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Sex Education on Knowledge and Attitude of High School Girls

성교육(性敎育)이 여고생(女高生)의 성(性)에 대(對)한 지식(知識) 및 태도(態度)에 미친 효과

  • 방미라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Published : 1990.03.01

Abstrac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assess the effects of a long term regular sex education on the knowledge about anatomy and physiology of human reproductive organs and the attitude toward sex of second grade high school girls. The study population included 1,678 high school girls(542 educated second grade girls, 972 not educated second grade girls and 164 pre-educated first grade girls) attending in 3 high schools located in Kyungnam province. The data was collected by guestionnaire to assess knowledge of sexual anatomy and physiology and the attitude toward sex from 21 to 24 December 198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ost of students (educated group 99.3%, not educated group 98.1%) agreed to necessity of sex education. Among students 70.8% did not talk about their sexual problems with their parents and 30.1% of educated group obtained spxual knowledge from their teach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evel of knowledge on anatomy and physiology of reproductive organs, secondary growth spurt, V D, pregnancy and contraceptives of educated group and not educated group (P < 0.0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ositive attitude about sexual intercourse before marriage, artificial abortion and family planning slogan of educated group and not educat.ed group (P < 0.05, P < 0.0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egree of agreement about acquaintance with the other sex, knowledge of acquaintance with the other sex, talk freely with friend, parent and teacher of educated group and not educated group (P < 0.05, P < 0.01). Statistics revealed that high school girls of not educated group had less knowledge about acquaintance with the other sex than educated group (P < 0.01).

본 조사는 인문계 여고생 2학년에게 연구자가 정규적으로 주 l시간 총 24시간에 걸쳐 성교육을 지침서에 의거, 실시하고 1학년과 교육을 주지 않은 2학년 여고생과 비교하여 성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준 효과를 설문지를 배부 후 회수하여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은 경남지역 1개교 542명을 교육군으로, 1학년 164명 그리고 비교육군 2학년 97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기간은 1988년 12월 21일 부터 23일 까지 3일간 이었다. 대상 여학생의 70.8%는 부모와 성문제를 상담하지 않았으며. 98.5%가 성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적절한 성교육 시기로 전체의 56.0%가 중학교라고 응답했으며 성지식의 출처로 선생님으로부터가 교육군의 30.1%인데 비해 비교육군은 19.1%로 양군간 유의한 차를 보였다(P<0.01). 성에 관련된 인간의 해부 생리 및 2차 성징, 성병, 피임 및 임신 생리 등의 지식의 정도를 1학년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교육군은 평균치 이상인 여고생이 100.0%이었고 비교육군에 비해 (54.3%, 76.3%, 75.1%) 유의하게 높은 비율이었다(P<0.01). 성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혼전 성관계와 인공유산에 대한 바른태도 및 가족계획 슬로건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교육군과 비교육군간 찬성유무 및 생각해 본 일이 없다는 무관심 유무에서 유의한 차를 나타냈다(P<0.05, P<0.01). 고등학교 시절의 이성교제, 이성교제에 대한 지식, 친구, 부모, 선생님과의 자유로운 대화에 대한 찬성율이 교육군과 비교육군간 유의한 차(P<0.05, P<0.01)가 있었으며 생각해 본 일이 없다는 항목은 비교육군이 교육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