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school teachers

검색결과 716건 처리시간 0.028초

초·중등 여교사의 월경전증후군 증상과 대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menstrual Syndrome Symptoms and Coping on Quality of Life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Female Teachers)

  • 정소윤;안숙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4권1호
    • /
    • pp.52-62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menstrual syndrome (PMS) symptoms and coping strategies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female teachers. Methods: 140 female teachers in C province were recruited using a correlational study design. The measurements used were the PMS symptoms scale, the PMS coping scale and the Korean version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cale. Results: The higher quality of life were predicted by the lower PMS symptoms, the higher PMS coping, the better the quality of sleep, the lower the job and life stress, and the lower work disturbance due to the PMS symptoms. These variables explained 53% of the total variance. Conclusions: For better female teacher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care programs for managing the PMS symptoms need to be developed by considering those identified variables. For health education practice, school health teachers need to distribute health educational materials for female teachers and to provide small-group health counselling services for PMS self care.

중등과학 초임교사가 교직수행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An Analysis of the Difficulties Faced by New Science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 구은주;박윤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3-16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중등 과학 초임교사가 교직에 입문하여 이론과 다른 학교 현장에 부딪치며 경험하게 되는 교직 수행상의 어려움을 알아보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개방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중등 과학 초임교사가 느끼는 교직 첫 해의 어려움과 둘째 해 이후의 어려움은 무엇인지, 중등 과학 초임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은 교사의 근무학교별, 성별, 전공별 및 근무지역별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중등 과학 초임교사가 경험하는 어려움을 대영역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교직 첫 해에는 교과지도, 생활지도, 사무관리, 인간관계, 자기이해의 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해 이후의 어려움은 생활지도, 사무관리, 인간관계, 교과지도, 자기이해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동안에 교과지도에 관한 어려움은 줄어들었으나, 다른 영역에서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었다. 중등 과학 초임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을 소영역별로 살펴보면 근무 첫 해에는 과다한 업무, 학급 운영, 수업분위기 조성 순으로 어려움을 느끼는 교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해이후의 어려움으로는 과다한 업무, 학급 운영과 관련한 것이 여전히 가장 많았으며, 동료교사와의 관계, 문제학생 지도, 나태함과 무력감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는 교사가 많았다. 초임교사들의 어려움을 변인별로 분석한 결과, 교직 첫 해에 겪게 되는 어려움은 근무학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중학교 초임교사들은 생활지도에서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일반계 고등학교 초임교사들은 교과지도에서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었다. 성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들 중에서 광역시 지역에 근무하는 경우에는 사무관리에서의 어려움을, 비 광역시 지역에 근무하는 경우에는 교과지도, 생활지도에서의 어려움을 많이 호소하고 있었다. 과학 초임교사가 둘째 해 이후부터 경험하는 어려움을 대영역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교사 변인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 문제에 대해 학교, 행정가, 연수기관, 양성기관별로 가능한 제언을 추가하였다.

중등도 이상의 목 통증을 동반한 앞쪽 머리 자세를 가진 중·고등학교 교사들을 위한 물리치료적 프로그램: 머리-목뼈 굽힘근 훈련과 일반적 훈련의 효과 비교 (A Physiotherapy Program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with Forward Head Posture Accompanied by Moderate to Severe Neck Pain: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cranio-cervical flexor training and general training)

  • 김현수;추연기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95-204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applied general training (control group) or cranio-cervical flexor training (experimental group) using a pressure biofeedback unit along with general training for 4 weeks to secondary school teachers with moderate to severe neck pain and forward head posture. After that, we tried to compare the effects through differences in neck pain intensity (using numberical rating scale), functional performance (using neck disability index), and cranio-vertebral angle change. Methods : All 50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n= 25)" or the "control group (n= 25)", and the measurements were evaluated in the same way before the intervention (baseline) and after the intervention (4 weeks).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the subject visited the physiotherapy center and made a reservation three times a week at a fixed time as much as possible, and each training session was thoroughly conducted under the 1:1 guidance of the therapist in charge so that the correct movement and number of times could be performed without compensatory action. Results : As a result of the homogeneity analysi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all variables (p>.05).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intervention in all measured variables of neck pain intensity, functional performance, and cranial-vertebral angle (p<.05). Conclusion :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with forward head accompanied by neck pain, cranio-cervical flexor training using a compression biofeedback unit is an excellent method to show superior pain reduction and functional performance improvement compared to general training alone. In addition, it can be presented as a more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that can promote recovery of forward head posture, which i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solution.

초·중등학교에서 성공적인 SW교육 정착을 위한 방안 모색 - 초중등 학생 및 교사의 SW교육에 대한 인식을 중점으로 - (A Research on the Successful Introduction Strategy for SW Education in K-12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K-12 Students and Teachers on SW Education)

  • 서순식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2호
    • /
    • pp.135-14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SW교육을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전략을 규명하고자 34개 초중등학교의 학생들과 교사들의 SW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하였다. 학교 소재, 성별, SW교육 선행 경험에 따른 차이를 규명하였으며, 학교 소재에 따른 SW교육 태도를 비교한 결과, 초등학생의 경우, 대도시, 중소도시, 농산어촌에 따른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고, 중등학생의 경우, 대도시 학생들이 유효하게 높은 태도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태도를 비교한 결과, 초중등 모두 남학생이 더 높은 SW교육 태도를 보였다. 또한 SW교육 사전 경험에 따른 태도를 비교한 결과, 초중등 모두 SW교육을 사전에 경험한 학생들이 더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다. 초등 및 중등 교사 모두 SW교육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초중등학교에 SW교육의 성공적 도입을 위해서는 참여자,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 학교 내·외 지원 등이 필요함이 규명되었다.

야외지질학습에서 '생소한 경험 공간(Novelty Space)'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와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의 인식 탐색 (Exploring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about 'Novelty Space' in Learning in Geological Field Trip)

  • 최윤성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7-46
    • /
    • 2022
  • 이 연구는 초등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생소한 경험 공간(Novelty Space)에 대한 인식 조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A 교육대학교의 초등 예비교사 38명과 B 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31명의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 중 추가적인 면담 참여에 동의한 초등 예비교사 3명과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 9명, 총 12명을 대상으로 비대면 면담을 실시하였다. 생소한 경험 공간에 대한 요소를 사전 지식(인지), 사전야외학습 경험(심리), 야외조사지역과의 친숙도(지리)에 덧붙여, 사회적인(social) 요소과 기술적인(technical) 요소를 추가하였다. 초등과 중등, 학년를 기준으로 분류하였을 때 생소한 경험 공간의 요소에 대해 인지적 영역, 심리적 영역, 지리적 영역, 사회적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통계적인 차이는 야외학습과 관련된 경험이나 자본이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초등 예비교사들보다 더 많은 것으로부터 비롯되었을지도 모른다고 해석하였다. 반-구조화된 면담에서 초등 예비교사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 모두 가상야외지질학습의 가치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특히 기술적인 영역에서의 역량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 및 중등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야외지질학습을 실행하기 위한 생소한 경험 공간에 대해 현재의 교육 맥락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새롭게 정의할 필요성을 제안할 뿐만 아니라 생소한 경험 공간 요소들을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의를 갖는다.

좋은 수학수업과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현직수학교사 인식 조사 - 학교급 및 교육경력에 따른 차이 조사 - (Mathematics Teacher's Perspective on Good Teaching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 Difference in school level and career -)

  • 강현영;이동환;고은성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2호
    • /
    • pp.173-189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elementary an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views on: (1) Requirements for good mathematics teaching (2) wha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and supports are needed for these requirements.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d the common and difference between school levels and teaching experiences. For it, we developed questionnaire and the questionnaire was anonymously answered by one-hundred-five elementary an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We suggested implications related to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mathematics teachers based on common and difference between school levels and teaching experiences.

Constructivist Reflection on the Training for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 Korea

  • Kwak, Young-Su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675-686
    • /
    • 2004
  • The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the teaching practice is a major factor in securing better school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In this article, initial teacher preparation of secondary school Earth science teachers, in-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and improving teacher policy are discussed.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exemplary science teachers were used to explore how to improve the quality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Korea. In terms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most exemplary teachers contended that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provide preservice teachers with practical knowledge by translating theory into practice. Their suggestions for how to improve in-service education are also discussed. Regarding directions of improving teacher policy in Korea, the teachers proposed an alternative teacher-promotion structure that incorporates the master-teacher position. Implications for introducing action research courses into teacher (re)education programs are also discussed.

Investigating Teachers'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Resource Sharing System in Korea: A Qualitative Research

  • Sewon JOO;Innwoo PARK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24권2호
    • /
    • pp.115-141
    • /
    • 2023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regarding educational resource sharing systems(ERS) by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This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FGI) with 20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ductiv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laced significant emphasis on high-quality, convenient functions, and reward system for sharing resources. Specifically, teachers identified the necessity for a diverse array of materials, systematic categorization of these resources, and the provision of monetary compensation as essential components. Second, the study participants advocated strategies for revitalizing ERS including enhancing accessibility, constructing user-friendly features, increasing awareness, and establishing a reward system to incentivize the resource sharing. In particular, teachers proposed strategies such as developing mobile-based services and AIdriven data recommendation system. These results provide actionable insights for stakeholders engaged in the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resource sharing platforms.

Factors Influencing Technology Adoption in Vietnam's Educational System

  • TRAN, Nga;LE, Thanh;NGUYEN, Lan;HOANG, Linh;NGUYEN, Thuy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0호
    • /
    • pp.347-357
    • /
    • 2020
  • This research aims to shed light on the technology adoption process and its drivers in the Vietnamese educational system. Research data was collected with an online questionnaire from more than 600 teachers in primary schools, secondary schools, high schools,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Vietnam in 2020. Based on a holistic literature review, we develop a model of two extrinsic factors (global needs and school-infrastructure), and two intrinsic factors (teachers' technological literacy and their beliefs), which are correlated with the teachers' technological adoption. We measure the dependent variable by asking the teachers' ability and their efficacy to implement technology in teaching according to a Likert scale. With the support of SPSS_22 and STATA_2015, we find that over 70% of changes in technology adoption are explained by the changes in four independent variables and three control variables related to age, gender, and teaching-level of the teachers. Furthermore, these independent variables a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two dependent variables.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chnology integration ability can be seen among teachers' gender, age, and school-level. Specifically, male teachers seem to adopt technology at schools than female teachers better, and university teachers have the lowest level of technology adoption compared to other school-level teachers.

새로운 교육과정 시행에 대한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인식 및 제안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and Suggestion on Implementation of the New Science Curriculum)

  • 임재항;강순민;공영태;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11-321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1차 설문을 통하여 새로운 교육과정 시행에 대한 중학교 과학 교사의 인식 및 준비도, 새로운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화학 영역을 중심으로)에 대한 인식 그리고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 및 준비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많은 비율의 교사들이 새로운 교육과정 시행 자체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부담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과정 개정 시의 교사 참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교사의 역할 또한 불분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차 설문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 2차 설문 및 인터뷰에서는 개정된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전달되는 효율적인 방법, 교육과정 개정 참여시 교사의 역할 및 참여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