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subject item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관련 항목명 확장전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ansion of Headings for Digital Trends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 정옥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77-19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관련 항목명의 확장 전개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듀이십진분류법과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관련 항목명이 전개되어 온 과정을 분석하였다. 둘째, 미국의회도서관 주제명표목표와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디지털 관련 주제를 분석하였다. 셋째, 듀이십진분류법 제23판과 미국의회도서관 주제명표목표에 전개된 디지털 관련 분류 항목명을 비교 분석하고, 한국십진분류법 제6판 본표에 전개된 분류항목명과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십진분류법 제6판에 전개된 디지털 관련 항목명이 12개 항목으로 디지털 관련 자료의 합리적인 분류가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KDC의 디지털과 관련된 항목명을 포함주기와 분류지시주기에 추가하거나 새로운 분류항목으로 확장 전개하여야 할 것이다.

요통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한국어판 오스웨스트리 장애 설문지의 라쉬분석 (A Rasch Analysis of the Korean Version of Oswestry Disability Questionnair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Low Back Pain)

  • 김경모;박소연;이충휘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5-42
    • /
    • 2011
  • Three hundred and fourteen low back pain patients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Oswestry Disability Questionnaire (KODQ) and the Rasch analysis was then applied to identify the inappropriate items and to determine ODQ item difficulties according to a subject's characteristics. For women and youths, the 'sex life' item showed misfit statistics, whereas for older subjects it was the 'pain intensity' and 'standing' items. Also, in the acute low back group the 'pain intensity', 'standing' and 'sex life' items showed misfit statistics. For all subjects, the most difficult item was 'pain intensity', whereas the easiest item was 'walking'. But for the older and acute groups 'lifting' was the most difficult item and for those who have a visual analogue scale score of 3 or less 'sitting' was the most difficult item. These results show that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is present in several items according to sex, age, acute and chronic pain, and VAS score. This study may be useful for adjusting the KODQ item difficulties for low back pain patient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과학 영재 선발 도구로서 지필 검사의 적합성 탐색을 위한 질적 및 양적 문항 분석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Paper-Pencil Test Items for Exploring its Appropriateness as a Selection Tool of the Gifted in Science)

  • 이기영;동효관;홍준의;김현경;조봉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2-46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과학 영재 선발 도구로 사용된 지필검사(기초 지식 및 탐구 능력 검사, 창의성 검사) 문항의 질적 특성과 양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타당하고 신뢰로운 영재 선발 도구로서 지필검사의 적합성을 탐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문항의 질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내적 및 외적 문항 분석틀을 구안하여 적용하였으며, 문항의 양적 특성과 질적 특성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수의 문항이 중학교 교육 과정을 벗어난 속진 맥락으로 출제되어 내용 타당도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출제되는 내용이나 맥락에서 교과별 및 연도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어 검사 도구의 안정성에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 지식 및 탐구 능력 검사의 경우는 지식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으며, 탐구 과정 중에서는 자료 해석 및 분석에 치중됨으로써 고른 탐구 능력을 측정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창의성 검사에서는 대다수의 문항이 발산적 사고나 연관적 사고보다는 수렴적 사고를 주로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분석된 대부분의 문항이 그래프보다는 그림이나 표를 이용하여 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항 유형에서는 서술형보다는 선다형이나 단답형의 비율이 훨씬 높았다. 문항의 변별도는 두 검사 모두 양호하였으나, 문항별 난이도 편차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 간 및 검사도구 간 상관은 매우 낮았으며, 신뢰도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난이도는 낮아 쉬운 문제였지만 변별도가 양호한 유형의 문항이 가장 많았으며, 속진 맥락의 문항이 심화 맥락에 비해 변별도가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들은 영재 교육 기관에서 학생 선발에 적합한 지필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기사데이터베이스의 분류항목과 데이터표시형식에 관한 비교분석 (Analysis on classification item and data display format of newspaper article database)

  • 한상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3권
    • /
    • pp.329-362
    • /
    • 1995
  • Newspaper Article Information is an important source of information on social phenomenon with historical value. The development of computer and technology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enables the construction of Newspaper Article Database by CTS and service through computer communication. It made it possible for the peoples to utilize the Newspaper Article Information easily.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utilize the currently prevailing system. There are differences in classification system of Newspaper Article Database and the Data Display Format. This survey aims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Newspaper Article Database and current domestic computer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By compar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Retrieval Menu and Data Display Format, I intended to suggest the standardized way of utilization which enables the users utilize them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The results of this survey is as follows : 1. More sub-divided distinction of classification item is required. 2. Separate classification item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distinction of article form which is very difficult to classify the subject. 3. Data Display Format should be equi n.0, pped with standardized format and signal which enables the users recognize it easily.

  • PDF

온라인열람목록의 탐색유형과 탐색성과에 관한 분석-국립중앙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

  • 장혜란;석경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2권
    • /
    • pp.139-169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arch pattern and search outcome of the National Central Library OPAC users by measuring their success rates and identifying the factors of failure and the personal background which bring about the differences of the search outcome. Various methods have been used for the study. Personal interview was used to find the pattern of the search, observation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the search process and the failure factors, and a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personal background of searchers.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of 7 days from April 17, 1995 through April 23, 1995. The search of 1, 217 cases, sampling systematically 25% out of the whole us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study.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n regard to the pattern, known-item search(72.6%) was preferred to the subject search(27.4%) and in case of known-item search the access point used were in the order of title, author, title and author. Second, the overall success rate of known-item search was 50.3% and the success rates were in order of author and date, title, and author. The failure factors of known-item search were divided into users factor of 67% and the database factor of 33%, respectively. Third, in case of subject search, its overall success rate was 44.1% and the keyword was the major access point, and the average of precision ratio was very low. Fourth, the analysis of the personal background related to the search outcome h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by sex, the experience of using OPAC, education level, and the frequency of using other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to improve the search outcome : First, the system should be su n.0, pplemented online help function to assist users to overcome the failure during search. Second, user instruction in group or individual should be implemented for the users to understand the system.

  • PDF

스포츠영재들의 자아존중감 문항적합도 (Self-esteem item goodness-of-fit in sports talented children)

  • 김응준;김종규;이남주;이미숙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2권3호
    • /
    • pp.487-494
    • /
    • 2011
  • 본 연구는 글로벌 스포츠리더 양성의 기반이라 할 수 있는 스포츠영재의 심리사회특성을 알아보는데 있어 기본적인 요인인 자아존중감의 문항적합도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한국체육대학교 2010년 체육영재양성사업에 참여하여 체육영재로 선발된 아동 50명에 대해 설문을 실시하고 통계분석 하였다. 조사도구로는 Rosenberg (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총 8문항에 대해 4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정도가 높음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 신뢰도인 크론바 알파는 .785였다. SPSS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문항적합도를 산출하기 위하여 WINSTEPS 3.70 (Linacre, 2010)을 사용하여 피험자신뢰도, 문항신뢰도, 척도수의 적절성, 문항적합도와 문항난이도, 척도의 난이도에 따른 적절성을 산출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른 통계분석 결과 첫째, 자아존중감 피험자 신뢰도는 내-외적합도 1.01~1.03 문항신뢰도는 내-외적합도 1.01~1.01로 적합하였다. 둘째, 척도 범주수의 적절성에서는 단계지수로 판단한 결과 4점척도가 적합하였다. 셋째, 문항적합도와 문항난이도분석에서는 문항 2, 7, 8번 3문항에서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넷째, 척도의 적절성에서는 스포츠영재의 능력분포와 척도자체의 난이도면에서 판단할 때, 2, 7, 8번 문항은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 과학과의 평가 실태 (A Survey on Evaluation in Science Education 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in Korea)

  • 정은영;최원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1호
    • /
    • pp.168-181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초 중 일반계 고등학교 과학과 평가의 실태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0개교, 중학교 40개교, 일반계 고등학교 20개교를 표집하여 설문지를 발송하였고, 초등학교 교사 292명, 중학교 교사 110명, 고등학교 교사 116명, 총 518명의 응답 결과를 얻었다. 설문 조사 결과,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지필평가의 비율이 늘고 수행평가의 비율이 줄어들고 있었다. 그리고 과학과 지필평가에서 서술형 문항의 비율이 선다형 문항에 비해 낮았고, 중 고등학교는 초등학교와 비교할 때 선다형 문항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지필평가에서 지식 영역과 탐구 영역의 출제 비율을 살펴본 결과, 학교급, 성별, 교직 경력과 상관없이 모두 지식 영역이 탐구 영역보다 출제 비율이 더 높았다. 채점 시간을 고려하여 서술형 문항을 제한된 범위에서 실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향은 초등학교보다 중 고등학교에서 더 많이 나타났다. 교사들은 서술형 문항을 개발하여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이해 수준을 파악할 수 있음을 잘 인식하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서술형 문항에 대한 채점 결과를 신뢰하기 어려워서 서술형 문항을 제대로 개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고등학교의 경우 수행평가를 실시 목적에 맞게 실시하는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다양한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평가를 실시 목적에 맞게 실시하는 경우도 있지만, 수행과 관련되어서만 평가하고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해서 수행평가를 형식적으로 실시하는 경우도 있었다. 학교 현장에서 수행평가가 실시 목적에 맞게 실시되고 서술형 평가가 정착되며 탐구 영역의 출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교사 연수, 실험과 평가 지원을 위한 조교 배치 등 행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 PDF

공공도서관 동시 대출 도서의 주제 연관성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Topical Associations of Simultaneously Borrowed Books in Public Libraries)

  • 강우진;정인영;이종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33-55
    • /
    • 2023
  • 공공도서관 대출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용자의 정보 이용행위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이용자가 동시에 대출한 도서들의 주제 분야를 살펴보고, 이들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에 이루어진 대출 도서 984,790권의 한국십진분류기호를 활용하여 같은 날 동일한 이용자에 의해 대출된 도서 목록의 집합인 동시 대출 건수 22,443,699에 대해 ITEM2VEC 기법을 적용하여 분류기호를 벡터로 변환하였다. 다음으로 연관성이 높은 분류기호를 10개씩 추출하였으며, 총 522개의 분류기호를 활용하여 네트워크를 생성하였다. 네트워크에서는 15개 커뮤니티를 식별하였으며, 커뮤니티별 주요 특성을 파악하였다. 15개의 커뮤니티 가운데 두 개 이상의 주류로 구성된 커뮤니티에서는 요목 수준에서 의미 있는 주제적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용자의 도서 이용행위에 기초하여 함께 대출될 가능성이 있는 자료의 주제를 파악한 것으로 도서관 장서 구성 및 배치, 관련 주제 분야 자료 추천, 분류표 개정 등에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분류체계에 관한 인용분석 - 국제서지를 바탕으로 - (A Reference Study on International Literature of Classification Systems During the Period 1981-1990)

  • 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6권
    • /
    • pp.187-212
    • /
    • 1994
  •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literature of classification systems published in the period 1981-1990. The references in the 'Classification Literature' sections of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and the references in these source items were examined.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analyzing each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ormat, subject, language, geographical origin, age, authorship and number of references. The findings from the data analyses show clearly that in the literature of classification systems, I) books were the most frequently cited format; 2)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as the most frequently cited subject; 3) English was the major language; 4) the literature of each classification system was written predominently in English except for Library Bibliographic Classification; 5) the language of each source item was the same as that of the greatest number of references of that source item: 6) the U.S., Germany, India, Russia, and the U.K. were the major geographic origin of publication; 7) there was a very close relationship between country of publication and language: 8) the country of origin of the documents was cited more than any other country except for the U.S.: 9) Price's Index of the literature revealed that the literature was a soft science and the half-life of the literature was about 7.5 years; 10) there was a preponderance of single authorships; 11) the literature was not a scholarly or scientific literature, according to the average number of references in source items and the percentage of unreferenced items. The findings of this reference study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fication systems literature. They prove useful for the collection development and assist classification systems researchers to prepare linguistically for their careers and encourag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efforts.

  • PDF

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준거지향적 수행평가 문항의 개발과 평가 -고등학교 과학 "생식"과 "생물 농축" 단원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riterion-Referenced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Based on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Subject Unit of Reproduction and Biological Accumulation-)

  • 정영란;박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19-531
    • /
    • 2004
  • 최근 제7차 교육과정이 실시되면서 준거 지향적인 수행평가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평가의 절대적인 기준을 마련할 필요성 또한 절실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고등학교 과학 중 '생식' 단원과 '생물 농축' 단원에 대해서 필수 학습 요소, 성취 기준, 평가 기준 및 평가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발한 평가 문항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과학의 7종 교과서를 바탕으로 하여, '생식' 과 '생물 농축' 단원의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하고, 준거 지향 평가의 기초가 되는 객관적이고 타당한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을 마련하였다. 추출된 필수 학습 요소는 '생식' 단원에서 12개, '생물 농축' 단원에서 4개이었으며, 개발된 성취 기준은 '생식' 단원에서 총 26개, '생물 농축' 단원에서 총 9개로 각각은 지식(K), 탐구(P), 태도(A)의 세 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이상과 같이 개발된 성취 기준을 바탕으로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 기준의 수는 '생식' 단원에서 총 25개, '생물 농축' 단원에서 9개였다.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에 따라 '생식' 단원과 '생물 농축' 단원에서 개발된 평가 문항의 수는 서술형 문항 17개, 논술형 문항이 13개, 포트폴리오가 2개로 총 22문항이었다. 각 평가 문항은 구체적인 채점 기준을 제시하였으므로, 교육과정에 근거한 객관적인 평가에 사용될 수 있다. 개발된 평가 문항 중, 서술형 문항 8개를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적용 분석하였다. 서술형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을 두 가지 검사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는데, 평가 문항의 기본적인 양호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서술형 문항들은 난이도와 변별도 면에서 전반적으로 적절한 지수를 보여 수행 평가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문항들이었다. 개발한 서술형 수행 평가 문항들은 미리 개발된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하였으므로 교수 학습의 목표와 내용에도 적합하였다. 고전 검사 이론과 다분 문항 반응 이론에 의해 분석된 문항의 변별도에는 언어적인 해석의 차이가 없었으나, 문항 난이도의 경우는 고전 검사 이론을 사용하였을 때 집단의 특성이 많이 나타나 다분 문항 반응 이론을 사용한 결과와 비교하여 해석의 차이가 다양하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