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school teacher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29초

초·중등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Focusing on International School for Geoscience Resources)

  • 이윤수;김형범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2-93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에서 실시한 교원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생태 만족도 결과를 분석하여 교원연수 프로그램이 초등교원과 중등교원에게 어떠한 만족도와 교육 효과를 보이는지와 그 차이점을 알아보고 향후 교원연수과정 운영에 개선점을 제안하는데 있다. 따라서 2017년 7월부터 2018년 8월까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내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에서 실시한 총 4회의 교원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 및 중등교원 98명을 대상으로 학습생태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생태 만족도 결과는 초등 중등교원연수 모두 4.58 이상의 다소 높은 결과 값을 나타내어 국제지질자원인재개발센터에서 실시한 교원연수가 연수 참여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학습동기와 학습발달을 나타내는 내부 요인에서는 초등교원연수 4.70, 중등교원연수 4.64였으며, 지질과학 및 지구과학 전공과 이외의 전공으로 구분하여 연수 콘텐츠 및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내용과 교육과정을 평가하는 중간요인은 초등교원연수가 4.67, 중등교원연수가 4.72를 나타내었다. 또한 교원연수가 과학기술문화라는 취지에 맞게 운영되기 위해 교수 학습 모형의 개발과 수업의 질적 개선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자 지원과 강사의 질을 나타내는 외부요인에서는 초등교원연수가 4.83, 중등교원연수가 4.72로 초등교원연수가 중등교원연수보다 다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연수중 수업의 흥미유발과 학교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연수교재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지식에 대한 중등 초임수학교사들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the Perceptions of Beginning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about Teacher Knowledge)

  • 심상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2호
    • /
    • pp.443-45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지식에 대한 초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초임교사들에게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초임교사들은 자신의 수업의 반성과 개선에 대한 지식을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실제 수업에서는 수학적 개념과 학습 내용들 사이의 연계성과 위계성 등 상호 관계에 대한 지식을 가장 많이 활용한다고 인식한다. 이러한 교사의 지식은 주로 수업 경험과 교사 연수를 통해 형성된다고 인식한다. 또한, 초임교사들은 수학 수업에서 공학적 도구와 평가를 활용하는 지식에 대해 필요성을 낮게 인식하고 자주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초임교사들이 교사의 지식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교사 입문 프로그램과 멘토링의 활성화, 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의 개선, 다양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등이 필요하다.

  • PDF

컴퓨터· 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에 관한 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on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Convergence Education)

  • 이은경;박상욱;전성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35-4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에 관한 중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확인하고 학교 현장에서의 융합 교육 활성화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 요구 조사를 실시하고, 중등학교 교사 227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을 위한 융합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인식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융합 교육에 대한 이해도와 실제 교육 수행 빈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융합 교육 활동은 다양한 교과가 아닌 정보 교과를 통해 주로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융합 교육 수행의 어려움은 기존 교과 수업 진도에 대한 부담과 컴퓨터를 비롯한 기자재의 부족 및 노후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교사의 전문성 향상 및 학교 현장의 물리적, 제도적 환경 구성에 관한 요구 또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연수, 제도적 지원, 물리적 환경 구축 측면의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Conceptual and Procedural Learning in Mathematics

  • Isleyen, Tevfik;Isik, Ahmet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7권2호
    • /
    • pp.91-99
    • /
    • 2003
  • Isik & K$_1$l$_1$c (1998: Mathematics Education and its Appraising in the Primary School Teacher Certificate) found that many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for primary schools who attended at newly established certificate programs made significant misconception on mathematics education because they were not graduates of education faculties. The levels of concep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of students from a secondary school in Erzurum, Turkey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reveal how serious misconception the teachers have been made so far. The conceptual knowledge is very important to students, however in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procedural knowledge was much more important than conceptual knowledge.

  • PDF

환경 오염 및 과학 실험실 폐수와 폐기물 처리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과 태도 조사 (A Survey of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nd Attitudes on Disposal of School Laboratory Waste Water and Materials)

  • 김익희;박국태;정진수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0권4호
    • /
    • pp.65-8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nd attitudes on disposal of school laboratory waste water and materials. To fulfill this aim,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44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was no large disparity i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laboratory waste disposal and the laboratory waste water treatment, and in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ing attitude on the environment. While science teachers had deep understanding of laboratory waste disposal and its influence on environmental pollution, they expressed less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ctual disposal of waste materials and waste water, and participation in teacher trai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andards of systematized disposal methods and proper disposal facilities in middle and high school laboratories, as well as to investigate teachers' needs before providing teacher training program.

  • PDF

수학과 교사지식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 (Domestic Research Trends of Teacher Knowledge in Mathematics)

  • 송근영;방정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265-287
    • /
    • 2013
  • 본 연구는 수학과 교사지식에 관한 연구경향을 교사지식의 개념,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내용영역의 측면에서 상세하게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4년(1999-2012) 동안 국내 수학교육 관련 9개 학술지에 게재된 교사지식에 관한 연구물을 대상으로 5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지식의 개념 중 PCK에 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한 반면 PCK의 하위요소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구주제는 교사지식의 실태 분석에 편중되어 있었고,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질적 연구가 양적 연구보다 다소 많았으며 혼합연구는 저조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 교사가 중등 교사보다 조금 많았고, 예비교사와 경력교사는 비슷하였다. 내용영역 측면에서는 초등은 수와 연산 영역이, 중등은 함수 영역이 가장 많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수학과 교사지식에 관한 추후 연구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 PDF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초·중등 교사의 SW·AI 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SW·AI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Using Text Mining)

  • 정미현;한옥영;김갑수;신승기;김재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57-6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 학생들의 기본소양을 갖추기 위한 SW·AI 교육의 중요성과 담당 교과에서 SW·AI 융합 또는 활용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초·중등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판단표집 표본추출 방법으로 전국의 초·중등 교사 8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중등 교사 모두 SW·AI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학교 특성, 지역, 교육 경력, SW·AI 교육 운영 경험 여부와 상관없이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W·AI 교육을 운영하지 못하는 사유로는 업무부담과 본인의 교육 역량 부족이 높게 나타났다. SW·AI 교육 운영을 위한 필요 여건에 대한 의견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업무량 경감과 예산 지원,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사연수, 콘텐츠 보급, 교과 연계 수업 확대, 시수 확보 등이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제시되어 다각적 수업 지원과 교사 역량 강화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수요를 확인할 수 있었다.

Secondary School Science Education for Whom?: An Historical Case Study from Japan

  • Isozaki, Tetsuo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510-518
    • /
    • 2007
  • In many countries, secondary school science is no longer solely for those destined for careers in science, medicine or engineering and both boys and girls study biology, chemistry and physics. In Japan, secondary science has been studied by boys and girls as a compulsory subject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m school system in the late 19th Century. However, although 'science for all' is becoming the norm, it appears that science is less popular with girls than it is with boys, and that lower-attaining students are not adequately catered for in Japan and elsewhere. In this paper, the author investigates gender issues in the secondary science curriculum and examines the curriculum for future scientists using a historical perspective and focusing on the case of Japan. An analysis of two historical issues, gender and the curriculum for future scientists, found that, firstly, the science curriculum needs to contain a clear statement of its aims, and, secondly, that the secondary science teach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science teaching particularly for girls. 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science teaching especially for girls.

초.중등학교의 세포, 유전 영역에서 지도해야 할 개념에 대한 중등 생물 교사의 인식 조사 (A Study on the Recognition about Cell and Gene Domain to be Taught in Elementary, Secondary Schools by Secondary Biology Teacher)

  • 정재훈;윤정주;손종경;이태상;김영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36-646
    • /
    • 2010
  • 이 연구는 초 중 고등학교에서 지도해야 할 세포, 유전 영역에 대한 필수, 선택 및 비필수 개념에 대해 중등 생물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선정된 개념은 일반 생물학과 고등학교 생물 과정에 필요한 기본개념 연구와 BSCS의 통합 권고안을 참고하여 선정한 후 생물학 전공 교수 5명의 자문을 구하여 최종 17개의 세포 영역 개념과 23개의 유전 영역의 개념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설문은 전국의 중등 생물 교사 146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지도해야할 필수, 선택, 비필수 생물 개념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세포, 유전 영역에서 중등 생물 교사들은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지도해야 할 필수 개념들이 많아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과학과 교육과정 그리고 BSCS 권고안에서 제시한 개념보다 더 많은 개념을 가르쳐야 한다고 중등 생물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도서관의 북큐레이션 활성화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인천 중등 학교도서관 사례 및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ctivation of Book Curation in School Libraries: Focused on the Case and Current Status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Library in Incheon)

  • 오혜민 ;곽승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15-137
    • /
    • 2022
  • 본 연구는 중등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사례 조사와 담당자의 북큐레이션에 대한 인식 분석을 통해 중등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헌조사와 함께, 인천광역시교육청 중등 학교 중 상시 운영이 이루어지는 전수 192개 학교도서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인천 중등 사서교사 4명과 문헌정보학과 교수 1명을 대상으로 인터뷰, 학교도서관 방문 관찰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북큐레이션 활성화 방안으로 학교도서관 담당자의 증원, 교과교사와의 협력과 정보 공유, 북큐레이션 운영을 위한 매뉴얼 확립, 주제 선정 사례집 출판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