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school teacher

검색결과 449건 처리시간 0.03초

중등 초임수학교사들의 컴퓨터 관련 지식의 형성과 활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formation and utilization of computer among beginning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 심상길;이강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2호
    • /
    • pp.163-174
    • /
    • 2013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examine the knowledge formation and utilization of computer among beginning teachers of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We found that beginning teachers who had more experiences of taking computer utilization classes at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showed more interest in computer and saw the necessity and effectiveness of computer usage for teaching students. Teachers chose GSP the most among computer utilization knowledge learned in pre-service teachers program, and GSP is used the most in mathematics classes. However, they answered that computer is not so much available in class due to lack of hours and the relevant resources. Lastly, beginning teachers answered that the computer knowledge learned in in-service teacher program was more useful than that in pre-service. Thus,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in utilizing computer should be improved through diversifying teacher training contents for beginning teachers as well as for pre-service teachers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중등예비수학교사의 학습보조교사 활동을 통한 반성과 변화 (Reflections and Changes Through Assistant Teacher Experience For Secondary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김수진;권나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1호
    • /
    • pp.59-77
    • /
    • 2018
  • 본 연구는 교원양성기관 프로그램에서 교육실습이 아닌 형태의 현장실습을 포함한 수업을 통한 중등예비수학교사의 반성과 그 변화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정규 수학수업에서 학습보조교사 활동을 한 중등예비수학교사 2인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2015년도 1학기 수업에 참여한 중등예비수학교사들의 학습보조교사 활동 보고서 및 간담회 등의 자료를 통해 반성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보조교사 활동을 한 중등예비수학교사의 반성내용은 교사, 학생, 교과내용, 자기 자신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생에 대한 반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등예비수학교사가 참여한 수업의 형태에 따라 반성내용의 비율도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한일간 교사양성제도의 비교 및 현황 분석을 통한 중등 정보교사 양성제도 개선방안 (Improving the secondary school informatics teacher education system by comparing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of Korea and Japan)

  • 김자미;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5-53
    • /
    • 2016
  • 교육이 목표를 달성하는데 교사의 질은 필요충분조건이다. 정보교육의 경우, 2018년부터 중학교에서 필수로 설치 운영되어야 하므로 질 높은 교사의 확보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의 정보교사양성제도와 비교하여 중등 정보교사 양성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일본과 교사의 자격제도, 자격 취득 및 승진제도, 교사의 자격기준, 정보교사의 자격 및 자격취득 방법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전문교과의 표시과목을 'Informatics'로 변경해야 한다. 정보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대학원 교육을 강화하고, 부전공 연수를 강화해야 한다. 교사의 전문성 함양에 도움을 주는 자격제도로 변경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개선방안은 중등 정보교원의 질적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Nature of a Method Course for Prospectiv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 Kim, Seong-A;Lee, Sun He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3권4호
    • /
    • pp.235-254
    • /
    • 2020
  • Through this study, we aimed to capture the nature of a mathematics method course, called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Teaching Methods in Mathematics Education" which is a pedagogy course for teaching for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aught at a university located in a south eastern part of South Korea. The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 three junior students who took the methods course and a local high school math teacher with two professors. The research has three parts. First, we designed a method course to prepare the junior or senior students for a teaching practicum. The individual students gave a mini lecture about a secondary mathematical topic as a course requirement. Second, the three students watched a classroom video-clip of the high school teacher and analyzed his instruction before the actual classroom visits. Furthermore, by "Let's Learn" program for students, the course was associated with a local community through the students and so that they could visit the teacher's classroom three times to observe his math classroom teaching. The students discussed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own mini lectures and the actual math classroom teaching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what it entails to teach an actual math class. Third, the first author supervised the students' activities in the program including their report for it to bring out their findings to the class of the method course. We found out this method course provided the students with the experience of various aspects of actual math lesson as well as learning theories about the pedagogy for teaching for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We conclude that this course gives a model for the method course in mathematics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사서교사와 타 비교과 교사의 배치 비교를 통한 사서교사 배치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 of Teacher Librarians' Placement by a Comparison between Teacher Librarian and Other Teachers Not-teaching the Subject Matter)

  • 강봉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7-4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 자격 제도가 가진 한계와 개선방안을 고찰하는 데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서교사와 다른 비교과 교사의 배치기준과 현황을 비교하는 문헌연구의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서교사 배치 관련 문제점의 핵심은 사서교사 배치를 위한 정원 산정 기준에 사서교사 실기교사나 사서 모두를 포함한 인원을 기준으로 학생 1,500명당 1명의 학교도서관 운영 인력을 배치한다는 데에 있다. 이로 인해 교원 정원을 산정하는 기준인 국가공무원 정원 배정 기준에 공립학교 사서교사 1인당 학생 수가 5,616명으로 배정되어 있다. 타 비교과 교사의 정원은 사서교사에 비해 많게는 9배 가까이 높게 배정되고 배치율도 사서교사와는 극명히 대비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첫째, 사서교사와 사서의 정원 분리와 역할 명확화가 필요하다. 둘째, 현재 교당 학생 수가 500명 내외인 점, 타 비교과 교사 배치기준이 학교 규모와 학교 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사서교사 임용시험에 예측가능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사서교사 자격 양산이 보다 활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양성기관에 대해 융통성을 인정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립학교에도 사서교사 배치가 될 수 있도록 사서교사 정원을 증치해야 한다. 사서교사 배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고찰한 본 연구를 통해 안정적인 사서교사 배치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중등학교 과학교사의 양성과 임용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 in Training and Employment of Science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 조주환;김상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64-472
    • /
    • 1997
  • 과학교사 교육의 목표는 우리 사회가 필요로 하는 가장 이상적이고 훌륭한 과학교사를 양성하는데 두고 있으며, 양성 교육과정은 전문적 이론과 실제를 통한 수준 높은 학술적 체험과 활동 과정을 거쳐 '유능한 과학교사'와 동시에 '존경받는 스승'을 양성하는 과정이어야 한다. 따라서 중등학교 과학교사의 양성 체제와 임용 제도의 문제점 및 그 개선 방안은 첫째, 임용시험 제도 폐지와 수습 교사 제도를 도입하거나, 공 사립학교가 공히 공개 임용시험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둘째, 과학교사 양성 교육과정의 개편으로 과학내용학, 과학교육학의 협동적 연구를 강화하고 현장의 요구와 교육과정의 연계를 구현하며 셋째, 교사 양성 기관의 행 재정적 지원 체제를 확립하여 우수 과학교사 양성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 PDF

중등 교사 양성을 위한 확률과 통계 영역의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Curriculum on Probability and Statistics for Training of Mathematics Teacher of Secondary Schools)

  • 이강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4호
    • /
    • pp.561-577
    • /
    • 2003
  • Because statistical concepts are important parts in school mathematics, mathematics teachers have trained by special education model. In this study, a desirable direction of curriculum on probability and statistics at pre-service for mathematics teacher is considered. We proposed four subjects as Exploration and Analysis of Data for Mathematics Teacher, Probability and Statistics I, II for Mathematics Teacher and Statistical Software for Mathematics, and suggested the constituents and something being kept in mind for each subject.

  • PDF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들의 주거개념에 대한 중요도 인지 및 주거학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 부산시를 중심으로 - (Scondary home economics teachers' opinions reganiding importance of teaching verious housing concepts and use of teaching method and media)

  • 최영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13-128
    • /
    • 199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problems in teaching housing course at secondary level. The main tasks of Investigation were to: (1) identify appropriate housing concepts to be taught at secondary school, (2) determine the Kinds of media and methods used for teaching housing course at secondary school.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1) the teacher`s background, (2) the teacher`s opin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various housing topics to teaching. (3) what type of media and methods were used by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In Pusan during November 1959. The Sample, 150Home Economics teacher was randomly selected from secondary school list in Pusan. Responses from 122 Home Economics teachers, were processed by the S.P.S.S. computer program. and N.P.E.R.C using for frequency counts and percentages to analyze the data from all three sections of questionnair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Newman-kuels Multiple Comparison test were used to reject or accept the hypotheses. The major findings were: (1) there were som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opinion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various housing topics to teach and teachers actural practice of teaching housing concepts and topics, (2) teachers taught housing concepts which were important to teach by their opinion, even though those concepts were neglected in textbook, (3) teachers did not use a various of media and methods for their teaching housing class, (4) the important reasons given why the teachers for not using the various media and methods were because of undesirable educational situations, and (5)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background and teachers` opinion regarding importance of teaching topics in housing class at secondary school, using media and methods.

  • PDF

중등교사임용시험 지구과학 교과교육학 출제동향 및 개선방안 분석 (Analysis of Exam Trend of Earth Science Education in the Secondary-school Teacher Employment Test)

  • 곽영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8-8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중등교사임용시험의 지구과학교육학 출제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지구과학교육학 출제 개선방안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중등교사자격증 표시과목 '지구과학'의 기본이수과목 중 '지구과학교육론'에 해당하는 중등교사임용시험 지구과학교육학 문항 분석을 위한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지구과학교육학 문항 분석틀은 대영역, 평가영역, 평가요소 등으로 구성된다. 중등교사임용시험의 변천 과정을 시기별로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본 연구에서는 중등교사임용시험 체제가 현재와 같은 2단계 전형으로 바뀐 2014학년도 부터 2018학년도까지 출제된 1차 전공시험의 지구과학교육학 문항들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체 전공 80점 중에서 지구과학교육학에는 22-24점이 배정되어 출제되어왔다. 평가영역별 출제 경향과 배점을 살펴보면, 지구과학 교수학습 영역의 출제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지구과학 탐구, 과학사 및 과학철학 등의 순으로 출제되었다. 각 평가영역별로 출제경향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중등교사임용시험 지구과학교육학 출제 및 평가 개선방안과, 교사양성대학의 지구과학교육학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과학교사의 상.역할.능력의 탐색 (An Exploration of Science Teachers' Ideal Image/Role/Competency)

  • 조희형;고영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69-281
    • /
    • 2008
  • 우리나라에서는 중등학교 과학교사의 자격 기준을 법령에 이수해야 할 과목 또는 영역으로 규정한다. 그러나 그런 과목과 영역은 훌륭한 교사가 지녀야 할 능력과 자질을 명시하지 않는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과학교사 자격 기준으로, 또는 과학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그 목적과 내용으로 적용해 볼 수 있는 바람직한 과학교사의 상, 과학교사의 역할, 과학교사의 능력의 목록을 작성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분석, 설문조사 및 온라인 워크숍, 심층면담, 자문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설문조사 및 온라인 워크숍대상은 중학생 186명, 고등학생 72명, 중학교 교사 8명, 고등학교 교사 5명이었으며, 심층면담에는 네 명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바람직한 과학교사의 상 목록은 10영역 44개의 상으로, 과학교사의 역할 목록은 여섯 영역 32개의 역할로, 과학교사의 능력 목록은 여덟 영역 75개의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자격과 평가의 기준을 이수할 과정이나 과목 대신에 교사가 지녀야할 능력으로 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또한 유능한 과학교사의 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과학교사 양성교육과정 내용 및 과목의 내용을 선정 조직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밖에 과학교사의 자격을 그의 능력과 자질로 규정하기 위해서는 그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함을 강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