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Joheonyeong's Life and the Medical Philosophy

조헌영(趙憲泳)의 생애와 의학사상(醫學思想)

  • Baik, Yousang (Dept. of Korean Medical Classics,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백유상 (경희대학교 한의학과대학 원전학교실)
  • Received : 2019.07.31
  • Accepted : 2019.08.07
  • Published : 2019.08.25

Abstract

Objectives : In this paper, the life and medical philosophy of Jo, Heonyeong, a Korean Medical scholar of modern times was studied. Based on his life events and publications, his medical philosophy was examined. Methods : Jo's life tracks were reconstructed based on his books, written contributions, documents on his activities that were collected from newspapers, magazines, papers, etc.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his Korean Medical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 as argued by himself was examined. Results : After he himself understood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Korean Medicine thoroughly, Jo, Heonyeong interpreted the principles of Korean Medicine by means of general scientific methodology along with simple, common knowledge based explanations. He compared Eastern Medicine with Western Medicine and pursued their integration, while making it his objective to have lay people understand medicine and to receive proper medical care and live healthy lives, based on the principles of a righteous government. The reason for his contributions to lay people targeted mediums and writing Korean Medical books that were easy to comprehend was also because of this philosophy. Conclusions : By making efforts to change and improve reality whether it be medicine or politics, Jo, Heongyeong went beyond treatment of diseases and pursued a world where all people could live healthy lives.

Keywords

References

  1. 國史編纂委員會. 資料大韓民國史. 서울. 大韓民國文敎部. 1968.
  2. 金完熙. 신생리학총론. 서울. 경희대학교한방생리학교실. 1972.
  3. 김남일. 근현대한의학인물실록. 경기도. 들녘. 2011.
  4. 김남일. 醫書의 刊行을 중심으로 살펴본 日帝時代 한의학의 학술적 경향. 의사학. 2006. 15(1).
  5. 김도원. 조헌영의 婦人病治療法에 대한 의사학적 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2019.
  6. 김동일 외 4인. 동의학사전. 서울. 여강출판사. 1989.
  7. 金永勳 著, 李鍾馨 編. 晴崗醫監. 서울. 成輔社. 2001.
  8. 김은주. 성평등 헌법과 여성대표성. 이와젠더 법학. 2017. 9(1).
  9. 김희곤 외. 영양의 독립운동사. 영양. 영양문화원. 2006.
  10. 김희곤 외 5인. 경북독립운동사IV. 대구. 영남사. 2013.
  11. 盧正祐. 韓國醫學史(韓國文化史大系III.科學技術史). 서울. 高大民族文化硏究所. 1968.
  12. 대한한의사협회역사편찬위원회. 대한한의사협회사(1898-2011). 서울. 유천문화사. 2012.
  13. 東光新聞. 光州. 宣美峰.
  14. 東亞日報. 서울. 東亞日報社.
  15. 東洋醫藥社. 東西醫學硏究會任員. 東洋醫藥. 1935. 1.
  16. 東洋醫藥社. 本誌 創刊後 漢醫藥界의 動向. 東洋醫藥. 1935. 3.
  17. 동양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東洋醫學大辭典 (9). 서울. 경희대학교출판국. 1999.
  18. 柳熙英, 辛民敎, 孟雄在. 韓國醫藥人名事典. 서울. 醫聖堂. 1991.
  19. 每日申報. 朝鮮總督府.
  20. 박용규. 조선어학회 항일투쟁사. 서울. 한글학회. 2012. pp.72-74.
  21. 박윤재. 1930-1940년대 조헌영의 한의학 인식과 동서절충적 의학론. 한국근현대사연구. 2007. 40.
  22. 박윤재. 1930-1940년대 강필모의 한의학 인식과 과학화론. 역사와현실. 2014.
  23. 박윤재. 1940년 동서의학논쟁과 의료계의 변화. 한국근현대사연구. 2018. 86.
  24. 白裕相. 근현대 韓醫學 高等敎育機關의 敎育課程 분석.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30(4). 2017.
  25. 부인신문. 서울. 부인신문사.
  26. 북한의학과학원동의학연구소. 醫方類聚. 서울. 여강출판사. 1991.
  27. 謝觀. 東洋醫學大辭典. 上海. 商務印書館. 1921.
  28. 商工日報. 서울. 任永信.
  29. 서희경. 현대한국헌정과 국민통합. 한국정치 외교수논총. 2007. 28(2).
  30. 신규환. 병존과 절충의 이중주. 역사교육. 2007. 101.
  31. 新東亞. 서울. 東亞日報社.
  32. 신동원. 1930년대 한의의 근대성.과학성 논쟁(논쟁으로 본 한국사회 100년). 서울. 역사비평사. 2000.
  33. 신동원. 조선총독부의 한의학 정책-1930년대 이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의사학. 2003. 12(2).
  34. 신용하. 신간회의 민족운동. 충남. 독립기념관독립운동사연구소. 2007.
  35. 신준영. 평양시 신미리 재북통협 특설묘지. 민족21. 2002. 7.
  36. 신창건. 趙憲泳의 정치적 의학사상(김성근 외. 한국 근현대 과학기술사의 전개).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2005.
  37. 楊禮壽 著, 조헌영, 태창득, 리성희, 김동일 譯. 醫林撮要(國譯韓醫學大系5). 서울. 海東醫學社. 1999.
  38. 여인석. 한말과 식민지 시기 서양의학의 한의학 인식과 수용. 의사학. 2007. 16(2).
  39. 嶺南日報. 大邱. 嶺南日報社.
  40. 尹吉榮. 東醫學의 方法論硏究. 서울. 成輔社. 1983.
  41. 尹吉榮. 韓方生理學의 方法論硏究. 大韓漢醫學會報. 1966.
  42. 李炳憲. 新幹會運動. 新東亞. 1969. 60.
  43. 李鍾馨. 韓國東醫學史(韓國現代文化史大系III.科學技術史). 서울. 高大民族文化硏究所. 1977.
  44. 이충열. 玄谷 尹吉榮의 漢方生理學의 方法論 硏究 재 조명.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 23(4).
  45. 임병묵. 1930년대 한의학 부흥 논쟁. 서울대학교보건대학원. 1996.
  46. 전혜리. 1934년 조선 한의학 부흥 담론에서 나타난 한의학 정체성의 근대적 재구성. 서울대학교대학원. 2010.
  47. 전혜리. 1934년 한의학 부흥 논쟁 - 한의학 정체성의 '근대적' 재구성. 한국과학사학회지. 2011. 33(1).
  48. 정근식. 일제하 서양의료체계의 헤게모니 형성과 동서의학 논쟁.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문학과지성사). 50. 1996.
  49. 정기용, 박왕용, 이충열. 1951년 국민의료법 한의사 제도 입법 과정. 대한한의학회지. 2010. 31(1).
  50. 鄭智薰. 日帝時代初期 韓醫學術雜誌 硏究. 慶熙大學校大學院. 2001.
  51. 朝鮮日報. 서울. 朝鮮日報사.
  52. 朝鮮中央日報. 呂運亨.
  53. 朝鮮日報. 서울. 朝鮮日報社.
  54. 조헌영 외, 정근식 해석, 박석준, 최종덕 보론. 漢醫學의 批判과 解說. 서울. 조합공동체 소나무. 1997.
  55. 조헌영 저, 윤구병 주해. 통속한의학원론 : 쉽고 재미있게 풀어쓴 한의학의 명저. 서울. 학원사. 1999.
  56. 조헌영 저, 윤구병 주해. 한방이야기. 서울. 學園社. 1987.
  57. 조헌영, 학위를 받고나서. 조국. 1. 1966.
  58. 趙憲泳. (應用自在)通俗韓醫學源論. 京城. 東洋醫藥社. 1934.
  59. 조헌영. 동방의학의 중용성과 그 발전 전망에 대하여. 조선과학원통보. 3. 1957.
  60. 趙憲泳. 東洋醫學叢書 : 五種. 서울. 杏林書院. 1963.
  61. 趙憲泳. 物質文明은 어데로. 京城. 日月書房. 1937.
  62. 趙憲泳. 民衆醫術理療法. 京城. 東洋醫藥社. 1935.
  63. 趙憲泳. 婦人病治療法(女科證治). 京城. 東洋醫藥社. 1941.
  64. 趙憲泳. 小異를 버리고 한글 統一案을 支持하자. 한글. 3(5). 1935.
  65. 趙憲泳. 神經衰弱症治療法 : 心氣證治. 京城. 東洋醫藥社. 1938.
  66. 趙憲泳. 胃膓病治療法(脾胃證治). 京城. 東洋醫藥社. 1939.
  67. 趙憲泳. 通俗漢醫學原論. 서울. 乙酉文化社. 1950.
  68. 趙憲泳. 通俗漢醫學原論. 서울. 學林社. 1983.
  69. 趙憲泳. 肺病漢方治療法(肺癆證治). 京城. 東洋醫藥社. 1937.
  70. 趙憲泳외 저, 朴季祚 편. 漢醫學의 批判과 解說. 全州. 全北漢醫藥組合. 1942.
  71. 中外日報. 李相協.
  72. 한글학회50돌기념사업회. 한글학회50년사. 서울. 한글학회. 1971.
  73. 漢城日報. 서울. 梁在廈.
  74. 許浚 著, 趙憲泳, 金東日 외 10인 譯. 東醫寶鑑1-5. 서울. 여강출판사. 1994.
  75. 황영원. 일제하 조선 한의계와 한의학의 식민지적 근대. 고려대학교대학원. 2018.
  76. 조광렬. 나의 할아버지 조헌영 어른과 형제분들. 조지훈문학동산. 2017. [cited on July 10, 2019]; Available from: URL: http://m.cafe.daum.net/krcho45/VP0T/29?q=D_6Yyoqc24i850
  77. 조헌영. 위키백과. 2002. [cited on July 10, 2019]; Available from: URL: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D%97%8C%EC%9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