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cords on Ginseng and Medical Book during the Goryeo Dynasty

고려 시대 인삼과 의약서에 대한 기록

  • Sungdong Lee (College of Health Science, Department of Food & Nutrition, Korea University)
  • 이성동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 Received : 2022.10.11
  • Accepted : 2023.01.15
  • Published : 2023.03.02

Abstract

Korean ginseng, a special product of Korea,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exports since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However, not many records were kept about ginseng in Korea until the Goryeo Dynasty. This paper summarizes the records relating to international diplomatic relations and trade of ginseng in the Goryeo Dynasty and the medicinal books known to have been published at the time. During the Goryeo Dynasty, ginseng was actively transported to the neighboring countries of Bohai, Song, Wa, Later Jin, and Yuan as a diplomatic gift or as a trade item. Ginseng was mainly exported from Goryeo to these countries, but it was also received as a diplomatic gift from Bohai and Khitan. Arabian merchants came to Byeokran Port, a representative international trading port of Goryeo, and traded ginseng. After the Mongol invasion, the demand for ginseng in the Yuan Dynasty was excessive, which became a big social problem. During the Goryeo Dynasty, several medicinal books were published, including Jejungiphyobang, Eouuichwalyobang, Hyangyakgobang, Samhwajahyangyakbang, Hyangyak Hyemin Gyeongheombang, Hyangyak Gugeupbang, and Biyebaekyobang. Hyangyak Gugeupbang, which was reprin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has been handed down to the present time, although this has not been the case for the originals of the remaining books. Recently, some of the latter books have been restored through the study of the references in various medicinal books of later generations. While the medicinal books used in the royal court showed that a high proportion of the prescriptions containing ginseng, not a single prescription for ginseng has been found in theHyangyak Gugeupbang, which was mainly used for commoners. This is thought to be because ginseng was very rare and expensive at the time, so it was difficult for commoners to access it.

우리나라의 특산품인 고려인삼은 삼국시대 이래 가장 중요한 수출품 중 하나였다. 그러나 고려 시대까지 우리 역사에서 인삼에 관한 기록은 그리 많지 않다. 본 고에서는 고려 시대의 인삼에 관한 국제 수교 및 교역 기록과 당시 출판된 것으로 알려진 의약서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주변 국가인 발해, 송, 왜, 후진, 원나라와 외교적 예물로 또는 교역품으로 인삼이 활발하게 거래되었다. 주로 고려에서 주변 국가로 인삼이 수출되었지만 발해와 거란으로부터는 인삼을 외교적 예물로 받기도 하였다. 아라비아 상인은 고려의 대표적 국제무역항이었던 벽란항에 와서 인삼을 교역하였다. 몽골 침입 이후 원나라의 인삼 요구량이 지나치게 많아서 큰 사회적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제중입효방』, 『어의촬요방』, 『향약고방』, 『삼화자향약방』, 『향약혜민경험방』, 『향약구급방』, 『비예백요방』 등 여러 의약서가 출판되었다. 『향약구급방』은 조선시대에 중간된 것이 전해지고 있으나 나머지 책들의 원본은 현재 전해지지 않고 있다. 최근 후대의 여러 의약서에 인용된 것들을 연구하여 그 일부가 복원되기도 하였다. 궁중에서 사용되었던 의약서에는 인삼을 포함한 처방의 비중이 높았던 반면 주로 평민을 위한 『향약구급방』에는 인삼 처방이 한 건도 수재(收載) 되지 않았다. 이는 당시 인삼이 매우 귀하고 고가이어서 평민이 접하기는 어려웠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고려인삼학회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졌음.

References

  1. 강화혈구연구회. 「고려시대 생활사」 (디자인센터 산, 2017).
  2. 남도영. 「국사정설」 (동아출판사, 1964).
  3. 신서원 편집부, 「북역 고려사」 (도서출판 신서원, 1997).
  4. 안상우, 최환수. 「어의촬요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 2000).
  5. 이경록. 「고려시대 의료의 형성과 발전」 (혜안, 2010).
  6. 이성우. 「한국식경대전」 (향문사, 1981)
  7. 장일무. 「한국인삼산업사」 (정관장문고, 2018)
  8. 한국인삼사편찬위원회. 「한국인삼사」 (삼화인쇄주식회사, 1980)
  9. 한국인삼사편찬위원회. 「한국인삼사」 (동일문화사, 2002)
  10. 김진희, 안상우. 「삼화자향약방의 복원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 논문집」, 15 (한국한의학연구원, 2009).
  11. 안상우. 「고려의서 비예백요방의 고증」, 「서지학연구」 22 (2001),
  12. 이경록. 「고려후기 의학지식의 계보-비예백요방과 삼화자향약방의 선후관계 재론」, 「동방학회지」 166권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
  13. 이덕호, 김홍균, 안상우. 「제중입효방에 관한 의사학적 고찰-교효산을 중심으로-」, 「한국의사학회지」 제21권 (한국의사학회,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