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of prescriptions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6초

한방의료기관 환자진료부에 의한 암환자 현황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cancer patients based on charts of Oriental Medicine institutions)

  • 조경숙;신현규
    • 대한한방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9-46
    • /
    • 2003
  • Objectives : The former study of Oriental Medicine on cancer has been mostly focused on lab studies with herbal medicine. Among this atmosphe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uitability of Oriental Medicine institutions to participate in cancer registry programme in R.O.K by investigating the type of treatments used for cancer patients in Oriental Medicine institutes. Methods :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cancer patients who visited Oriental Medicine institutes, a survey was done based on clinical charts of 258 patients of cancer. Results : The order for the percentage of the original tumor organ of the patients, the number of patients who recognized the outbreak on the year of the first visit was the biggest, and the number gradually decreased while the years passed. For the type of treatment, herbal medicine was the most for 92.6%, acupuncture 52.6%, moxibustion 16.7%, cupping 14.7%. It can be seen that multiple treatment was preferred to single treatment. Among the periods for herbal medication, 10 days was the most for 34.1%, 29.8% for within 50 days and 10.5% for within 100 days. The percentage of patients who took treatment of western medicine at the same time and those who took treatment of Oriental medicine only was 47.4% and 43.8% respectively. By surveying categories such as the symptoms, diagnosis of syndrome, principle of treatment from the chart by a free description, there was 841 names of symptoms, 207 diagnoses of syndromes and 206 principles of treatment. But no relation or connection between these could be found statistically. At there were even occasions which the doctor didn't record the cancer itself, precise investigatio for the actual condition of cancer patients in Oriental Medicine institutions appeared to be very difficult. Conclusions : It seems impossible to enroll cancer patients of Oriental Medicine institutions to the cancer registry programme in R.O.K as far as the patients are recorded only under the paradigm of Oriental Medicine. However, if the Oriental Medicine doctors keep a consistency in classifying categories such as cause of death, syndrome diagnosis, principle of treatment and prescriptions, and limit the choices, for each category, a pilot study for cancer registry programme in R.O.K. in Oriental Medicine could be carried out.

  • PDF

Management of asymptomatic to mild COVID-19 patients with Cheongpebaedok-tang on the telemedical basi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case series

  • Sung-Woo Kang;Kwan-Il Kim;Mideok Song;Jinhwan Roh;Namhun Cho;Heung Ko;Sung-Se Son;Minjeong Jeong;Jun-Yong Choi;Ojin Kwon;Seojung Ha;Hee-Jae Jung;Beom-Joon Lee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1-58
    • /
    • 2023
  • Objectives: Thi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Cheongpebaedok-tang, a traditional Korean herbal medicine, provided via telemedicine to patients with asymptomatic to mild COVID-19 in Korea. Methods: From February to April 2020, a retrospective analysis investigated COVID-19 patients treated via Korean telemedicine. The study involved asymptomatic to mild cases receiving Cheongpebaedok-tang more than three times, along with continuous Korean medicine care in convalescence. Diagnoses and treatment adhered to the telemedicine guidelines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with varied Cheongpebaedok-tang prescriptions based on symptom severity. Symptom evaluation involved a detailed assessment using a 15-item tool at initial and final sessions. Results: The study included 27 patients, with a mean age of 48.7 ± 2.3 years (mean ± standard error). Patients began self-administering oral Cheongpebaedok-tang for an average of 19.4 ± 1.8 days after the date of COVID-19 diagnosis confirmation and continued the medication for 15.8 ± 1.2 days. The reported side effects of the Cheongpebaedok-tang included palpitations (11.1%), insomnia (7.4%), dizziness (3.7%), and diarrhea (3.7%). All side effects disappeared after adjusting the prescription according to standard treatment guidelines. The occurrence of all COVID-19-related adverse symptoms, except fatigue and myalgia, decreased. Fatigue was the most common chronic symptom persisting after 6 months (51.9%), followed by ocular symptoms (37.0%) and sore throat (22.2%). Conclusions: This study implies Cheongpebaedok-tang may offer a potentially safe, symptom-alleviating approach for managing mild COVID-19 cases via telemedicine, although further comprehensive research is warranted.

실측(實測)에 의한 『방약합편(方藥合編)』 환제(丸劑)의 복용량에 관한 연구 (Measuring a Dosage of Pills Type Medicine in Bangyakhappyun)

  • 안동선;박용수;이동혁;박진형;남빛누리;김윤경;이장천;이부균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7-85
    • /
    • 2014
  • Objectives : To determine a dose of medicine precisely and conveniently, this study was tried to specify the weight of Bangyakhappyun pills by measuring in terms of grams. Methods : 1. Selected typical prescriptions in order of size and formula written down in Bangyakhappyun. 2. Pulverized each medicine in prescription and weighed one Bangchonbi(方寸匕). 3. Weighed the 10 seeds of Firmiana simplex sized one(梧子大) which were mixed with auxiliary materials such as water, honey, starch paste, etc. 4. The dosages of other type forms were measured based on the weigh of 10 seeds of Firmiana simplex sized one(梧子大). Results : 1. A well-used size of pills is Firmiana simplex sized one(梧子大) 2. Honey and starch paste are typical auxiliary materials for formulating pills. 3. A weigh of starch paste based 10 seeds of Firmiana simplex sized one(梧子大) ranged between 1.09g and 2.55g. 4. A weigh of honey based 10 seeds of Firmiana simplex sized one(梧子大) ranged between 1.18g and 2.77g. Conclusions : A dosage of each prescription can be calculated in terms of grams. 1. In case of Firminia simplex sized one(梧子大) with paste, a daily dose is 5.28g to 17.8g. 2. In case of Firminia simplex sized one(梧子大) with honey, a daily dose is 11.8g to 17.3g. 3. The dosage of pills with toxic herb and mineral medicinal material for baby is the least amount of 0.017g. 4. The dosage of most tonifying medicinals are over 10g. Table 3. shows more details.

익국환과 익국보화환의 실험적(實驗的) 간경변(肝硬變)에 대(對)한 효과(效果) (Effects of Ikgukwhan and Ikgukbowhawhan on the Production of Collagen and the Regeneration of Liver Cells Damaged by Bile Duct Ligation and Dimethylnitrosamine)

  • 배철호;김성환;김강산;강병기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9-139
    • /
    • 1998
  • 간경변(肝硬變)은 각종(各種) 만성미만성간염(慢性彌滿性肝炎)이나 광범위(廣範圍)한 간장실질(肝臟實質)의 손상(損傷)이 계속적(繼續的)으로 발전(發展)하여 이루어진 결과(結果)이다. 주(主)된 병리적(病理的) 특징(特徵)은 간세포(肝細胞)의 변성(變成), 괴사(壞死) 후(後)에 나타나는 섬유조직(纖維組織)의 증식(增殖), 간세포(肝細胞)의 결절상(結節狀) 재생(再生), 가소엽(假小葉)의 형성(形成) 등(等)으로서, 이들 세가지의 변화(變化)가 뒤섞여 진행(進行) 되는 가운데, 간내(肝內) 혈관망(血管網)이 감소(減少)하거나 혈관망(血管網)에 이상(異狀) 함몰(陷沒)이 발생(發生)하는 것이다. 주(主)된 임상표현(臨床表現)은 간기능감퇴(肝機能減退)와 문맥압(門脈壓) 상승(上升)으로 인(因)한 비종대(脾腫大), 복수(腹水), 복벽정맥(腹壁靜脈)의 노장(怒張), 식도(食道)와 위저정맥(胃底靜脈)의 노장파열(怒張破裂), 간성혼수(肝性昏睡) 등(等)이 나타난다. 한의학(韓醫學)의 범주(範疇)로는 '적취(積聚), 징가, 황달(黃疸), 고창(鼓脹), 협통(脇痛), 단복창(單腹脹), 비괴' 등(等)에 해당(該當)되는 것으로 습열(濕熱)이 구울(久鬱)함에 따라 간(肝), 비(脾)가 손상(損傷)되고 이것이 더욱 오래되어 기체혈어(氣滯血瘀)로 발전(發展)하게 되는 병리변화(病理變化)를 갖는다. 이에 담도결찰(膽道結紮) 및 dimethylnitrosamine의 복강투여(腹腔投與)로 간경화(肝硬化)를 유발(誘發)하고, 울증(鬱證)에 다용하는 익국환과 익국보화환이 이러한 병증(病症)에 간기능보호작용(肝機能保護作用)이 있는가를 관찰(觀察)하고, 한의학적(韓醫學的) 병증(病症)의 분류(分類)에 따라 간질환(肝疾患)에 대(對)한 치료(治療)의 가능성(可能性)을 알아보고자 본(本)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유의성(有意性) 있는 결과(結果)를 얻었기에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 PDF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과 건강부자탕(乾薑附子湯)의 Cold Stress로 유발된 생쥐의 혈중(血中) 호르몬 농도변화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f Hwangnyeonhaedok-tang and Geongangbuja-tang on the Plasma Hormones Level in Mice Exposed to Cold Stress)

  • 한상용;강한주;최은식;이기남;이태희;김윤경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4-157
    • /
    • 2013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Hwangnyeonhaedok-tang (HH) and Geongangbuja-tang (GB) on the plasma hormone level in mice exposed to cold stress. HH and GB are the representative prescriptions of cold and hot property, respectively. Methods : We established cold condition by confining ICR mice to a $4^{\circ}C$ cage for 24 hours, ICR mice were given a HH (100, 300, 1000 mg/kg) or GB (100, 300, 1000 mg/kg) extract orally twice a day for three consecutive days. From the second day, they were given cold stress ($4^{\circ}C$) for twenty four hours. To measure the plasma corticosterone, insulin, thyroxine, epinephrine and norepinephrine levels of mice, their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cardiac puncture, immediately centrifuged at $4^{\circ}C$. The protein level of HSP70 and JNK was examined using western blot analysis in cortex and hypothalamus. Results : Oral administration of GB more significantly reduced plasma corticosterone level raised by cold stress than HH. Gardeniae Fructus (CJ), the constituent of HH,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hyroxine level. West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cold stress-induced Heat shock protein 70 (HSP70) expression was increased by HH and GB, HH decreased JNK expression and GB increased JNK expression dose-depently in hypothalamus. Scutellariae Radix (HG), Zingiberis Rhizoma (GG) and Aconiti Tuber (BJ) decreased HSP70 in hypothalamus and GG, BJ decreased HSP70 in cortex as well.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Geongangbuja-tang (GB) is more effective for ameliorating the stress response caused by cold stress.

초음파검사에 대한 방사선사 업무범위의 법적 고찰 (A Scope of Work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for Ultrasound Examinations)

  • 임창선;진계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481-490
    • /
    • 2021
  • 한국에 초음파사 자격제도는 없다. 그러나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에 방사선사가 초음파 진단기를 취급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방사선사가 초음파검사를 시행하는데 허용되는 업무 범위와 한계에 대하여 논란이 있다. 이에 한국 보건복지부의 유권해석과 행정심판 재결, 법원의 판결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유권해석에서는 방사선사가 초음파영상검사를 수행할 때 의사가 방사선사의 촬영영상을 동시에 보면서 실시간으로 진단과 구체적인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다면, 물리적으로 동일한 공간에 있어야 한다는 의미로서 입회 또는 기타 의료기술을 활용한 "의사의 실시간 지도하에 방사선사의 초음파검사 및 촬영"은 가능하며, 이 경우 의사의 지도는 방사선사와 1:1로 이루어져야만 한다'고 풀이하고 있다. 행정심판에서는 초음파 관련 장비의 취급은 방사선사의 업무라고 재결하였다. 법원에서는 의사의 구체적인 지휘·감독 없이 방사선사가 단독으로 초음파검사를 시행하고, 방사선사가 초음파검사에 대하여 의학적 판단을 하는 것은 위법이라고 판결하였다. 그러나 미국, 캐나다, 호주, 일본 등에서는 초음파사(sonographer, 超音波検査士)가 의사의 처방에 따라 독자적으로 환자에 대한 초음파검사를 하고, 그 결과에 대한 예비소견을 작성하여 의사에게 전달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에서도 미국 등과 같이 초음파검사를 시행하는 방사선사가 실시간 지도를 받지 않고 의사의 처방에 따라 초음파검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고려 시대 인삼과 의약서에 대한 기록 (Records on Ginseng and Medical Book during the Goryeo Dynasty)

  • 이성동
    • 인삼문화
    • /
    • 제5권
    • /
    • pp.21-31
    • /
    • 2023
  • 우리나라의 특산품인 고려인삼은 삼국시대 이래 가장 중요한 수출품 중 하나였다. 그러나 고려 시대까지 우리 역사에서 인삼에 관한 기록은 그리 많지 않다. 본 고에서는 고려 시대의 인삼에 관한 국제 수교 및 교역 기록과 당시 출판된 것으로 알려진 의약서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주변 국가인 발해, 송, 왜, 후진, 원나라와 외교적 예물로 또는 교역품으로 인삼이 활발하게 거래되었다. 주로 고려에서 주변 국가로 인삼이 수출되었지만 발해와 거란으로부터는 인삼을 외교적 예물로 받기도 하였다. 아라비아 상인은 고려의 대표적 국제무역항이었던 벽란항에 와서 인삼을 교역하였다. 몽골 침입 이후 원나라의 인삼 요구량이 지나치게 많아서 큰 사회적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제중입효방』, 『어의촬요방』, 『향약고방』, 『삼화자향약방』, 『향약혜민경험방』, 『향약구급방』, 『비예백요방』 등 여러 의약서가 출판되었다. 『향약구급방』은 조선시대에 중간된 것이 전해지고 있으나 나머지 책들의 원본은 현재 전해지지 않고 있다. 최근 후대의 여러 의약서에 인용된 것들을 연구하여 그 일부가 복원되기도 하였다. 궁중에서 사용되었던 의약서에는 인삼을 포함한 처방의 비중이 높았던 반면 주로 평민을 위한 『향약구급방』에는 인삼 처방이 한 건도 수재(收載) 되지 않았다. 이는 당시 인삼이 매우 귀하고 고가이어서 평민이 접하기는 어려웠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한의 체중 조절 프로그램에 참여한 과체중, 비만 환자에서의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한 체중 감량 예측 연구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to Predict Weight Loss in Overweight, and Obese Patients on Korean Medicine Weight Management Program)

  • 김은주;박영배;최가혜;임영우;옥지명;노은영;송태민;강지훈;이향숙;김서영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58-79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weight loss by applying machine learning using real-world clinical data from overweight and obese adults on weight loss program in 4 Korean Medicine obesity clinics. Methods: From January, 2017 to May, 2019, we collected data from overweight and obese adults (BMI≥23 kg/m2) who registered for a 3-month Gamitaeeumjowi-tang prescription program. Predictive analysis was conducted at the time of three prescriptions, and the expected reduced rate and reduced weight at the next order of prescription were predicted as binary classification (classification benchmark: highest quartile, median, lowest quartile). For the median, further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using the variable selection method. The data set for each analysis was 25,988 in the first, 6,304 in the second, and 833 in the third. 5-fold cross validation was used to prevent overfitting. Results: Prediction accuracy was increased from 1st to 2nd and 3rd analysis. After selecting the variables based on the median, artificial neural network showed the highest accuracy in 1st (54.69%), 2nd (73.52%), and 3rd (81.88%) prediction analysis based on reduced rate. The prediction performance was additionally confirmed through AUC, Random Forest showed the highest in 1st (0.640), 2nd (0.816), and 3rd (0.939) prediction analysis based on reduced weight. Conclusions: The prediction of weight loss by applying machine learning showed that the accuracy was improved by using the initial weight loss informatio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can be used to screen patients who need intensive intervention when expected weight loss is low.

대학생의 모바일 헬스 기반 대사증후군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용자 요구 분석 (Analysis of users' needs for developing mobile health based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metabolic syndrome in college students)

  • 강민아;이수경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429-442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사증후군 인지 및 건강행위 실천 증진을 위한 모바일 헬스 기반의 대사증후군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사용자의 요구도와 선호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D광역시 소재 2개의 간호대학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sion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chi-square test를 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는 건강 앱에서 사용자에게 맞는 처방과 정확한 측정을 원하였고, 건강관리를 하는 사람들과 의견, 정보교환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알맞은 운동법에 대한 콘텐츠 선호도가 가장 높았고 게임화 요소 선호도는 목표, 보상, 경쟁 순이었다. 웨어러블 기기의 적정 가격은 1~5만원이 가장 많았고, 대상자들은 '칼로리 소모량 확인' 기능을 선호하였다. 웨어러블 기기 및 앱 사용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대사증후군 지식정도 점수가 높았으나, 집단에 따른 유의한 점수 차이는 없었다. 생활습관 관련 건강행위에 있어서는 웨어러블 기기 및 앱을 사용한 경험이 없는 대상자 집단의 건강행위 점수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초기의 대상자를 위한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효과적인 모바일 헬스 기반의 대사증후군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콘텐츠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는 모바일 헬스 기반의 예방 및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향후 웨어러블 기기 사용경험이 있는 대상자를 충분히 모집하여 사용자 유형별 수요와 특성에 대한 보다 풍부하고 구체적인 후속연구와 사용자 유형에 따라 차별화된 모바일 헬스 기반의 대사증후군 예방 및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

홍삼 및 생약재의 가공방법에 따른 항산화활성 특성 및 향미 효과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Flavor Effect According to Processing Method of Red ginseng and Herbal Medicine)

  • 김현경;김호태;이필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007-101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인삼 및 생약류의 전통적 건조 가공방법 대비 증숙 가열건조 과정을 거쳐 홍삼화로 기능성 성분 함량 및 활성 증대로 홍삼 및 생약류에 다량 함유된 polyphenols 및 flavonoids 등 기능성 물질이 항산화활성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및 향미 효과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사전 열처리 과정을 추가하는 것에 의해 DPPH 라디컬 소거능, polyphenols 및 flavonoids 등 항산화성이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또한 수삼을 증숙 가열건조 홍삼 제조과정 중에 amino-carbonyl 갈색화 반응이 촉진되어 갈색도가 증가되고 구수한 향미를 갖게 되었다. 그러나 홍삼에 함유된 주효 약효성분인 ginsenosides의 함량은 쓰고 텁텁한 맛의 주된 요인이 되었다. 또한 홍삼의 로스팅 처리 후 분말 제조로 쓰고 텁텁한 맛이 상당히 개선되었으나 한편 한방에서 십전대보탕 및 사물탕 등 자양강장 처방에 주요 약재로 사용되는 당귀, 천궁, 작약은 생약 특이의 향미가 매우 강하고 쓰고 텁텁한 맛이 매우 강하여 즉석 추출용 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조과정에서 증숙가열 제조방법이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