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w-salinity Water and Circulation in Summer around Saemangeum Area in the West Coast of Korea

하계 서해안 새만금 연안역 주변 저염수와 순환

  • 이상호 (군산대학교 새만금환경연구센터, 해양정보과학과) ;
  • 최현용 (군산대학교 새만금환경연구센터, 해양정보과학과) ;
  • 손영태 (군산대학교 새만금환경연구센터, 해양정보과학과) ;
  • 권효근 (군산대학교 새만금환경연구센터, 해양정보과학과) ;
  • 김영곤 (군산대학교 새만금환경연구센터, 해양정보과학과) ;
  • 양재삼 (군산대학교 새만금환경연구센터, 해양정보과학과) ;
  • 정해진 (군산대학교 새만금환경연구센터, 해양정보과학과) ;
  • 김종구 (군산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Published : 2003.05.01

Abstract

In the mid-west coast of Korea where Mankyung and Dongjin rivers discharge fresh water, Saemangeum tidal dyke of 33 km long is under construction to reclaim the very shallow estuary region of 41,000ha. Main source of freshwater in this coastal area is Keum River locating closely north of the dyke. At present, the dyke connected with Gogunsan-Gundo separates this area into three regions; northwestern, southwestern and eastern (Saemangeum) region of the dyke, and the water in Saemangeum region is exchanged through one gap in the northern dyke and two gaps in the southern dyke. We have observed distributions and structure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to examine the summer circulation related with low-salinity water in this coastal area in 1998 and 1999. In the surface layer off the northern dyke a tongue-like distribution of low-salinity extends 60 km long from Keum River estuary mouth to the northwest, forming plume front bounded by offshore water. In the inner region of Saemangeum dykes salinity distributions show that two river waters are merged together and the low salinity water is deflected toward northern gap of the dyke. In the surface layer off the southern dyke we observed small tongue-like distribution of another low-salinity water extending to the north from Gomso Bay. Based on the analysis of distributions of low-salinity water and frontal structures, we can suggest an anticlockwise circulation of coastal water around the dyke, composed by the estuarine water outgoing from the inner region of the dyke through the northern dyke's gap and the inflow through two gaps of southern dyke from offshore. After completing the dyke construction, this coastal circulation around the dyke will be, however, changed because fresh water discharge of Mankyung and Dongjin rivers will be routed artificially and directly into the area offshore of the southern dyke.

만경강과 동진강이 담수를 유출하는 서해중부 연안에서 41,000 ha의 하구 천해역을 간척하기 위해 33 km의 새만금 방조제가 건설되고 있다. 이 연안역에 담수의 주 공급원은 방조제 북쪽에 위치하는 금강이다 현재 고군산군도 와 연결되고 있는 방조제는 이 해역을 세 지역으로 나누는데 방조제의 북서, 남서 그리고 동부(새만금) 지역이고, 새만금 지역 해수는 북방조제에 한 곳과 남방조제에 두 곳인 미축조 구간을 통해 교환된다. 이 연안역에서 저염수와 관련된 하계순환을 진단하기 위해 1998년과 1999년에 수온과 염분의 분포와 구조를 관측하였다. 북방조제 외측지역의 표층에서는 저염수의 혀모양 분포가 관측되었는데, 금강하구 입구에서 북서쪽으로 60 km까지 확장하고 외해수와 경계지어지는 강한 풀룸전선을 형성한다. 새만금 방조제 내측에서 염분분포는 두 강물이 병합되고 있으며 저염수가 북방조제 미축조 구간쪽으로 편향되었음을 보여준다. 남방조제 외측지역 표층에서는 곰소만으로부터 북쪽으로 확장하는 다른 저염수의 작은 혀모양 분포가 관측되었다. 이러한 저염수 분포와 전선구조 분석을 바탕으로 새만금 방조제 주변에 반시계방향의 연안수 순환을 제시할 수 있는데, 이는 방조제 내측에서 북방조제 미축조 구간으로 유출되는 하구 수와 남쪽 방조제 미축조 구간을 통하여 외해에서 유입하는 해수로 구성된다. 하지만 방조제 축조가 완성된 후에는 만경강과 동진강 담수 유출이 인위적이고 직접적으로 남방조제 외측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방조제 주변 연안역 순환형태는 변화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v.13 no.3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만경강 · 동진강의 유역정보 및 오염부하량 분석. 고재원;정신택;김철;조홍연
  2.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4 하구언 수문작동으로 인한 금강 하구역의 물리적 환경변화 Ⅰ. 평균해면과 조석. 권효근;이상호
  3.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v.30 no.6 새만금 간척지구 담수호 건설에 따른 담수배출의 영향범위 예측. 김대근;서일원;백경오;선우중호
  4. 한국수산학회지 v.35 no.4 새만금 사업지구의 연안해역에서 부영양화 관리를 위한 생태계모델의 적용 1. 해역의 수질특성 및 저질의 용출부하량 산정. 김종구;김양수
  5. 새만금 종합개발사업 어업피해 보상조사연구 제Ⅱ편 물리해양학적 조사 농림수산부
  6. 새만금지구 간척종합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서. 농어촌진흥공사
  7. 새만금지구 간척종합개발사업 사후환경영향 조사보고서. 농어촌진흥공사
  8. 수로기술연보 군산항 및 장항항의 수심변화 서기석
  9. 서지 제1432호 조류도(군산항 부근) 수로국
  10. 한국해양학회지(바다) v.7 no.3 금강풀룸의 구조와 분포에 대한 수치모델 연구 신은주;이상호;최용현
  11. 한국해양학회지(바다) v.6 no.3 하구언 수문작동으로 인한 금강하구의 물리적 환경변화 Ⅲ. 저염수의 조석동조 이상호;최용현;권근
  12.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4 no.4 하구언 수문작동으로 인한 금강 하구언의 물리적 환경변화 Ⅱ. 염분구조와 하구유형. 이상호;권효근;최현용;양재삼;최진용
  13. 한국해양학회지 v.30 하계 금강 plume의 구조와 변동 이상호;최현용;오임상
  14. 군산대학교 해양개발연구 v.2 고군산군도 주변해역의 해양학적 기초연구 1. 해수특성, 표층 퇴적물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 이원호;이상호;장진호
  15.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v.4 금강하구언 대량방류시 황해 중동부 해역의 염분분포. 최현용;이상호;유광우
  16. Estuaries; a Physical Introduction. A summary of the descriptive and dynamic oceanography of estuaries. Dyer, K. R.
  17. The Yellow Sea v.3 A numerical model study of residual tidal currents in the mid-eastern Yellow Sea - initial stratification. Lee, S. H.;H. Y. Choi
  18. Progress in Coastal Engineering and Oceanography v.1 Estuary type and plume structure of the Keum River Estuary. Lee, S. H.;H. Y. Choi;H. K. Kwon;E. J. Shin;B.H. Choi(ed)
  19. 2002. Extended abstract in Proceedings of 12th PAMS/JECSS Surface currents variability observed by HF radar off Keum River estuary in the west coast of Korea in summer Son, Y. T.;S. H. Lee;J. C. Lee;D. H. Kim
  20. J. Oceanogr. Soc. Korea v.25 Oceanographic studies rdlated to the tidal front in the Mid Yellow Sea off Korea: Physical aspects. Seung, Y.H.;J.H. Chung;Y. C.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