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dyke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3초

Landsat TM과 MODIS 영상을 이용한 새만금해역 표층수온 변화 탐지 (The Change Detection of SST of Saemangeum Coastal Area using Landsat and MODIS)

  • 정종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2호
    • /
    • pp.199-205
    • /
    • 2011
  • The Saemangeum embankment construction have changed the flowing on the topography of the coastal marine environment. However, the variety of ecological factors are changing from outside of Saemangeum embankment area. The ecosystem of various marine organisms have led to changes by sea surface temperatu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onitoring of sea surface temperature(SST) changes were measured by using thermal infrared satellite imagery, MODIS and Landsat. The MODIS data have the high temporal resolution and Landsat satellite data with high spatial resolution was used for time series monitoring. The extracted informations from sea surface temperature changes were compared with the dyke to allow them inside and outside of Saemangeum embankment. The spatial extent of the spread of sea water were analyzed by SST using MODIS and Landsat thermal channel data. The difference of sea surface temperature between inland and offshore waters of Saemangeum embankment have changed by seasonal flow and residence time of sea water in dyke.

Time-dependent reliability analysis of coastal defences subjected to changing environments

  • Chen, Hua-Peng
    • Structural Monitoring and Maintenance
    • /
    • 제2권1호
    • /
    • pp.49-64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assessing the risk of wave run-up and overtopping of existing coastal defences and for analysing the probability of failure of the structures under future hydraulic conditions. The recent UK climate projections are employed in the investigations of the influence of changing environments on the long-term performance of sea defences. In order to reduce the risk of wave run-up and overtopping caused by rising sea level and to maintain the present-day allowances for wave run-up height and overtopping discharge, the future necessary increase in crest level of existing structures is investigated. Various critical failure mechanisms are considered for reliability analysis, i.e., erosion of crest by wave overtopping, failure of seaside revetment, and internal erosions within earth sea dykes. The time-dependent reliability of sea dykes is analysed to give probability of failure with time. The results for an example earth dyke section show that the necessary increase in crest level is approximately double of sea level rise to maintain the current allowances. The probability of failure for various failure modes of the earth dyke has a significant increase with time under future hydraulic conditions.

새만금 수질 환경과 동물플랑크톤 군집 분포: 방조제 건설에 따른 군집 변화 (Zooplankton Community and Distribution in Relation to Water Quality in the Saemangeum Area, Korea: Change in Zooplankton Community by the Construction of Sea Dyke)

  • 유정규;정정호;남은정;정경미;이순우;명철수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305-315
    • /
    • 2006
  • In order to examine the transi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by the Saemangeum sea dyke,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with relation to environmental variables was investigated using data collected in 2004 and 2005. Sixty-one zooplankton taxa were identified. Average abundance (except Noctiluca scintiliam) ranged from 236 to 1810 indiv. $m^{-3}$, and was the highest in May 2005 and the lowest in february 2005. Dominant species were Acartia hongi and Paracalanus indicus, and cirripedia nauplii and zoea were dominant groups. After the closure of the 4th sea dyke, brackish species such as Tortanus derjugini and Pseudodiaptomus inopinus are widely distributed while the abundance of N. scintillans decreased in the northern area inside the dyke. In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zooplankton, station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he northern area inside the dyke wa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areas and was represented by Acartia spp, and brackish copepods.; Also, this area was characterized by high chlorophyll a concentration and COD, and low diversity.

파랑에 의한 새만금 방조제 해측 피복석 거동특성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ur Characteristics of the Saemanguem Sea Dyke Coastal Covering Stones by Sea Waves)

  • 백승철;이소열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7호
    • /
    • pp.67-7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방조제의 피복석에 파랑이 작용하는 경우에 대한 거동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파랑은 방조제 또는 호안구조물에 충격하중으로 작용하게 되며, 충격하중이 작용하는 동안 호안구조물은 침식과 부분 붕괴로 인한 급경사지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충격하중은 피복석에 마모를 발생시킨다. 방조제는 국내에서 1970년대 이래로 해안가 산업기반시설의 보호를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방조제는 주로 준설모래와 사석 그리고 피복석으로 구성되며, 피해 유형은 1970년대부터 보고되었으나 파랑작용과 피복석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도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방조제 피복석의 가장 큰 피해유형은 마모이지만, 이에 대한 연구 역시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안구조물에 파랑이 작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충격하중과 피복석의 상호관계를 분석하였다. 방조제에 작용하는 파랑하중을 고려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파랑하중의 규모와 주기에 따른 피복석의 거동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파랑하중으로 인해 발생하는 방조제의 변위증가를 평가하였다.

토목섬유매트를 활용한 호안축조공사 사례 연구 (Case History of Sea Dyke Construction Using Geotextile Mat)

  • 박정준;김성환;신은철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7-13
    • /
    • 2008
  • 토목공사를 수행함에 있어 토목섬유가 적용된 이후 토목섬유의 손상에 대하여 많은 관심이 되어왔다. 토목용 섬유제품인 지오텍스타일은 주변 환경조건에 노출되는 고분자 재료로서 분리, 보강, 여과, 배수 등의 기능을 가지며 현재 제방공사, 해안 하천의 호안공사, 간척공사 또는 도로, 철도 노상 안정 등의 분야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토목섬유매트의 현장 적용시 설계방법을 분석하였고, 설계시 고려되는 인장, 파열, 꿰뚫림, 인열강도의 관계와 더불어 인장강도와 봉합강도의 상관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토목섬유매트 적용시 유효봉합율과 시험방법의 적정성, 경제성 등이 고려된 시공방법론 등을 제시하였다.

  • PDF

하계 서해안 새만금 연안역 주변 저염수와 순환 (Low-salinity Water and Circulation in Summer around Saemangeum Area in the West Coast of Korea)

  • 이상호;최현용;손영태;권효근;김영곤;양재삼;정해진;김종구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2호
    • /
    • pp.138-150
    • /
    • 2003
  • 만경강과 동진강이 담수를 유출하는 서해중부 연안에서 41,000 ha의 하구 천해역을 간척하기 위해 33 km의 새만금 방조제가 건설되고 있다. 이 연안역에 담수의 주 공급원은 방조제 북쪽에 위치하는 금강이다 현재 고군산군도 와 연결되고 있는 방조제는 이 해역을 세 지역으로 나누는데 방조제의 북서, 남서 그리고 동부(새만금) 지역이고, 새만금 지역 해수는 북방조제에 한 곳과 남방조제에 두 곳인 미축조 구간을 통해 교환된다. 이 연안역에서 저염수와 관련된 하계순환을 진단하기 위해 1998년과 1999년에 수온과 염분의 분포와 구조를 관측하였다. 북방조제 외측지역의 표층에서는 저염수의 혀모양 분포가 관측되었는데, 금강하구 입구에서 북서쪽으로 60 km까지 확장하고 외해수와 경계지어지는 강한 풀룸전선을 형성한다. 새만금 방조제 내측에서 염분분포는 두 강물이 병합되고 있으며 저염수가 북방조제 미축조 구간쪽으로 편향되었음을 보여준다. 남방조제 외측지역 표층에서는 곰소만으로부터 북쪽으로 확장하는 다른 저염수의 작은 혀모양 분포가 관측되었다. 이러한 저염수 분포와 전선구조 분석을 바탕으로 새만금 방조제 주변에 반시계방향의 연안수 순환을 제시할 수 있는데, 이는 방조제 내측에서 북방조제 미축조 구간으로 유출되는 하구 수와 남쪽 방조제 미축조 구간을 통하여 외해에서 유입하는 해수로 구성된다. 하지만 방조제 축조가 완성된 후에는 만경강과 동진강 담수 유출이 인위적이고 직접적으로 남방조제 외측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방조제 주변 연안역 순환형태는 변화될 것이다.

Changes in Marine Environment by a Large Coastal Development of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in Korea

  • Lie, Heung-Jae;Cho, Cheol-Ho;Lee, Seok;Kim, Eun-Soo;Koo, Bon-Joo;Noh, Jae-Hoon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0권4호
    • /
    • pp.475-484
    • /
    • 2008
  • The word 'Saemangeum' indicates an estuarine tidal flat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was launched as a national project in 1991 to reclaim a large coastal area of $401\;km^2$ by constructing a 33-km long dyke. The final dyke enclosure in April 2006 has transformed the tidal flat into lake and land. An integrated oceanographic study has been conducted since 2002 as a part of the Government Action Plan to monitor and assess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Prior to the dyke enclosure, the coastal environment in the Saemangeum was a complex system governed by tidal motion, estuarine processes, and coastal circulation of the Yellow Sea. The dyke construction has radically changed not only the estuarine tidal system inside the dyke, but also the coastal marine environment outside the dyke. Post to the dyke enclosure, subsequent changes such as red tide, hypoxia, and coastal erosion/deposition occur successively. Red tides appear almost the year round in the inner area. Even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luice gates are fully open, the water quality does not improve as much as the developers would expect, mainly due to the critical reduction of the hydrodynamic stirring power. We will introduce details of our monitoring program and significant changes in the Saemangeum marine environment, based on observations and model results.

호안기초로서 저치환율 모래다짐말뚝 공법의 적용 (Application of sand compaction pile method of row replacement ratio as foundation of the dyke)

  • 진성기;김범형;김종석;임종철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472-485
    • /
    • 2008
  • In this study, sand compaction pile method was adopted to improve the soft ground under the permanent dyke, namely west sea dyke of Incheon New Port. The row replacement ratio 30% was applied to consider the ground condition, environmental side and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site. The stability and displacement analysis was carried out by respectively SLOPE/W and PLAXIS 2D program. Based on this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safety factor and displacement is within an allowable criteria. The model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the acryl soil box with $400(H){\times}1200(L){\times}250(W)mm$ to show the displacement of the dyke and behavior of soft ground. Based on this experiment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settlement does not occur from 1 and 2 loading phases and horizontal displacement of 0.0075% occurs from 2 phases. It is also found that the differential settlement occurs 0.05mm corresponding respectively 0.02% and 0.03% of the dyke height(15cm).

  • PDF

경인아라뱃길 주변해역의 해수유동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Tidal Currents in Sea Areas around Gyeong-In Waterway)

  • 백승화;신범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826-5834
    • /
    • 2014
  • 본 연구는 인천 북항과 염하수로 사이의 해역을 대상으로 인천 영종도 준설토투기장건설과 향후 인천만조력발전소 동측방조제 건설시 흐름차폐로 인한 이 해역의 해수유동변화에 대해 연구를 하였다. 이 해역의 해수유동에 대한 예측은 인천북항 영종도 준설토투기장 건설전, 후 상태와 인천만조력발전소 동측방조제를 건설한 경우를 예상하여 3가지 경우에 대해서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고, 현장관측치와 비교하여 흐름을 분석하였다. 수치실험결과 영종도 준설투기장건설전, 후 상태에서는 유향과 유속이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인천만조력발전소 건설시 동측방조제를 건설한 경우에는 경기만과 흐름차폐로 인하여 흐름 양상이 크게 변화되고 있음을 알았다. 즉, 흐름은 남북방향이 되고, 하류인 경인아라뱃길 주 항로가 되는 호도 하류부인 A, B, C지점에서는 유속이 다소 증가되고 있고, 염하수로 하류부(D)에서는 오히려 유속이 감소되고 있다. 그리고, 세어도 서쪽해역과 방조제 동측해역에서는 유속이 완만한 선회류가 발생하고 있음을 알았다. 본 연구는 인천만조력발전소 건설계획과 향후 경인아라뱃길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