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012/jkcs.2004.48.5.527

Survey of High School Students' and Chemistry Teachers' Perceptions on Evaporation and Boiling in the Situations of Heating and Non-Heating  

Cho, Mi-Jeong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aik, Seoung-Hey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researched 122 high school students?and 97 chemistry majored teachers?perceptions on evaporation and boiling compared heating and no heating situations.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thoughts of evaporation and boiling depend on the situation were stable, but students?thoughts were depend on the situations. The high school students thought evaporation as boiling on the situation of heating and thought boiling as evaporation on the situation of no heating. These phenomena were related to the explanations of science textbooks. In many textbooks, evaporation concept was explained in the situation of no heating and boiling concept was explained in the situation of heating.
Keywords
High School Student; Teacher of Chemistry Major; Misconception; Scientific Conception; Evaporation; Boiling; Situation Depend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Bar, V.; Travis, A. 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Teaching. 1991, 28(4), 363-382.   DOI
2 Johnson, P.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1998b, 20(6), 695-709.   DOI   ScienceOn
3 정애경 증발과 끓음에 대한 중등교과서의 개념간 관련성 분석 및 과학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03.
4 여상인 인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논총, 2001, 13, 209-224.
5 Chang, J-Y. Science Education. 1999, 83(5), 511-526.   DOI   ScienceOn
6 양영민 증발과 응결에 대한 국민학교 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2.
7 최병순; 김효남; 강순희; 신인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93, 13(1), 92-99.
8 박흥순 국민학교 아동들의 증발과 응결에 대한 이해도 조사; 상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5.
9 Osborne, R. J.; Cosgrove, M. M. Journal of Researchin Science Teaching. 1983, 20(9), 825-838.   DOI
10 Bar, V.; Galili, I.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1994, 16(2), 157-174.   DOI   ScienceOn
11 Stavy, R.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990,27(3), 247-266.   DOI
12 국동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88, 8(1), 33-42.
13 Hwang, B. T.; Hwang, H. W. A study of cognitive developmentof the concepts of solution. Research reportsponsored by National Science Council, R.O.C(GrantNo. NSC79-0111-S003-021-D). Taipei; NSC., 1990.
14 박선양 일상적 상황에서 물의 상태 변황 대한 학생들의 반응 유형 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15 윤재화 초등학교 학생들의 증발과 응결에 관한 개념 변화 유형 조사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16 이윤정 국민학교 4,5학년 학생들의 증발과 응결에 대한 선개념 유형과 경험 활동 학습을 통한 개념 변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4.
17 최경희; 김숙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96, 16(3), 303-313.
18 Tytler, R.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2000, 22(5), 447-467.   DOI
19 Stavy, R.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1988, 10(5), 553-560.   DOI   ScienceOn
20 최병순; 김효남; 강순희; 김영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94, 14(3), 272-284.
21 전정수 증발과 끓음에 대한 중학교 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22 고영미 증발과 증발 조건에 대한 유.초.중학교 아동의 개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23 Russel, T.; Watt, D. Evaporation and condensation:Primary SPACE Project Research Report. LiverpoolUniversity Press, 1990.
24 예종성 초등학생들의 증발과 응결에 대한 대안적 개념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25 Johnson, P.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1998a, 20(5), 567-583.   DOI   ScienceOn
26 이정화 국민학교 저학년 학생의 증발과 응결에 대한 선개념 조사 및 수업을 통한 개념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4.
27 조부경; 고영미; 김효남; 백성혜; 박재원; 박진옥; 임명혁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02, 22(2), 286-298.
28 신인철 증발과 응결에 대한 국민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2.
29 강태정 물질의 상태와 상태 변화에 대한 초등학생의 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30 임명혁 물의 상태 변화와 상태변화의 조건에 대한 유아, 초등, 중학교 학생들의 개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