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explanations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31초

Changes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fter Two and Half Years of Public Science Education in Ontario Canada

  • Park, Hyeran;Woodruff, Earl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1호
    • /
    • pp.57-77
    • /
    • 2014
  • A longitudinal study traced changes in students' understanding of Nature Of science (NOS) through the public secondary science education in Ontario Canada. Although the concepts of NOS are complicated, and students' understandings are not easy to change, not many longitudinal studies have been done across the world. The current study tried to identify the changes of participating students' understandings of NOS for two and half years of public secondary science education in Ontario Canada. Pretest was administered using Views of Nature of Science (VNOS-C) when six participants graduated from a middle school of Toronto. Two and half years of secondary education, the posttest was carried out using the same instrument. After pre and posttest, probing interviews were performed.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founded on the Standards and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is study. The findings were that the initial views have little changed. Most examples and explanations the participants provided were from their science classes. Lab activities for confirming the existing laws and theories and observable photos in science textbooks made students regard the knowledge as a truth. Naturally, their knowledge has been expanded for 2 and 1/2 years, but this expansion of scientific knowledge led students toward Universalist views on science. On the other hand, when science was presented with a historical approach or was networked with other concepts, students acknowledged science and scientific knowledge had been induced from inferences as well as observations and experimental results. Based on the findings the author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educating the knowledge of science should be historical and networked approaches rather than teaching the knowledge as concise and true statements of the nature.

  • PDF

The Status of Scientiae Mediae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Biancani's Case

  • Park, Woo-Suk
    • 논리연구
    • /
    • 제12권2호
    • /
    • pp.141-170
    • /
    • 2009
  • 최근 1600년 경 예수회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들 사이에서 벌어졌던 수학의 과학으로서의 지위에 관한 논쟁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필자는 월러스, 디어, 그리고 만코수를 좇아 이 논쟁을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비앙카니가 수학의 본성에 관한 논고에서 중간과학을 논의한 바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디어와 월러스의 논의로부터 우리는 수학의 과학적 지위를 옹호한 이들과 부인한 이들 사이의 논쟁에 관한 비교적 훌륭한 조감도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그 논쟁의 일반적 동기를 이해하는 일과 그 안에 내포된 변증적 전략과 전술의 정교함을 감식하는 일은 전혀 별개의 문제이다. 바로 이 단계에서 우리는 중간과학에 관한 비앙카니의 견해의 요점을 이해하는 데에서 어려움에 봉착한다. 비록 중간과학의 문제에 관해서는 침묵을 지켰지만, 만코수가 완벽한 증명, 수학적 설명, 그리고 원인의 문제에 관한 예수회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들의 입장을 논의한 바는 역사적으로나 철학적으로나 모두 최고의 중요성을 지닌다. 필자는 그 논쟁에서 진실로 무엇이 쟁점이었는지를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하여 피콜로미니와 비앙카니의 견해에 대한 만코수의 해석을 주의 깊게 검토하고 비판할 것이다.

  • PDF

중학교 1학년 과학 영재의 가설-연역적 탐구 실험 글쓰기 유형 분석 (The Analysis of Writing Types on the Hypothetical Deductive Inquiry Experiment of the 7th Gifted in Science)

  • 강성주;박희경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309-335
    • /
    • 2011
  • 과학 탐구 과정 및 과학 학술지의 논문 양식을 기초로 글쓰기 분석틀을 만들었으며, 중학교 1학년 과학 영재의 글을 글쓰기 분석틀에 근거하여 분류하였다. 연구 대상 학생들의 글을 임시적 설명의 유무와 결론의 형태를 기준으로 7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그리고 각 유형별 사례를 연구 방법 또는 연구 결과 및 자료 해석 내용의 기술 횟수와 글쓰기에서 연구 방법 또는 연구 결과 및 자료 해석이 기술된 위치를 기준으로 단선형, 복선형, 결론 보강형으로 나누었다. 단선형은 연구 방법 또는 연구 결과 및 자료 해석이 1회 일 때, 복선형은 연구 방법 또는 연구 결과 및 자료 해석이 2회 이상, 결론 보강형은 연구 방법 또는 연구 결과 및 자료 해석을 1회 이상의 과정을 통해 결론을 내린 후 다시 앞에 제시한 과정 이외의 연구 방법 또는 연구 결과 및 자료 해석이 나타날 경우라 하였다. 학생들은 과학 글쓰기를 통하여 과학자와 같이 글을 쓸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의 글쓰기 유형은 학생들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으로써 적용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액터 닥터: 병원으로 간 배우들 (Actor Doctor: Actors Visiting Hospitals for Care)

  • 이강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229-238
    • /
    • 2022
  • 본 논문은 예술과 의료의 융합 개념인 '액터 닥터'를 통해서, 배우와 그 이중으로서의 정서 돌보미에 관하여 다룬다. 처음에, 액터 닥터는 사회공헌 프로그램에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일원으로 출발했다. 그러나 진화하는 액터 닥터 프로젝트에서, 액터 닥터는 배우 직업을 유지하면서, 전문 의료 제공자가 되는 이중 직업인을 추구한다. 액터 닥터는 따뜻한 가슴, 높은 정서 지능, 그리고 전문가적 기술을 갖춘 기능인으로서, 우리의 정서적 삶이 위협받는 이 시대에 더욱 필요성이 요구된다. 액터 닥터는 배우의 능력과 훈련을 이용해서, '건강 사회와 생활 복지'라는 사회적 비전을 실현시킬 수 있는 생활 밀착 정서 돌보미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퍼포먼스 연구와 인지과학의 전망으로부터, 정서 전문가로서 일하는 액터 닥터의 개념, 역할, 기능, 기술 등을 과학적 기초 위에 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 과학 문화 해설사 되어보기 활동을 통한 전통 과학 지식의 교육적 활용 방안 탐색 (Exploring the Use of Traditional Science Knowledge by 'Being a Commentator on Korean Traditional Science Culture' Activities)

  • 이지혜;신동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93-214
    • /
    • 2017
  • 본 연구는 우리 전통 과학의 고유한 의미를 유지하며 TSK를 과학 교육에 접목할 수 있는 방향 모색의 방법으로 '우리 과학 문화 해설사'라는 과학 활동을 통해 중학교 학생들이 이해한 TSK의 소재는 무엇인지, TSK의 이해에 영향을 준 학습 맥락은 무엇인지, 학생들이 구성한 TSK 가치관은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7명의 중학교 1학년 남 여 학생들은 7개월 동안 창덕궁의 전통 과학 소재를 발굴하고 전통 과학 문화 해설 대본을 만들어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해설을 실시했다. 분석 대상으로 학생들의 수업 과정, 해설 대본, 활동지, 조사지, 활동 후 개별 면담 등이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TSK의 소재를 전통 자연관, 전통 과학 기술, 과학을 이용한 삶, 자연 과학 소재 등의 네 가지 유형으로 이해했다. 학생들의 전통 과학 학습 경험에서의 주요 학습 맥락은 소통으로 현장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소통, 활동 과정에서 동료 혹은 어른들과의 의사소통, 해설사 역할로써 동생들과의 소통 등은 학생들의 TSK에 대한 경험적 이해와 맥락적이고 감각적인 과학 지식 형성, 과학의 다양한 형태와 표현에 대한 이해 그리고 과학의 설득적, 이해적, 전달적 설명 방법에 대한 경험 등에 도움을 주었다. 학생들은 TSK의 과학성, 인간적이고 소박한 특징, 과학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필요성, 문화로서 TSK를 지키고 유지할 필요성 등의 가치관을 형성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TSK가 과학 교육에서 통합적이고 실제 맥락적인 교육 현장을 제공하고 과학과 과학 방법에 대한 문화적 다양성과 동양 과학적 사고의 특성 이해에 활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전통 문화에 대한 TSK와 학교 과학의 동시적 접근은 우리 전통 문화를 바라보는 올바른 시각 형성과 주체적 태도에 기여할 수 있다.

초등학생과 초등 교사의 인식을 통한 과학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목표 성취 정도 분석 (An Analysis on Achievement Degree of Goals of Science Curriculum throug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 백성혜;우수경;김효남;원정애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1호
    • /
    • pp.113-12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achievement of goals in science curriculum. The questionnaires related to 'solution' chapter of 5th grade were developed. The subjects were 69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four elementary school teachers. 5 students were selected for deep interviews. Each interview was progressed separately, and all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s results, it is revealed that most of the students could not understand basic concepts of 'solution' chapter.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explanations in the textbook were insufficient. Many inquiry activities were introduced in textbooks, but the students could not acquire inquiry abilities, especially data interpretation and generalization abilities. Inadequate pictures in the textbook also disturbed the students' learning of inquiry ability. Using materials of real life in textbook could not attrac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ests effectively.

Cases and Features of Abductive Inference Conducted by a Young Child to Explain Natural Phenomena in Everyday Life

  • Joung, Yong-Jae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97-21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ases and features of the abductive inference used by young children when trying to explain natural phenomena in everyday life. From observing a 5-year-old's daily activities with his family, and analyzing the data according to the criterion extracted from the form of abductive inference described by C. S. Peirce, a few cases where the child used abductive inferences to explain natural phenomena were found. The abductive inferences in the cases were conducted: (a) based on figural resemblance and behavioral resemblance (b) under the influence by individual belief and communal belief, then (c) resulted in new categorization accompanied by over generalization. Such features of the abductive inference showed the 'double faces'; sometimes encourages and sometimes discourages children's generating better scientific hypotheses and explan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ven young children use abductive inference to explain doubtful natural phenomena in everyday life, although we need to consider carefully with the double aspects of the features of abductive inference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s to the fields of science education. Finally, several suggestions and following studies for science education are proposed.

가열과 비가열 상황에서 증발과 끓음에 대한 고등학생과 화학전공 교사들의 인식 조사 (Surve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Chemistry Teachers' Perceptions on Evaporation and Boiling in the Situations of Heating and Non-Heating)

  • 조미정;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527-536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가열 상황과 비가열 상황을 비교하여 증발과 끓음에 대한 고등학교 3학년 122명의 학생들과 화학 전공 97명의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과학적 개념을 대부분 가지고 있었으며 상황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학생들은 가열 상황에서는 증발을 끓음으로, 비가열 상황에서는 끓음을 증발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다. 교과서의 증발과 끓음에 대한 설명 유형을 분석한 결과, 많은 교과서에서 증발은 비가열 상황에서만 제시하고, 끓음은 가열 상황에서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열 개념에 따른 온도 개념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tudents따 Conception of Temperature with their Heat Conception)

  • 권성기;김익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2권1호
    • /
    • pp.15-2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cept of heat and that of temperature for elementary students. Eight multiple choice type questions with explanation of reasons for selection were develop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the analysis of science curriculum for elementary students. The students of 9, 10, 11 years(n=292) were selected from two elementary schools in Taegu City. The responses of students' multiple choice and their explanations were analysed in each items χ² test used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types of heat and temperature conceptions Half of elementary student could discriminate the two terms of heat and temperature, majority of them thought that heat is likely to be hot and temperature is the quantity of heat, which is not based on scientific conception. Elementary students thinkings about heat could be classified with material type of heat and molecular kinematics type. Material type of heat were more popular than with molecular kinematics type, although the latter is increased. Majority of students answered correctly in qualitative questions of mixing of hot and cold water, but about only one third of them answers in quantitative questions. Subtraction of cold temperature from hot temperature was the most popular explanation, even though one-quarter of students summed up the two temperature in quantitative situation of mixing hot and cold waters. Those who thought heat as the molecular kinetic responded more correctly in most difficult questions than those who as the material.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e types of heat conceptions affected the concept formation of temperature.

  • PDF

조헌영(趙憲泳)의 생애와 의학사상(醫學思想) (A Study on Joheonyeong's Life and the Medical Philosophy)

  • 백유상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03-130
    • /
    • 2019
  • Objectives : In this paper, the life and medical philosophy of Jo, Heonyeong, a Korean Medical scholar of modern times was studied. Based on his life events and publications, his medical philosophy was examined. Methods : Jo's life tracks were reconstructed based on his books, written contributions, documents on his activities that were collected from newspapers, magazines, papers, etc.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his Korean Medical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 as argued by himself was examined. Results : After he himself understood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Korean Medicine thoroughly, Jo, Heonyeong interpreted the principles of Korean Medicine by means of general scientific methodology along with simple, common knowledge based explanations. He compared Eastern Medicine with Western Medicine and pursued their integration, while making it his objective to have lay people understand medicine and to receive proper medical care and live healthy lives, based on the principles of a righteous government. The reason for his contributions to lay people targeted mediums and writing Korean Medical books that were easy to comprehend was also because of this philosophy. Conclusions : By making efforts to change and improve reality whether it be medicine or politics, Jo, Heongyeong went beyond treatment of diseases and pursued a world where all people could live healthy l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