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5초

사서 교사의 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eacher Libarians' Efficacy)

  • 강봉숙;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49-16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 교사가 지닌 효능감 특징을 분석하고, 효능감 강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8년도 K 대학 1급 사서교사 자격연수에 참여한 전국의 사서 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분석 결과 사서 교사의 효능감은 평균 3.38점이며, 교수법 효능감(3.60점)이 높고, 집단 효능감(3.38점)과 개인 효능감(3.18점)은 낮게 나타났다. 사서 교사는 수업운영, 불우 학생 지도 의지 및 문제 학생 지도 가능성 판단에 대한 개인 효능감과 동료 교사 및 학부모와의 갈등 관리에 대한 집단 효능감이 높았다. 반면에 문제 학생의 원인 분석과 지도, 어려운 내용 및 과목 지도에 대한 개인 효능감이 낮았다. 또 관리자 및 교육청과의 갈등에 대한 집단 효능감이 낮았다. 사서 교사들은 학생에 대한 교수법 방법 개선 노력에 대한 의지가 강하며, 학생 동기화와 교수 준비에 대해서 높은 효능감을 보였다. 그러나 학습 기술이 부족하고, 다양한 교수법이 부족하다는 인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끼친 변인은 출신 학부, 학력, 근무학교 규모, 경력 등이며, 특히 학력이 높을수록 문제 학생 및 불우 학생 지도에 대한 자신감과 열정이 높고 교수법에 대한 자신감이 강했다. 또한, 동료 및 학부모와의 갈등해결과 교수법에 대한 신뢰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사서 교사 효능감 향상 방안으로 양성에서의 교직 이수비율 확대, 임용 전 사서 교사 연수 제도 개선, 장학체계 확립 그리고 대학원 진학을 통한 전문성 향상 노력 등을 제안하였다.

멘토의 자격요건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 연구 (A Study on Teacher's Recognition in Early-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of Mentor Qualifications for Mentoring)

  • 김옥주;김정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7-187
    • /
    • 2012
  • The research aimed at analyzing how the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age,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position) and experiences with the mentee and the mentor affect their awareness on the mentor qualifications for the mentoring program conducted by infants' educational organizations. By fulfilling the purpose of the research, proper qualifications for a mentor of outstanding abilities, which would be desired by teachers in infant educational organizations, should be established while preliminary data on the mentor teacher training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a mentor is expected to be provided.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argeting 319 teachers in infants' educational organizations located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The measuring instrument used was a recognized survey on how the mentor qualifications for the mentoring conducted by infants' educational organizations. The survey consisted of 22 questions. The researcher personally designed the survey based on results generated from preliminary research. SPSS 14.0 was used to analyze selected data as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one-way layout dispersion. In addition, a post-analysis on the one-way layout dispersion was conducted via the Scheffe posteriori test.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mentor qualifications for the mentoring were differently recognized by teachers in infants' educational organizations according to both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age,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and position) and experiences with the mentee and the mentor.

SSI 교사모임의 특성과 교사 전문성 발달과의 관련성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SSI Teachers' Community and Development of Teacher Expertise)

  • 정행남;유선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31-44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SSI 교수 경험이 많은 교사들의 SSI 교육에 대한 인식변화를 가져온 K교사모임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것이 참여 교사들의 SSI 교수 전문성 발달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해 탐색하는데 있다. 20여년 간 SSI 교육 활동에 대한 경험이 많은 6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하여 그들이 활동하고 있는 K교사모임의 특성을 심층적으로 서술한 사례연구이다. K교사모임은 크게 세 가지 특징을 나타냈다. 첫째, K교사모임은 과학기술의 본성에 대한 논의와 과학교육의 목표에 대한 공통된 지향 형성을 통해 정체성을 형성해 나갔다. 둘째, K교사모임의 참여 교사들은 SSI의 다양한 실천을 통해 지속적으로 생산하고 이를 공유하고 확산하는 과정에서 SSI 교수에 대한 전문성과 자신감을 형성하였다. 셋째, K교사모임은 외부공동체에 대한 개방성과 연대의식을 통한 공진화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다. 이러한 SSI 교사모임의 특성에 따라 정책적으로 교사공동체의 지원이 필요하다.

과학 교사의 탐구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PLC) 프로토콜의 활용 가능성 탐색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PLC Protocol for Enhancing Science Teachers' Teaching Expertise on Inquiry Class)

  • 이기영;정은영;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39-448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과학 교사 PLC에서 탐구 수업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현장 교사들을 대상으로 시험 적용을 통해 개발된 프로토콜의 현장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5단계로 구성된 과학탐구 수업 PLC 프로토콜을 개발해서 6명의 참여 교사를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적용하였다. 프로토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마다 성찰일지를 작성하게 하였으며 5단계 프로토콜 적용 후 집단 면담을 통해 프로토콜에 대한 참여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교사 탐구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프로토콜을 (1)과학탐구 수업에 대한 생각 드러내기, (2)과학탐구 수업 경험 공유하기, (3)학생의 과학탐구 결과물 들여다보기, (4)과학탐구 지도 소양 쌓기, (5)과학탐구 수업계획 짜기 등의 5단계로 구성·개발하였다. 둘째, 참여 교사의 성찰 일지와 사후 면담 분석 결과를 통해 이 연구에서 개발된 과학탐구 수업 PLC 프로토콜의 광범위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참여 교사들은 프로토콜이 PLC의 체계적 운영, 교사의 참여도 제고 등에 도움이 되었으며, 5단계 프로토콜을 경험함으로써 자신의 탐구 수업에 대한 성찰과 개선을 위한 고민의 기회를 얻었고 탐구 수업에 대한 자신감이 생겼다고 인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학 교사 PLC 프로토콜 개발 및 활용에 대해 제언하였다.

헌신적인 교사가 갖추어야 할 창의성에 대한 중등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비교 (Comparison of Perception Between Secondary School Teacher and Pre-service Teacher about the Creativity as an Essential Quality of Highly Professional and Committed Teachers)

  • 윤마병;서재복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03-312
    • /
    • 2014
  • In order to foster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who possess a certain degree of creativity must learn about this new approach as part of their teacher training.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on the curriculum of the teacher education-training college in question by analys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creativity and by collecting sufficient data to develop a positive feedback model for selecting, cultivating, and appointing pre-service teachers who fulfil the requirements of said college of education. Such teachers will display the commitment and professionalism to fulfil their teaching duties in the best possible manner and will consistently produce valuable contributions to their chosen subject matter and integrate these into their daily teaching. These teachers will complete all their tasks in a creative way, including student guidance, administrative duties, and academic lessons. The factors that distinguished creative teachers from others included originality and fluency. Our test group comprised 216 pre-service teachers as well as 137 fully qualified teachers.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required in order to qualify as a 'creative and committed teacher' was very low. We provided data to the college of education to increase creativity when selecting teachers and curricula based on an analysis of perceptions of creativity provided by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매개 중재가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gressive Stress Response Mediation o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Satisfaction)

  • 이정윤;황혜경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45-1354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ve stress response on the association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in ophthalmic optics majors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ould help form opticians' professionalism and make clinical practice more effectiv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236 sophomores and juniors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who had finished clinical practic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testing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s among clinical practice stress,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aggressive stress response and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ve stress response on the association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Results: Clinical practice stress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aggressive stress response (p<0.01), and aggressive stress respons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p<0.01). The association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was more likely to be explained by the addition of clinical practice stress than by being aggressive stress response controlled, which statistically significantly met the criteria for mediating effects (p<0.001).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program development and teaching methods within the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so that ophthalmic optics majors can utilize aggressive stress response to overcome clinical practice stress effectively and improv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중등교사가 인식하는 유능한 교사의 자질 (The Qualities of an Effective Teacher Recognized by Secondary Teachers)

  • 장한기;장홍석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3권1호
    • /
    • pp.37-62
    • /
    • 2001
  •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ies of an effective teacher needed to accomplish educational reform successfully and prepare for a rapidly changing knowledge-based societ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specific questions were looked into; (1) knowledge, skills, attitude of an effective teacher. (2) a proposal for staff development program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3) a proposal to support teachers' efforts to improve their effectiveness. (4) the factors inhibiting the improvement of teachers' effectiveness.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because the study deals with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of teachers,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useful to such a case. The research was done on teachers from secondary schools in Pusan City. According to the teachers interviewed, an effective teacher needed in the new age has such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as; (1) knowledge in their major, general culture and common sense, psychology of educational counselling, social science, and knowledge and information related to curriculum. (2) effective instruction skills, skills to guide student behavior, skills related to administrative clerical work, using the computers, extra curriculum activities, educational evaluation, using teaching materials,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and good communication skills. (3) attitude relevant to willingness to understand and converse with students at their cognitive level, positive expectations and concern toward students, democratic problem solving, continuous self-study and development, thoroughgoing mission and professionalism, will for educational reform and innovation, neat appearance and refined language, and successfu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teachers also said that the current staff development system, as a program to provide necessary qualities for teachers, has improved in the last 3 years through diverse curriculum and systematic programs. However, due to the problematic promotion system, the staff development program has turned into just a 'point collecting' game from the role of in-service training program; teachers take training courses as the means just collecting points for promotion purpose. Factors inhibiting the improvement of teachers are (1) overload of formal paperwork over emphasizing outcome, (2) mannerism of teachers not perceiving their lack of professionalism, (3) the general attitude in the teaching profession resisting change and reform, (4) supervisory activities lacking rigid regulation, (5) research just as the means of point-collection only for promotion, and (6) staff development programs lacking efficiency. These factors, interacting each other, inhibited the improvement of teachers.

  • PDF

현행 전국과학전람회의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tatus and Improvements of the National Science Fairs)

  • 최도성;한효의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0권1호
    • /
    • pp.59-73
    • /
    • 2001
  • The National Science Fairs has been held in every year for the promo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scientific civil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urrent problems in National Science Fairs by making up a question and to improve them. The study makes up a questionnaires about the existing Science Fairs to the teachers who have submitted their works to the Science Fairs and suggest the ways of improvement. The result of questionnaires is that little availability of reference materials, difficulty of paying proper attention to regular classes because of frequent travels, and absence of experimental devices and experimental rooms are perceived as major obstacles in preparing for the exhibition. Respondents teacher also pointed out some problems with the current organization of the exhibition; non-voluntary selection process for the potential authors, separation of research content from regular teaching materials, unrealistically high standard, low participation rate of teachers, so many exhibited works, lack of professionalism in the screening process. The majority however, agreed that the exhibition event should be continuously done, after remedial measures have been taken about the problems. First, the side of science education is emphasized in a purpose of the science fairs to let activity related to science fair be closely connected with school education. Second, students have to be divided according to grade. Third, research level have to be set not too higher than regular instruction content. Fourth, hand book related to science fairs have to be manufactured and spread. Fifth, data of local science fair have to be arranged. Sixth, judging section have to be subdivided and people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have to be included to a judge. Seventh, excellent works have to be support to participate in ISEF.

  • PDF

우리나라 문화상품디자인 교육의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ultural Goods Design Education in korea)

  • 임상순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79-90
    • /
    • 2003
  • 문화상품이 국가의 이익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분야로 지목되면서 이 분야의 인프라 육성을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 준하는 디자인 교육은 학과의 전문성이나 특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검토 과정을 거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체계적인 교육과정과 내용은 거의 갖추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이 논문은 문화상품디자인 과정에 준하는 디자인 교육의 올바른 방향 설정과 체계적인 교육 내용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서, 문화상품디자인의 개념과 내용을 근거로 문화상품디자인의 작업 영역을 설정하고, 문화상품 디자이너의 기능과 역할 그리고 조건을 정리하며, 이들 내용을 중심 바탕으로 문화상품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제언함으로서, 문화상품디자인 교육의 구체적 방법에 대한 초석을 마련하고자 한다.

  • PDF

현직 중등과학교사의 과학탐구능력 발달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효과에 대한 인식 (Developmental Study of an Inquiry-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In-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 박국태;박현주;김경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72-479
    • /
    • 2005
  • 이 연구는 과학교사의 탐구과학능력발달의 전문성을 위하여 교육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SSC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적용하고, 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과학교사의 탐구능력발달에 대한 전문성을 위한 일련의 프로그램으로, 과학교사 28명이 SSCS 워크샵과 연수를 통하여 SSCS 모듈을 개발하고, 시연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과학 교사들의 탐구능력발달 모듈을 개발, 그리고 적용과 효과에 대한 인식이라는 두 가지의 연구 문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과학 교사의 탐구능력발달 전문성은 SSCS 모델을 적용한 프로그램 개발과 수업 기술이 포함되며, 이것은 교사의 SSCS 모델 활용을 위하여 선결되어야 할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교사들이 인식하는 프로그램 적용의 구체적인 효과는 교사의 과학 및 과학 학습에 대한 스스로의 동기 유발, 탐구적 문제해결 능력 함양, 탐구 과학 수업에 대한 자신감 함양 등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과정이 요구하는 많은 시간과 노력과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상식은 실질적인 어려운 점으로 지적되었다. 한편 교사들은 교육과정 과학 시간상의 제약 실질적인 학습효과에 대한 불확실성, 프로그램 개발의 어려움, 다양한 수업 전략의 필요로 인하여 SSCS 프로그램의 학교 현장 적용에 다소 제한적인 관점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