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grass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5초

보호대상해양생물종인 잘피의 보전을 위한 해역이용협의의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for the Conservation of Marine Protected Seagrass Species)

  • 오현택;이용민;김혜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4호
    • /
    • pp.957-970
    • /
    • 2016
  • This study diagnosed the status of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MEIA) for project near the habitat of marine protected seagrass species such as Zostera caespitosa, Zostera asiatica, Phyllospadix iwatensis. For the preparation of a marine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different monitoring parameters are used without any specific guideline for the assessment of current status. And also, both tools and techniques for MEIA are needed to improve for implementing. The monitoring plans and parameters are not considered well with the accuracy of the environmental predictions and effectiveness of any applicable mitigation measures. This study suggested the reasonable standard of the MEIA for the conservation of the marine protected seagrass species which have the habitat located near affected area. The inshore seagrasses need to be monitored including shoot count based on the "No Net Loss of Seagrass" as part of the monitoring parameters to assess the status of marine environment of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In a process of effect prediction, we suggested a concentration of 10 mg/L suspended solids which added by the new developmental project near seagrasses habitat, referring to study of overseas case. But a further study for an appropriate standard is necessary effectively. In a mitigating process, priority needs to be considered in order of avoidance, minimization, reduction, compensation. In a post-monitoring process,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seagrass species abundance to identify the variation of b/a (before and after) project. And in a case of implementing transplantation, survival rate need to be included to determine a success of project.

섬진강 하구역 잘피(Z. marina)서식지의 해양환경 특성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eagrass Habitat in Seomjin River Estuary)

  • 지형석;서희정;김명원;이문옥;김종규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36-244
    • /
    • 2014
  • This study considered a seagrass habitat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 marine environment of seagrass located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through an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the water depth, field observation, and three-dimensional numerical experiments using an EFDC model. The seagrass habitat was usually distributed at D.L(-) 0.5~0.0 m, and was hardly seen in the intertidal zone higher than that range. The distribution of the water temperature was within the range of $7.0{\sim}23.2^{\circ}C$, and the seagrass was demonstrated to have a strong tolerance to changes in the water temperature. In addition, the salinity distribution was found to be 27.2~31.0 psu, with suspended solids of 32.1 mg/L, which were higher than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Huh et al., 1998), implying that there may be a reduction in the amount of deposits caused by the suspended solids. As for the sedimentary facies, they were comprised of 62.7% sand, 19.1% silt, and 18.2% clay, indicating that the arenaceous was superior and the sedimentary facies were similar to that of Dadae Bay. According to a numerical experiment, the maximum tidal current was 75 cm/s, while the tidal residual current was 10 cm/s, confirming that it sufficiently adapted to strong tidal currents. The erosion and deposition are predicted to be less than 1.0 cm/year. Thus, it is judged that the resuspension of sediments due to tidal currents and the changes in sedimentary facies are insignificant.

Growth and Production of Pholis nebulosa (Temminck & Schlegel, 1845) in a Seagrass (Zostera marina) Bed of Southern Korea

  • Park, Joo Myun;Kim, Ha Won;Kwak, Seok Nam;Riedel, Ralf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89-98
    • /
    • 2021
  • The seagrass habitats are a highly productive marine ecosystem which provides nursery ground and shelter for many fish and invertebrate species. Pholis nebulosa (Temminck & Schlegel, 1845) is one of the most abundant seagrass fishes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The estimation of fish production is key for devising conservation measures and ensuring fish resources sustainability. A total 894 P. nebulosa ranging from 3.83 to 26.5 cm total length (TL) were collected monthly in 2006 with a small beam trawl in a seagrass bed of southern Korea. Growth parameters of P. nebulosa were estimated using the von Bertalanffy growth model, and production was estimated using a general equation which relates daily fish production to ash-free dry weight (AFDW), biomass, and water temperature. The von Bertalanffy's growth equation was estimated as: Lt = 28.3823(1-e-0.7835(t+0.9864)). The densities, biomass, daily, annual production, and P/B ratio were 0.069±0.061/m-2, 1.022±0.621 g/m2, 0.005±0.004 g AFDW/m2/day, 1.676 g AFDW/m2/yr, and 1.641, respectively. Monthly variation in production of P. nebulosa peaked during March and April 2006 (0.0139 and 0.0111 g AFDW/m2/day), whereas the lowest value of 0.0005 g AFDW/m2/day was in December. Monthly change in production of P. nebulosa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iomass and condition factor. Our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conservation of seagrass ecosystems, which are still undisturbed in the study area.

한국연안 3개 해초지 표층수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계절 변화 (Seasonal Changes of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in Three Korean Seagrass Beds)

  • 이상용;이인우;최청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95-105
    • /
    • 2006
  • 해초지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변동을 규명하기 위하여 2002년 10월, 2003년 1월, 3월과 6웜에 남해안의 동대만과 앵강만, 그리고 서해안의 승봉도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 분포, 그리고 환경요인들을 조사하였다. 수온, 염분, 부유물질, chlorophyll a, 해초의 지상부 생물량, 용존무기질소와 용존무기인의 농도는 조사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해초지에서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은 총 3문 3과 4목 16과 27속 65종이 동정되었다. 해초지에서는 규조류가 50종, 와편모조류가 14종, 그리고 규질편모조류가 1종 출현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Coscinodiscus속과 Thalassiosira속의 분류군들이 조사기간 동안 우점 출현하였으나, Peridinium granii, Eucampia zodiacus와 Pleurosigma elongatum은 계절에 따라 우점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0.6{\times}10^3{\sim}21.1{\times}10^3\;cells\;l^{-1}$ 범위로 동대만에서 6월에 가장 낮았으며, 앵강만에서 3월에 가장 높았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종조성과 현존량은 다른 남 서해 연안보다 단순하고 낮게 나타났다. 계절에 따른 용존 무기질소와 무기인의 농도는 규조류 현존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hoalgrass와 turtlegrass에 棲息하는 小型魚類 個體群들의 季節的 變動에 관한 硏究 (Seasonal Variations in Populations of Small Fishes Concentrated in Shoalgrass and Turtlegrass)

  • 허성회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4-55
    • /
    • 1984
  • 아열대 seagrass 어류군집의 계절적 변동을 결정하기 위해, 미국 Texas 남쪽 해안에 위치한 Redfish Bay의 seagrass meadow에서 서식하는 소형어류개체군들의 밀도를 1982~1983년동안 매달 조사하였다. 23과 40종에 속하는 총 10223개체수가 채집되었으며, 평균밀도는 shoalgrass에서 약 15마리/$m^2$ 이었고 turtlegras 에서 약 6마리/$m^2$ 이었다. Darter goby, pinfish, code goby 그리고 Gulf pipefish가 일년을 통해 양 meadows는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이들 네 어종은 총채집된 개체수의 약 85%를 차지하였다. Darter goby는 얕은곳에 위치한 shoalgrass에서 가장 흔한 어종이었으며 약간,은 곳에 위치한 turtlegrass에서는 pinfish와 code goby가 가장 흔한 어종이었다. 어류의 종구성과 밀도의 계절적 변화는 이들 두 아열대 seagrass meadows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어류의 최대밀도는 봄에 나타난다. 어류밀도는 여름에 감소하나 가을에 다시 증가한다. 최소밀도는 겨울에 나타난다. 네 우점종은 각기 서로 다른 계절적 밀도변화 양상을 보인다. 이들 사이에는 약간의 중첩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른 종들로부터 1~3개월 분리된 최대밀도 시기를 보인다. 이같이 분리된 최대밀도 시기를 보이는 주요 어종의 계절적 개체수변화 양상은 높은 어류밀도를 지닌 아열대 seagrass meadows에서의 이들 주요 어종의 공존을 가능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대체서식지 조성을 위한 거머리말 이식 및 모니터링 (Seagrass (Zostera marina) Transplantation and Monitoring for Replacement Habitat)

  • 홍성재;최창근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1-37
    • /
    • 2018
  • 부산시 천성항 내 훼손이 예상되는 거머리말 서식지의 복원을 위해서 기존 서식지의 현황조사를 실시하고 인근 두문리 해안에 대체서식지를 조성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2014년 1월 항내 자생하는 거머리말은 수심 1.2-3.1 m의 범위에서 출현하였고, 수온은 7.4℃, 염분은 29.1 psu, pH는 8.05를 나타냈다. 거머리말의 서식밀도는 167.1±16.4 shoots m-2로 조사되었고, 총길이 48.5±18.1 cm, 엽초길이 9.1±2.8 cm, 엽폭 4.8±1.1 cm로 조사되었다. 2014년 12월에 이식을 실시한 후 다음해 8월까지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이식 초기 서식밀도는 감소하여 1월에 8.5 shoots patch-1 값을 나타낸 이후 점차 증가하여 4월에 19.0 shoots patch-1 까지 증가하였다. 총 길이는 73.3±2.9-121.3±6.1 cm, 엽초길이는 9.6±0.6-21.0±1.2 cm, 엽폭은 5.7±0.1-6.8±0.2 mm로 조사되었고 측정값은 7월까지 꾸준히 증가하다 8월 이후에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천성항 내 거머리말 서식지와 이식 초기 대체서식지에서 관찰되지 않았던 생식지(flowering shoot)가 2015년 3월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모니터링 기간 동안 계속 관찰되었으며, 2016년 조사 시 생식지의 씨앗에서 발아한 거머리말을 대체서식지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해초에 부착하는 부착생물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 II. 물리화학적 요인이 잘피 및 부착생물에 미치는 영향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piphytes on Seagrass - II. Effects of Physico-chemical Factors on Eelgrass (Zostera marina L.) and Epiphytes)

  • 정미희;윤석현
    • 환경생물
    • /
    • 제30권3호
    • /
    • pp.272-279
    • /
    • 2012
  • 이 연구는 해초에 부착하는 부착생물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에 대한 두 번째 연구로서 해초가 서식하는 연안 환경의 물리화학적 요인 변화에 따른 부착조류를 포함한 부착생물의 변화양상을 이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결과를 살펴보면, 1) 잘피는 수주의 온도와 정상관 관계를 보임으로써 잘피의 성장이 온도에 의해 큰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2) 부착생물은 수온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은 반면 수주의 염분과는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이는 염분 25 이하 범위에서 서식이 용이한 미세규조 종들의 증가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영양염의 결과와도 일치하였는데, 3) 잘피의 성장과 총질산염 (TN)과는 역상관 관계를 보임으로써 수주에 총질산염이 낮을 때 잘피의 성장이 좋았으며, 4) 부착생물의 현존량과 인산염과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수주의 질산염, 아질산염 그리고 총질산염과는 정상관 관계를 나타냄으로써 부착생물의 성장에 질산염 계열의 영양염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염과 잘피의 성장, 그리고 부착생물의 현존량과의 상관관계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부착생물의 현존량 증가는 영양염의 증가로 인한 것이며, 이는 잘피의 성장을 감소시키는 원인-영향 과정과 깊은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Seasonal Dynamics of the Seagrass Zostera marina on the South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 Lee, Kun-Seop;Kang, Chang-Keun;Kim, Young-S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8권2호
    • /
    • pp.68-79
    • /
    • 2003
  • Although seagrasses are relatively abundant,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seagrass physiology and ecology in Korea. Zostera marina is the most abundant seagrass species,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all coastal areas of the Korean peninsula. To examine seasonal dynamics and spatial variations of eelgrass, Zostera marina distributed on the coast of Korea,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iomass, tissue nutrient constituents, leaf productiv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monitored monthly from the eelgrass beds in Kabae Bay and Kosung Bay on the south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June 2001 to June 2002. Eelgrass density, biomas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leaf productivities, and tissue nutrient constituents exhibited clear seasonal variations, and these seasonal trends reflected seasonal changes in water temperature. Eelgrass shoot density and biomass at Kabae Bay site showed more obvious seasonal trends than Kosung Bay. No strong seasonality in Kosung Bay site appeared to be caused by high water temperature ($>30{\circ}C$) during summer months at this site. Despite differences in nutrient availabilities between two study sites, eelgrass biomass and leaf productiv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tudy sites, and this lack of spatial variations implies that the ambient nutrient availabilities at the present study sites are in excess of seagrass nutrient demand. Eelgrass tissue N content and sediment pore water DIN concentrations exhibited reverse relationship at the present study. This reverse relationship suggests in situ nutrient concentrations are not good indicator of nutrient availabilities, and regeneration and turnover rates of sediment nutrients are also important factors to determine nutrient availabilities at the site.

낙동강하구의 잘피(seagrass) 분포 현황 (Distribution of the Seagras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 박정임;박희순;배종일;김구연
    • 생태와환경
    • /
    • 제56권3호
    • /
    • pp.207-217
    • /
    • 2023
  • 본 연구는 2023년 5~6월 낙동강하구에 생육하는 잘피 분포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잘피 서식 면적을 조사하기 위해 낙동강하구를 7개 구역으로 구분하여 드론을 이용한 항공촬영을 실시하여 잘피 서식을 확인한 후 조간대에서는 도보로, 조하대에서는 선박 및 잠수조사로 GPS 트랙킹을 실시하였다. 잘피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각 구역에 대표적으로 출현하는 잘피의 종별 형태적 특성, 생육밀도와 생체량을 측정하였다. 낙동강하구에는 애기거머리말, 거머리말, 줄말과 게바다말이 출현하였고, 각 종의 분포 면적은 각각 338.2 ha, 92.9 ha, 0.9 ha와 1.4 ha로 총 잘피 서식지 면적은 432.5 ha로 조사되었다. 애기거머리말은 낙동강하구 대부분의 사주와 갯벌에 넓게 분포하였고, 거머리말은 눌차도, 진우도와 다대동에 서식하였다. 줄말은 을숙도와 명지갯벌의 애기거머리말 서식지 내에 출현하였고, 게바다말은 다대동의 암반에 생육하였다. 애기거머리말, 거머리말, 줄말과 게바다말의 생육 밀도는 각각 4,575.8±338.3 shoots m-2, 244.8±12.0 shoots m-2, 11,302.1±290.0 shoots m-2와, 2,862.5±153.5 shoots m-2였다. 생체량은 각각 239.7±18.5 gDW m-2, 362.3±20.5 gDW m-2, 33.3±1.2 gDW m-2와, 1,290.0±37.0 gDW m-2였다. 본 연구 결과 낙동강하구에는 애기거머리말이 우점하였고, 특히, 을숙도, 대마등과 명지갯벌의 애기거머리말 서식지는 국내 최대 규모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낙동강하구는 생태적, 환경적, 경제적 가치가 높은 중요한 곳으로, 이곳에 생육하는 잘피의 지속적인 조사와 관리가 필요하다.

이식된 잘피의 생산성 및 형태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roductivity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Zostera marina Transplants)

  • 박정임;;김정배;이근섭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4권1호
    • /
    • pp.41-47
    • /
    • 2009
  • 최근 훼손된 잘피서식지의 복원이 다양한 이식방법을 통하여 시도되고 있다. 이식된 잘피는 이식시기와 이식방법에 따라 생존율과 착생기간 등이 차이를 보인다. Staple method는 잘피를 직접 식재하는 방법으로 잘피 이식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방법이며, 다양한 퇴적물 환경에서 높은 생존율을 보이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staple method로 이식된 잘피의 정착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초겨울에 잘피를 이식한 후, 이식된 잘피의 밀도, 형태적 특성, 생산성의 변화와 이식 장소의 환경요인을 2004년 12월부터 약 1년 동안 월별 조사하였다. 조사된 이식잘피의 생리생태학적 특성을 이식 장소 인근에 자생하고 있는 잘피 개체군과 비교하였다. 이식된 잘피는 초기 밀도 감소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잎의 폭, 엽초의 길이 등이 이식초기에 감소하여 이식개체들이 이식충격을 받은 것으로 보였다. 개체별 잎의 생산성도 이식 초기에는 자생개체들보다 현저히 낮은 값을 보이다가 약 4개월 후 이식개체와 자생개체의 생산성이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식된 잘피는 자생하는 잘피와 마찬가지로 봄에 급격히 성장하였으며, 자생개체보다 낮은 밀도로 이식되었으나, 약 1년 후에는 자생잘피 개체군의 밀도와 유사해졌다. 이식된 잘피들이 이식초기에 이식충격을 받았지만,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새로운 이식 장소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