition on in vitro Propagation and Plantlet Regeneration from Nodal Explants of Cassava (Manihot esculenta Crantz)

  • Kwon, Young Hee;Lee, Joung Kwan;Kim, Hee Kyu;Kim, Kyung Ok;Park, Jae Seo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16
    • /
    • 2019
  • The Cassava (Manihot esculenta Crantz) is a perennial woody shrub cultivated mainly in the tropics for its starchy tuberous roots. It belongs to the family Euphorbiaceae which also includes rubber (Hevea brasiliensis) and castor bean (Ricinus communis). Among tropical crops, rice, sugarcane, maize and cassava are the most important sources of calories for human consumption. Problems in the propagation of cassava are virus diseases and low rates of seed germination. Thus, a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an efficient in vitro mass propagation protocol of Manihot esculenta Crantz. Young and actively growing stem segments were excised from adult plants of cassava. Samples were cut into a 3~4 cm nodal segments with single node after sterilization, and cultivated in the different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plant growth regulators for 4 weeks. For shoot multiplication, single-node stem segments, approximately 1 cm in length, were taken from in vitro derived shoots and subcultured. After 4~6 weeks, the shoot generation rate was 55.6%, the shoot number and its length were 1.0/explant and 2.3 cm in the most favorable medium composition. Our experiments confirmed that in vitro growth and multiplication of plantlets could depend on its reaction to the different medium composition, and this micropropagation techniques could be a useful system for healthy and vigorous plant production.

  • PDF

High-frequency regeneration of plants in vitro from seedling-derived apical bud explants of Tilia mandshurica Rupr. & Maxim

  • Kim, Tae-Dong;Kim, Nam-Ho;Park, Eung-Jun;Lee, Na-Nyum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54-61
    • /
    • 2021
  • This work describe an efficient method for the shoot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of seedling-derived apical bud explants of Tilia mandshurica Rupr. & Maxim. The highest rate of shoot induction (82.2%) was obtained when apical bud explants from juvenile seedlings (5 months old) were cultured o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containing 1.0 mg/L 6-benzylaminopurine (BAP). However, apical bud explants obtained from mature trees (12 years old) did not produce any shoots, even with BAP supplementation. Among the three cytokinins tested for shoot multiplication (BAP, zeatin, and kinetin), BAP was the most effective; the highest number of shoots per explant (2.1) was observ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0 mg/L BAP. In contrast, the longest average shoot length (3.0 cm) was observed after growth on MS medium with 2.0 mg/L zeatin. No multiplication occurred when apical bud explants were cultured with kinetin-supplemented media. During rooting of in vitro-elongated shoots, the highest rooting rate (100%) was observed in half-strength MS medium supplemented with 0.5 ~ 1.0 mg/L indole-3-butyric acid (IBA) or 3.0 mg/L 1-naphthaleneacetic acid (NAA). During the acclimatization process, plantlets that were rooted on the IBA (0.5 mg/L)-supplemented medium had the highest survival rate (100%) and maximum root length (18.5 c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low concentration (0.5 mg/L) of IBA is appropriate for the rooting and acclimatization of T. mandshurica. Plants were successfully transferred to the greenhouse with a 100% survival rate. This protocol will be useful for the large-scale propagation of Tilia species.

오차드그래스(Dactylis glomerata L.)의 품종에 따른 종자유래의 캘러스 형성률과, 캘러스 크기 및 식물체 재분화 효율의 비교 (Comparison of Callus Formation Ratios from Seed Explants, Callus Sizes and Regeneration Efficiency Among Several O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Varieties)

  • 배은경;이인애;김기용;이병현;손대영;이효신;정민섭;조진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3-100
    • /
    • 2002
  • 국내에 도입된 오차드그래스 27 품종과 국내 합성 품종인 Hapsung 2호의 종자로부터의 캘러스 형성율, 형성된 캘러스의 크기, 캘러스로부터의 재분화율 및 재분화 효율을 4주령 및 6주령의 캘러스에 대하여 얻은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1. 4주령의 캘러스에 대한 종자로부터 캘러스의 형성율은 치상 종자의 50% 이상이 캘러스를 형성한 형성율 상위 품종들은 93M > Sparta > Pizza> Condor > Lidaglo > Glorus >Hapsung2 > Frode의 순이었다. 2. 4주령 캘러스의 크기를 직경(cm)으로 표시하였을 때, 최저 0.43cm, 최고 -4.2cm로서 약 10 배의 직경크기의 차이가 있었으나, 대부분은 2.5cm와 4cm의 범위 내에 있었다. 3. 4주령 캘러스로부터의 재분화는 0~36%의 꽤 넓은 범위의 차이를 보였고, 재분화율은 Plano > 아끼미도리> Justus > Lidacta > Currie > Hall mark의 순으로 높았다. 4. 종자로부터의 재분화율을 계산한 재분화 효율의 범위는 0~l7.4%였으며 그 중 Justus가 17.4%로서 비교품종들 가장 높았다. 5. 캘러스 형성율과 캘러스 크기 사이에는 r=0.5765의 상관 관계가 있었고, 캘러스 형성율과 재분화 효율 사이에는 r=0.6365, 캘러스 크기와 재분화 효율 사이에는 r=0.6246였으며, 이 값들은 모두 1%의 높은 유의성이 있었다. 6. 6주령의 캘러스에 대한 종자로부터의 캘러스 형성율은 Condor > Sparta > 93M > Justus > Potomac > Lidaglo > Frode의 순이었다. 7. 6주령 캘러스의 크기는 1.2~5.7cm로서 품종간에 가장 큰 것과 가장 작은 것 사이에 약 5배의 크기 차이를 보였고, 대조품종인 Hap-sung 2호는 직경이 3.8cm로서 비교품종들 사이에서 다소 큰 편이었다. 8. 6주령의 캘러스의 재분화율은 0%에서 100%까지 큰 편차를 보였는데, Plano가 100%의 재분화율을 보여 치상한 종자가 모두가 캘러스 형성이 된 반면 Juno는 전혀 캘러스화 되지 않았다. 9. 종자로부터 캘러스를 거쳐 재분화되는 재분화 효율의 범위는 0~28%로서 4주령의 범위보다 더 커졌으며 전체적으로 4주령의 재분화 효율보다 6주령의 재분화 효율이 더 높아졌다. 특히 Potomac의 경우 4주령에 비하여 6주령의 것이 3배 이상 재분화 효율이 높아졌다. 10. 6주령의 캘러스 형성율과 캘러스 크기사이에는 r=0.8369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캘러스 형성율과 재분화 효율 사이에는 r=0.6683, 캘러스 크기와 재분화 효율 사이에는 r=0.5937였으며, 이 값들은 모두 1%의 높은 유의성이 있었다.

식물부위(植物部位)와 생장조절제(生長調節濟)가 유채(油菜)(Brassica napus)의 기관분화(器官分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Explant Source and Plant Regulator on Callus Formation and Shoot Regeneration in vitro Culture of Brassica napus L.)

  • 손재근;이현숙;이기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0권
    • /
    • pp.1-9
    • /
    • 1992
  • 기관분화(器官分化)된 유채의 조직으로부터 재분화되는 식물체의 획득빈도를 높이고자 이에 관여하는 몇가지 요인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채의 종자, 무균배양(無菌培養)된 자엽(子葉), 하배축(下胚軸) 및 엽절편(葉切片)배양에서 명상태에서 보다는 암상태에서 캘러스의 생장이 왕성하였고, 하배축(下胚軸)과 자엽조직(子葉組織)에서 형성된 캘러스에서 shoot 분화능력이 높은 편이었다. 자엽(子葉) 및 하배축(下胚軸) 조직(組織)의 캘러스형성에는 2, 4-D 단용보다 2, 4-D와 kinetin 또는 BAP를 혼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자엽조직(子葉組織)의 경우는 2, 4-D(1.0 mg/${\ell}$)와 0.1mg/${\ell}$의 kinetin이 첨가된 배지에 형성된 캘러스를 0.1mg/${\ell}$의 NAA와 2.0 mg/${\ell}$의 kinetin이 첨가된 배치에 이식하였을 때 shoot 분화율이 1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하배축(下胚軸) 조직(組織)에서는 1.0mg/${\ell}$의 2, 4-D와 0.5mg/${\ell}$의 kinetin이 첨가된 배지에서 형성된 캘러스를 0.1mg/${\ell}$의 NAA와 4.0mg/${\ell}$의 kinetin이 혼용된 배지에 이식하였을 때 shoot 분화율(分化率)이 2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엽(子葉) 및 하배축(下胚軸) 조직(組織)의 캘러스 형성과 shoot분화능력의 유채 품종간(品種間) 차이는 매우 뚜렷하게 인정되었고, 자엽(子葉)보다는 하배축(下胚軸) 조직(組織)에서 형성된 캘러스에서 shoot 분화능력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 PDF

병풍쌈의 엽병 조직 절편으로부터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from the Segments of Petioles of Cacalia firma)

  • 최수완;임순;박완근;최용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83-488
    • /
    • 2011
  • 본 연구는 쌈채소로 각광받고 있지만 산림에서는 희귀한 식물이며 번식이 까다로운 병풍쌈(Cacalia firma)을 기내 번식을 통한 식물체 번식을 위하여 진행되었다. 병풍쌈의 기내 종자발아를 위해서는 종자의 절단 및 $GA_3$처리가 효과적이었다. 종자유래 유식물체의 자엽, 잎, 엽병 및 뿌리절편을 BA가 첨가되 배지에 배양한 결과 엽병 절편당 2.76개로 가장 양호하였다. 부정아 유래 식물체의 엽병 절편을 다양한 종류의 cytokinin(2-iP, kinetin, zeatin, TDZ, 및 BA)를 각각 2 $mg{\cdot}L^{-1}$씩 단독 첨가한 배지와, 오옥신으로 NAA 0.5 $mg{\cdot}L^{-1}$을 혼합 첨가한 배지에 접종하였다. 그 결과 TDZ와 BA에서 높은 부정아 유도율을 나타냈고, kinetin에선 낮은 부정아 유도율을 보였으며, 2-iP와 zeatin에서는 부정아가 형성되지 않았다. NAA를 혼합한 배지는 단독 처리 배지보다 높은 유도율을 나타냈지만 배양절편당 부정아의 수는 오히려 줄어들었다. 대부분의 부정아는 cytokinin 단독 처리시 배양절편으로부터 직접부정아가 발생되었으며, cytokinin과 NAA 혼합된 배지에서는 일부 캘러스화된 부분에서 부정아가 발생되었다. 이들 부정아는 IBA가 첨가된 배지에 옮겨준 경우 뿌리가 발생되어 식물체로 재생되었다. 재생된 식물체는 토양에 성공적으로 순화되었다.

억새 성숙종자로부터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에 있어서 식물생장호르몬의 영향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from Mature Seed Culture of Miscanthus sinensis)

  • 박충훈;김용구;김경희;알람 이프테칼;이효진;샤르민 샤미마;이기원;이병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91-298
    • /
    • 2009
  • 억새의 최적 조직배양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성숙종자로부터 배발생 캘러스 유도 및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식물생장 조절물질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발생 캘러스 유도시 첨가되는 auxin으로는 2,4-D가 가장 효율적이었으며, 3 mg/L 2,4-D가 첨가된 배지에서 배발생 캘러스가 가장 높은 빈도로 유도되었다. 식물체 재분화는 배발생 캘러스를 1 mg/L 2,4-D와 2 mg/L BA가 첨가된 재분화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가장 높은 재분화효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효율적인 배발생 캘러스의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 체계는 억새의 신품종 개발을 위한 분자육종 기술 확립에 유용하게 이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오차드그래스의 종자배양에 있어서 식물생장조절물질과 항산화제가 캘러스유도와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Antioxidants on Callus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from Seed Culture of Orchardgrass)

  • 이기원;이상훈;이동기;우현숙;김도현;최명석;김기용;이효신;이병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91-198
    • /
    • 2005
  • 오차드그래스의 최적 조직배양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3가지 품종의 성숙종자로부터 배발생 캘러스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배지첨가물질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성숙종자로 부터 배발생 캘러스 유도시 첨가되는 생장조절 물질로는 3mg/L 2,4-D 또는 dicamba와 0.1mg/L BA를 혼용첨가했을 때가 단용첨가구에 비해 높은 배발생 캘러스 유도효율을 나타내었다. 품종별 식물체 재분화 효율은 'Roughrider'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Frode'가 중간정도, 'Frontier'가 가장 낮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식물체 재분화배지에 항산화물질로서 10mg/L의 $AgNO_3$와 40mg/L의 cysteine을 첨가해준 결과 식물체 재분화율이 증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오차드그래스의 효율적인 조직배양체계는 유전자 형질전환을 통한 신품종 오차드그래스 개발에 유용하게 응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배지첨가물질이 이탈리안 라이그래스의 종자유래 캘러스 배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um Supplements on Seed-derived Callus Culture of Italian Ryegrass)

  • 우현숙;이병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2호
    • /
    • pp.243-250
    • /
    • 2004
  • 이탈리안 라이그래스의 최적 조직배양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Jeanne’ 'Florida-80', 'Metro'세 가지 품종의 성숙종자로부터 배발생 캘러스 유도 및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배지 첨가물질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성숙종자로부터 배발생 캘러스 유도시에 첨가되는 식물 생장조절물질로는 모든 품종에서 2,4-D의 경우 5mg/L의 농도로 첨가된 MS 배지에서 배발생 캘러스가 가장 높은 빈도로 유도되었으며, dicamba의 경우 7mg/L의 농도로 첨가해주었을 때 배발생 캘러스의 유도율이 가장 높았다.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는 배발생 캘러스를 1mg/L 2,4-D와 5mg/L BA가 첨가된 N6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가장 높은 식물체 재분화율을 나타내었다. 광조건에 따른 배양효율의 차이는 모든 품종에서 배발생 캘러스의 유도시에 암상태에서 배양한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율이 광상태에서 배양한 캘러스의 재분화율 보다 약10%정도 높게 나타났다. Casein hydrolyaste와 L-proline의 경우 동시에 배지에 혼용 첨가해 주었을 때 배발생 캘러스 유도율과 식물체 재분화율이 증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효율적인 배발생 캘러스의 유도 및 식물체 재분화체계는 분자육종을 통한 신품종 이탈리안 라이그래스의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희귀식물 제주황기의 미세번식 (Micropropagation of a rare plant species,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var. alpinus N.)

  • 한무석;노설아;곽명철;문흥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2호
    • /
    • pp.100-106
    • /
    • 2014
  • 희귀 식물 제주황기의 기내번식법 확립을 목적으로 줄기증식 및 발근을 시험하고 배양과정에서 나타나는 잎의 과수화 현상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줄기유도 시 BA 및 kinetin의 처리는 다경유도 효과가 뚜렷하지 않았으며 대부분 단일 줄기로 자랐다. 하지만 BA 처리는 마디 수의 증가를, kinetin 처리는 줄기의 신장을 각각 촉진하는 효과가 있었다. 과수화(hyperhydration)된 잎은 정상 잎에 비하여 세포의 크기가 크고 책상조직의 발달이 부진하였으며, 세포의 배열이 불규칙하였다. 특히 과수화 잎의 세포는 세포 내 전분의 축적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내발근은 세 가지 배지(B5, MS, WPM) 가운데 B5 배지가 양호하였으며, 0.1 mg/L IBA 처리 시 최고의 발근율을 보였다. 발근에 미치는 절편체 위치효과(정아지 혹은 액아지)는 통계적 유의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외삽목 발근은 0.5% IBA 분말 처리로 65%까지 발근되어 기내발근 보다 저조하였으나, 차후 생존율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제주황기의 기내번식이 가능함을 시사하며, 이 식물의 기내 및 기외보존의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