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roving the secondary school informatics teacher education system by comparing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of Korea and Japan

한일간 교사양성제도의 비교 및 현황 분석을 통한 중등 정보교사 양성제도 개선방안

  • 김자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
  • 이원규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컴퓨터학과)
  • Received : 2016.05.04
  • Accepted : 2016.05.28
  • Published : 2016.05.30

Abstract

The quality of teachers is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education to accomplish its goals. As informatics education will be taught as a required subject in middle schools starting in 2018, i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 secure high-quality teachers.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informatics teacher education system of Korea with that of Japan in terms of qualifications, licensing and promotion, qualification criteria for teachers, qualifications for informatics teachers and licensing method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ree improvements were proposed as follows: The title of the specialized subject must be changed to 'Informatics,' graduate-level education and minor curriculum training courses must be reinforced to enhance the expertise of the teachers, and the qualification system must be changed in such a way as to promote the expertise of the teachers. The improvements proposed in this study will surely contribute to the quality of secondary school informatics teachers.

교육이 목표를 달성하는데 교사의 질은 필요충분조건이다. 정보교육의 경우, 2018년부터 중학교에서 필수로 설치 운영되어야 하므로 질 높은 교사의 확보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의 정보교사양성제도와 비교하여 중등 정보교사 양성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일본과 교사의 자격제도, 자격 취득 및 승진제도, 교사의 자격기준, 정보교사의 자격 및 자격취득 방법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전문교과의 표시과목을 'Informatics'로 변경해야 한다. 정보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대학원 교육을 강화하고, 부전공 연수를 강화해야 한다. 교사의 전문성 함양에 도움을 주는 자격제도로 변경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개선방안은 중등 정보교원의 질적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2. Toru Nishigaki(2003) 基礎情報學. Iwanami-shoten.
  3. 久野靖 和田勉 中山泰一 辰己丈夫 (2015). わが國の初等中等情報教育: 現狀と将来に向けた目標体系の提案, 日本{ソ\フトウェア科學會第32 回大會(2015 年度) 講演論文集
  4. 中山 泰一, 中野 由章 외(2015), 高等學校情報敎育にあげる 教科担当の現況, 情報處理學會硏究報告, 131(11). 1-9.
  5.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3). 2013 한국의 초.중등학교 교육정보화 수준 측정. 한국교육학술정보원
  6. 충북일보(2015). 도내 2018년부터 SW 교육적용..., 2015년 8월 17일자. available at http://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409456
  7. 이의재, 유정애(2012). 1정 연수 현장 37일 -초임 체육교사의 성장과정. 한국체육과학회지, 21(4), 801-816.
  8. 교육과학기술부(2012). 교사 등 연수에 관한 규정 시행규칙(교육과학기술부령 제137호, 2012. 2. 9).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9. 박준기(2011). 전문성 발달 단계를 반영한 교사 자격기준 개발 및 타당성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9(4), 417-437.
  10. 박영숙, 김갑성, 전세상, 김지희(2007). 국가 수준의 교사 자격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1. 최숙영(2015). 초중고에서의 소프트웨어 교육강화에 따른 문제점과 그 해결방안.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3), 93-104.
  12. 성정숙, 김현철(2015). 국외 컴퓨터 교육과정의 변화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1), 45-54.
  13. 兼宗 進(2006) : 情報 の教員免許だけではなぜ先生になれない? 2006년 12월 27일자. available at http://pc.nikkeibp.co.jp/article/NPC/20061227/257816/?rt=nocnt
  14. 文部科學性 : 학교교육의 정보화에 관한 간담회 : 교원지원 워킹그룹 검토정리(2011년 2월 4일) 자료집, available at http://web.archive.org/web/20121211011113/jukugi.mext.go.jp/archive/470.pdf
  15. 衆議院 : 第185回國會 文部科學委員會 第2号 (2013년 11월 1일), available at http://www.shugiin.go.jp/internet/itdb_kaigiroku.nsf/html/kaigiroku/009618520131101002.htm
  16. 정제영, 이희숙(2015). 교사의 전문성 계발 노력 실태 및 영향요인 탐색. 교육행정학 연구, 33(1), 1-23.
  17. Figlio, D. N., and Ladd, H. F.(2008). School Accountability and Student Achievement. In Handbook of Research in Education Finance and Policy. New York: Routledge.
  18. 정제영, 김현주, 이유진, (2014). 교사의 전문성 계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의 교육환경 요인 분석. 한국교사교육연구, 31(3), 321-341.
  19. 정미경. 임현정(2010). 출신 교사양성체제에 따른 교사 효능감, 만족도, 학생 이해정도의 차이 검증. 제4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 논문집, 537-560.
  20. 박남수. 김혜숙(2011). 중등교사의 교직이수 유형별 전문성 및 만족도 차이. 교육과학연구, 42(1), 1-25.
  21. Hanushek, E. A. (1996) School Resources and Student Performance. In G. Burtless(Ed.). Does Money Matter?(pp.46-73). Brooking's.
  22. Hanushek, E. A. (1997). Assessing the Effects of School Resources on Student Performance.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19(2), 141-164. https://doi.org/10.3102/01623737019002141
  23. 이광현, 이차영(2006). 중등 교사의 양성체제의 차이가 교직 선택 동기와 교수방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교육행정학연구, 26(3), 119-140.
  24. OECD(2013). Teachers for the 21st Century : Using Evaluation to Improve Teaching, Paris: OECD Publishing.
  25. 국제신문(2015). 가르칠 교사도 없이 SW 교육 의무화...... 2015년 8월 12일자. available at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150813.22001195417
  26. OECD(2010). Education at a glance, Education Indicators. Paris : OECD Publishing.
  27. 미래창조과학부(2015). SW 중심사회. 미래창조과학부. available at http://www.software.kr/um/main.do
  28. Darling-Hammond, L., & Bransford, J.(2005). Preparing teachers for a changing world: What teachers should learn and be able to do. CA : Jossey-Bass.
  29. 明治大學(2016). 교육과정. available at http://www.meiji.ac.jp/nippon/korean/qa.html
  30. 조석훈(2010). 교원자격의 구조 분석과 관계법의 재구조화 방안. 대한교육법학회, 교육법학연구, 22(1), 117-144.
  31. 교육부(2016). 초.중등 교육법, [법률 제13943호, 2016.2.3., 일부개정], 제 21조 <교원의 자격>.
  32. 유아교육법(2015). 유아교육법, [법률 제13226호, 2015.3.27., 일부개정], 제 22조 <교원의 자격>
  33. 교육부(2016). 초.중등 교육법 제21조 별표2 초등학교 정교사(2급) 자격기준 제3호
  34. 文部科學性(2016) : 教育職員免許法附則 第6項
  35. 教育職員免許法第4条, 第5条 available at http://www.tochigi09.com/hou/kyo5.html
  36. 文部科學性(2014) 教員免許制度の概要, 平成26年2月19日現在, available at http://www.mext.go.jp/a_menu/shotou/kyoin/__icsFiles/afieldfile/2014/02/20/1339300_1.pdf 教育職員免許法 第10条, 第11条.
  37. 文部科學性(2016). 教員免許更新制. available at http://www.mext.go.jp/a_menu/shotou/koushin/index.htm
  38. 교육과학기술부(2012). 교원 등의 연수에 관한 규정 시행규칙(교육과학기술부령 제137호, 2012.2.9).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39. 文部科學性(2016) 教育職員免許法及び教育職員免許法施行規則 (教員免許課程認定關係条文抜粋), available at http://www.mext.go.jp/a_menu/koutou/kyoin/1268593.htm
  40. 兼宗 進 외(2008). 情報專門學科 カリキュラム 標準 : Computing Curriculum Standard J07. 情報處理, 49(7), 719-774.
  41. 河村正彦(2004). 日本における 敎員養成.採用.硏修システムの 基本的構造. 近畿大學九州工學部硏究報告, 32号.
  42. 中央敎育審議會(2005). 今後の敎員養成. 免許制度の在り方について(中間報告), 2005.12.8.
  43. 교원자격검정력 시행규칙(2015). 교육부령 제 82호, 2015.12.9. 일부개정.
  44. 황규호, 박소영, 윤건영, 이성균, 최의창 (2014). 교원양성 교육과정 및 무시험검정 기준 개정 연구. 교육부.인천광역시 교육청.
  45. 文部科學性(2016), 教育職員免許法, 教育職員免許法第2条, 第3条,16条 5항 available at http://www.houko.com/00/01/S24/147.HTM #s3
  46. 교육과학기술부(2008). 표시과목의 대학의 관련학부(전공.학과) 및 기본이수과목 또는 분야[제2008-117호, 교육과학기술부, 2008.08.01.], 교원자격검정령 시행규칙 [시행 2016.04.20] [교육부령 제96호, 2016.04.20, 타법개정]
  47. 文部科學性(2016), 高等學校教員(情報) の免許資格を取得することのできる大學 available at http://www.mext.go.jp/a_menu/shotou/kyoin/daigaku/detail/1287078.htm
  48. 兼宗 進(2007a) 進學校出身者の現狀は? --- 情報 未履修問題を考える (3), 2007 년 1월 10일자, available at http://pc.nikkeibp.co.jp/article/NPC/20070110/258299/
  49. 兼宗 進(2007b), 体験する機會を与えることが重要-- 情報 未履修問題を考える (最終回) =一橋大學助教授, 2007년 1월 16일자, available at http://pc.nikkeibp.co.jp/ article/NPC/20070116/258819/
  50. 문부과학성 初等中等教育局教職員課 現職教育係(2014) 교사 면허 제도의 개요, 교육직원자격법 제9조 제3항. available at http://www.mext.go.jp/a_menu/shotou/kyoin/__icsFiles/afieldfile/2014/02/20/1339300_1.pdf
  51. 문부과학성(2014). 初等中等教育局教職員課, 特別免許狀の授与に係る教育職員検定等に關する指針 (概要). available at http://www.mext.go.jp/component/a_menu/education/detail/__icsFiles/afieldfile/2014/06/23/1348574_2.pdf
  52. 中野 由章, 中山 泰一 : 고등학교 정보교과교원현황-그 문제점과 우리가 할 수 있는것-, 정보처리, Vol.55, No.8, pp.872-875 (2014).
  53. 中山 泰一, 中山 代志子(2010) 公文書 公開手続の 情報敎育への 活用, 人文.自然硏究, No.4, pp.222-242
  54. 每日新聞(2015). 情報敎員 3割 專門 外, 2015년 10월 29일자
  55. Hagiya (2015). 정보학을 정의한다. 정보학의 참조기준. 일본정보처리학회, 55(7), 734-743.
  56. 정남용(2016). 초등교사 교육기관에서의 실과 농업생명과학 영역에 대한 교육의 현황 및 시사점. 실과교육연구, 22(1), 37-53.
  57. Cochran-Smith, M(2008). The new teacher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 directions forward. Teacher and Teaching.
  58. Furlong, J., Mcnamara, O., Campbell, A., Howson, J., & Lewis, S.(2008). Partnership, policy and polictics : initial teacher education in England under New labour. Teachers and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14, 307-318. https://doi.org/10.1080/13540600802037728
  59. 정일화(2015). 헌법재판소의 수석교사제 결정례의 평석을 통한 수석교사제 규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교육법학연구, 27(3), 271-294.
  60. 법률, 대통령령 제 24423호, 2013. 3. 23
  61. 나종민, 김천기, 권미경, 박은숙(2015). 학교폭력 승진가산점 제도의 교직사회에서의 의미. 교육사회학 연구, 25(3), 3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