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school teacher

검색결과 450건 처리시간 0.028초

성교육(性敎育)이 여고생(女高生)의 성(性)에 대(對)한 지식(知識) 및 태도(態度)에 미친 효과 (The Effect of Sex Education on Knowledge and Attitude of High School Girls)

  • 방미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8-58
    • /
    • 1990
  • 본 조사는 인문계 여고생 2학년에게 연구자가 정규적으로 주 l시간 총 24시간에 걸쳐 성교육을 지침서에 의거, 실시하고 1학년과 교육을 주지 않은 2학년 여고생과 비교하여 성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준 효과를 설문지를 배부 후 회수하여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은 경남지역 1개교 542명을 교육군으로, 1학년 164명 그리고 비교육군 2학년 97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기간은 1988년 12월 21일 부터 23일 까지 3일간 이었다. 대상 여학생의 70.8%는 부모와 성문제를 상담하지 않았으며. 98.5%가 성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적절한 성교육 시기로 전체의 56.0%가 중학교라고 응답했으며 성지식의 출처로 선생님으로부터가 교육군의 30.1%인데 비해 비교육군은 19.1%로 양군간 유의한 차를 보였다(P<0.01). 성에 관련된 인간의 해부 생리 및 2차 성징, 성병, 피임 및 임신 생리 등의 지식의 정도를 1학년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교육군은 평균치 이상인 여고생이 100.0%이었고 비교육군에 비해 (54.3%, 76.3%, 75.1%) 유의하게 높은 비율이었다(P<0.01). 성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혼전 성관계와 인공유산에 대한 바른태도 및 가족계획 슬로건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교육군과 비교육군간 찬성유무 및 생각해 본 일이 없다는 무관심 유무에서 유의한 차를 나타냈다(P<0.05, P<0.01). 고등학교 시절의 이성교제, 이성교제에 대한 지식, 친구, 부모, 선생님과의 자유로운 대화에 대한 찬성율이 교육군과 비교육군간 유의한 차(P<0.05, P<0.01)가 있었으며 생각해 본 일이 없다는 항목은 비교육군이 교육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 PDF

초.중등학교 과학 실험실 및 교수 환경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선호와 실제 (Preference and Actuality for Science Laboratory and Teaching Environment of Science Teacher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 김명희;김영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1567-1579
    • /
    • 2012
  • 과학 실험실은 과학에 대한 흥미 유발, 개념 이해의 촉진은 물론 과학 교육의 궁극 목표인 탐구 능력에 효과적인 교육의 장이다. 따라서 교육 과정의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적절한 실험 실습 기자재 확충, 수업보조 자료, 사회적 지원 등 외적 수업 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수업 환경은 교사의 직접적인 영향력이 발휘되는 영역이며 수업을 주도하는 교사가 가진 수업환경에 대한 인식은 과학 수업의 질을 좌우할 뿐 아니라 학생들의 학습 태도와 성취도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초 중 고 과학 교사 262명을 대상으로 과학 실험실 및 교수 환경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이들이 선호하는 수업 환경과 실제의 환경은 어떠한지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실험실 및 교수 환경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은 선호에 비해 실제가 낮게 나타나(p<.05), 학교의 실제 수준은 교사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교사의 성별에 따른 선호와 실제 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남 여 교사 모두 선호가 실제보다 높게 나타났다(p<.05). 한편, 선호의 경우 모든 하위 영역에서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p<.05). 셋째, 초 중 고 모든 학교급에서 선호가 실제보다 높게 나타났다(p<.05). 한편, 선호의 경우 모든 하위 영역에서 초등과 고등학교 교사 간 인식에 차이를 보였으며(p<.05), 실제의 경우 '과학 실험실 설비 상태' 영역에서만 초 중학교 교사 간 차이가 나타났다(p<.05). 넷째, 학교 소재지별로는 세 지역 모두 선호가 실제보다 높았다(p<.05). 또한 선호의 경우 모든 영역에서 소재지별 차이가 없었으나, 실제의 경우 '과학 실험실 설비 상태', '교수 조건과 서비스 지원', '지원 정책과 실천'의 세 가지 영역에서 중 소도시 교사의 인식이 대도시보다 낮게 나타났다(p<.05). 결론적으로 과학 탐구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선호와 실제 간에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제반 교수 환경으로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보편적 학습설계 측면에서의 고등학교 국어과 교수 실태: 소셜 빅데이터 및 설문조사 분석 (An Analysis of High School Korean Language Instruction Regard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Social Big Data Analysis and Survey Analysis)

  • 신미경;이옥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326-33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뉴스 기사에 나타난 고등학교 국어과 교수 및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사회의 관심도를 소셜 빅데이터 분석 방법으로 살펴보는 것이었다. 또한 고등학교 국어 수업에서 교사들이 어떻게 보편적 학습설계를 수업에 적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총 330명의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소셜 빅데이터 분석 결과, 총 10,339건의 검색 건수 중, 고등학교 국어 교수에 대한 관심과 비교하여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관심은 현저하게 낮았다. 빅데이터 연관어 분석 결과, 고등학교 국어 교수와 연관되어 검색되어진 용어는 '교육과정'(17.22%)이 가장 높았다. 고등학생들은 국어 교사들이 수업 중 매일 활용하는 빈도가 가장 높은 테크놀로지 관련 수업도구를 컴퓨터(38.79%)라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고등학생들은 국어 교사들이 '교사 주도의 설명식 수업'(52.12%)을 위하여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빈도가 가장 높다고 응답하였다. 1학년 학생들은 2-3학년 학생들보다 테크놀로지 관련 수업 도구 및 다양한 수업 목적으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경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s<.05). 마지막으로, 5점 평점 척도 설문조사 결과, 고등학생들은 국어 교사들이 다양한 방식의 학습 참여 제공 및 다양한 방식의 행동과 표현 수단 제공과 관련된 보편적 학습설계 지침을 위해서는 '중간' 정도로 적용한다고 여겼다. 반면 다양한 방식의 표상 제공을 위한 실천 부분에서는 수업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학습자료를 제공하거나 학생들이 새로운 정보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는 사항들에서는 상대적으로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1학년 학생들의 경우 교사들의 UDL 적용 실태에 관하여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국형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 체제(PDS) 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Designing PDS Model for Korean Mathematics Teachers)

  • 이경화;나귀수;권나영;김동원;이환철;이동환;고은성;박민선;박미미;이은정;조진우;박진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4호
    • /
    • pp.581-602
    • /
    • 2012
  • 수학교사들의 전문성 개발을 위해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하면서 수학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PDS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한국형 수학교사 PDS 모델 구축을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모델을 구성하는 요소를 파악하고, 이에 대해 교사, 연수원 교육전문직, 국외 교육전문가에게 수정 및 보완을 위한 자문을 구하여 모델 시안을 도출하였다. 최종 모델은 생애주기, 프로그램 유형, 참여주체라는 세 개의 성분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함께 한국형 수학교사 PDS 모델에 따른 생애주기별 전문성 개발 주제를 제시하였다.

  • PDF

메타인지 전략 학습을 통한 수학적 사고력 신장 방안 연구 (Metacognitive Learning Methods to Improve Mathematical Thinking)

  • 박혜연;정순모;김응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717-746
    • /
    • 2014
  •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에 적합한 인재는 자기주도적으로 지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갖춘 사람으로, 수학교육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창의사고력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창의사고력은 자신의 사고과정을 모니터하고 조절 통제하는 메타인지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메타인지와 관련된 여러 연구결과들의 통합을 통해 '메타인지능력과 수학적 사고력과의 상관관계,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한 교수 학습 방법 및 그 효과, 메타인지 능력 향상을 통한 수학적 사고력 신장 방안'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 PDF

사이버가정학습 효과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 배영권;고대곤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53-265
    • /
    • 2008
  • 최근 교육현장에서는 사교육비 절감과 소외계층에 대한 교육복지 효과를 위해 교육 정책적으로 사이버가정학습을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사이버가정학습의 효과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OO시 교육청 산하의 초, 중등학교의 학생, 사이버교사를 상대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시행되고 있는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해 전반적인 만족도와 효과성은 높은 것으로 들어났으며 보다 효과적인 사이버가정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단위학교 학습을 확대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교사 연수 강화와 사이버교사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홍보 강화, 다양한 교육정보 및 콘텐츠 제공이 필요하고 커뮤니티, 쪽지, 채팅 등의 다양한 활동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사이버가정학습이 정착되도록 하는데 작은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

  • PDF

중 . 고등학교 과학교사와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조사 (Teachers' and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 한지숙;정영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9-125
    • /
    • 1997
  • In the last few years,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growth of interest in how the philosophy of science can be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Adequate understanding of the philosophy and history of science can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in teacher and student. The 6th curriculum in Korea has also placed emphasis upo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From this point of view, to ensure effective school scien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teachers and students are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To do this 45 secondary science teachers and 191 students of 7 schools in Seoul are administered Nott and Wellington's questionaire(1993). This questionaire is consisted of 24 Likert Scale statements and asks questions on 5 subscales of philosophy of science :Relativism-Positivism, Inductivism-Deductivism, Contextualism-Decontextualism, Instrumentalism-Realism, Thinking science education as a Process or a Cont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eachers' view of the nature of science was relativism, deductivism, decontextualism and instrumentalism. And they thought process is more important than content in science education. 2. There was no difference in teachers' conceptions on the nature of science according to experience and gender. 3. Students' view of the nature of science was relativism, deductivism, decontextualism and instrumentalism. And they thought process is more important than content in science education. 4.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udents' conceptions on the nature of science according to schools level(middle vs high) and gender. But, female students exhibited higher score than male students on deductivism(p<.05). 5. Teachers' and students' concep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was in agreement with each other.

  • PDF

수업을 위한 수학적 지식과 수업의 수학적 질 사이의 관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Relationship of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and mathematical quality in instruction: Focus on high schools)

  • 김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3호
    • /
    • pp.237-254
    • /
    • 2020
  • 본 논문은 수업을 위한 수학적 지식과 수업의 질에 대한 상관관계를 보고하는 연구이다. 선다형 평가 문항 유형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교사들의 수업을 위한 수학적 지식을 수집하였고, 촬영된 그 교사들의 수업을 수학 수업 분석 도구를 이용하여 수업의 질을 평가하였다. 두 점수들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유의미한 양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고한다. 또한, 수집된 수업 영상과 교사들의 인터뷰 자료의 분석을 통해 수업을 위한 수학적 지식이 중재하지 못하는 수업의 질과 관련된 요소를 찾아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수학 교사 교육에 대해 논의한다.

Medium Chain Triglyceride 및 유지(油脂) 첨가식이(添加食餌)를 투여(投與)한 흰쥐의 혈중(血中) 및 간장(肝臟) Cholesterol대사(代射)의 변동(變動) (Effect of Medium Chain Triglyceride Diet on Cholesterol Metabolism of Serum and Liver in Rats)

  • 차재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9-55
    • /
    • 1986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an effect of Medium Chain Triglycerids (MCT) diet on cholesterol metabolism in rat. Sprague-Dawley rats were fed two different diets containing MCT(trioctanoate) and corn oil respectively. After feeding to each group for four weeks, the levels of serum and liver cholesterol, the excretion rates of fecal and biliary steroids, and also bile acid composition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he average body weight gain in MCT group was almost same as that in the corn oil group. (2) The concentration of serum cholesterol in MCT group was lower than that in the corn oil group.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 cholesterol lowing action of MCT diet was practically high. (3) The concentrations of liver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MCT group were almost same as that in the corn oil group.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level of liver lipids was not influenced by the difference of diet in this study. (4) The excretion rate of fecal neutral steroid in MC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corn oil group, while the rate of fecal bile acid excretion was about same in both MCT and corn oil group. (5) The composition rates of fecal bile acid such as cholic acid, chenodeoxycholic acid and deoxycholic acid, a secondary acid of cholic acid, in MCT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corn oil group. (6) The excretion rates of biliary cholesterol and bile acid in MC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rn oil group, while the composition rates of biliary bile acid such as chenoddeoxycholic acid and deoxycholic acid in MC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rn oil group.

정보·컴퓨터 중등교사 임용시험 문항 분석 (The Analysis of Questions in Employment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Information · Computer)

  • 여지원;강오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5-2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2009학년도 임용시험의 정보 컴퓨터 표시과목에서 출제된 문항을 전공 영역별로 분류하고 영역별 비중과 배점을 분석하였다. 둘째, 설문지를 통해서 (1) 문항의 전공영역 분포와 교사능력 검증에 대한 의견, (2) 시험의 난이도, 시간배정, 교과내용학과 교과교육학의 비율에 대한 의견, (3) 교수그룹과 응시자 그룹의 인식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출제 문항은 출제의도대로 각 과목별 영역에서 비율이 고르게 출제되었다. 또한 1차 시험과 2차 시험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각각에 대해 교수 그룹과 응시자 그룹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