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curriculum analysis

검색결과 1,401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의 과학 교육 연구 내용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Science Education in Korea)

  • 김영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9-145
    • /
    • 1985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science education in Korea. In this study the analysis for of trends of researches on science education, nine areas such as historical change of science Education, Processes of science learning science curriculum, science instruction,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equipment for science education, valuation on science education, survey on Korean science education, policy and management of science education, and natural science, were chosen for the analysir. All science education. thesis and dissertations in Korea, papers of science education published by the science center of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e papers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s Search in science Education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eventy percentile of science educational thesis and dissertations are on natural science areas. 2. About 14% of all papers being sampled is in science curriculum research category. There are few research studies on historical changes of science education,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equipments for science education.

  • PDF

남.북한 초등학교 자연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 최돈형;이양락;김재영;노석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3-60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남 북한의 초등학교 자연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여 교육 목표, 내용, 교수방법상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추출함으로써 통일을 대비한 초등학교 자연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남 북한의 교육과정 운영 방식과 문서 체제, 교과 편체, 자연과 교육 목표와 학습 영역의 계열성, 교육에서 강조점, 교수 학습 및 평가 방법을 분석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 개발 및 보급 체제, 교과서의 외형적 체제 및 내용 조직 방식, 내용 요소별 구성 비율, 내용의 범위와 수준, 용어 등을 분석, 비교하였다. 자연과 교육 내용의 분석틀로는 TIMSS 틀을 이용하였으며, 분석 대상 교과서는 남한의 '슬기로운 생활' 4권, '자연'8권, 그리고 북한의 인민학교 3학년 및 저학년용 '자연' 교과서 2권이다. 이 연구 결과 남 북한 초등학교 자연과의 교육 목표, 내용 및 교육 방법, 용어 등에서 많은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이 연구는 매우 제한된 문서에 터해 이루어진 것으로, 북한의 실상을 파악하기 위한 보다 광범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통일을 대비한 과학 교육 정책, 교육과정 시안 및 교과서 개발 등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PDF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중학교 정보 교과서의 비교 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iddle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Based on 2009 Revised Curriculum)

  • 강오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065-1073
    • /
    • 2016
  • In this paper, we examined informatics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accordance with 2009 revised curriculum through conducting both content analysis and surveys. The content analysis was analyzed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extbooks. Survey questionnaires were based on the authorization criteria and selection standards of informatics textbooks. The content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discrepancies among textbooks in areas such as the total number of pages, related material, the number of core concepts introduced in each chapter, and the application of software.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wo sections - 'Expression and Modification' and 'Text' exhibited the most positive results, and the 'Creativity' section the least. Using the findings above, we present alternative ways to improve qualities of these textbooks.

Effects of medical communication curriculum on perceptions of Korean medical school students

  • Yoo, Hyo Hyun;Shin, Sein;Lee, Jun-Ki
    •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 /
    • 제30권4호
    • /
    • pp.317-326
    • /
    • 2018
  • Purpose: The study examines changes in students' self-assessment of their general communication (GC) and medical communication (MC) competencies, as well as perceptions of MC concepts.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108 second year medical students enrolled at a Korean medical school studying an MC curriculum. It wa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and participant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completing each section. To assess perceived GC and MC competency, items based on a 7-point Likert scale were employed; a single open-ended item was used to examine students' perceptions of MC.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gauge GC and MC competency, whereas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s of MC. Results: Students perceived their GC competency to be higher than MC. Perceived MC competency differed significantly across the three sections, whereas no differences were found for GC.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fter completing the curriculum's second and third sections; however, the vocabulary students used to describe MC concepts became more scholarly and professional. In the semantic networks, the link structure between MC-related words decreased in linearity and looseness, becoming more complex and clustered. The words 'information' and 'transfer' proved integral to students' perceptions; likewise, 'empathy' and 'communication' became closely connected in a single community from two independent communities. Conclusion: This study differed from prior research by conducting an in-depth analysis of changes in students' perceptions of MC, and its findings can be used to guide curriculum development.

2007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과서의 시각 이미지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 날씨의 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The Linguistic Analysis of Visual Image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y 2007 Curriculum Revision: Focused on the Changes of the Weather)

  • 이정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4호
    • /
    • pp.482-489
    • /
    • 2011
  • This study analyzed the visual images covering 'the changes of weather'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y 2007 curriculum revision from a perspective of linguistic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ere inclined to increasing in terms of ideational and textual metafunctions. It meant that the informative images were increased and the form of images became more abstractive. It also showed an increase in terms of interpersonal metafunctions. It was interpreted as decreasing the ratios of images inducing epistemological detachments and increasing images help familiarity and involvement between images and reader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visual images of 'the changes of weather' in 2007 revised elementary science textbook were professionally, technical, and abstractive in terms of the contents and formality. And these trends of images were complemented by the involvement and familiarity of images in the aspect of interpersonal metafunctions.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화학교육과정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High School Chemistry Curriculum in Korea and Japan)

  • 공영태;임재항;문성배;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66-76
    • /
    • 2004
  •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화학교육과정을 구성체제, 목표, 내용, 교수${\cdot}$학습방법 및 평가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양국의 화학교육과정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들을 구분하였다. 또한 선택취지를 살린 교육과정 편성과 안내 기능의 충실, 탄력적인 학습지도의 운영, 개인에 따른 지도의 충실, 학습내용의 엄선과 기초기본의 충실, 교육과정도입에 있어서 완충기간의 설정 등과 같이 한국의 교육과정연구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최근 천문학 연구 키워드와 천체 분야 교육과정 내용 요소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Keywords in Astronomical Journals and Concepts in Secondary School Astronomy Curriculum)

  • 신현정;권우진;가석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89-309
    • /
    • 2022
  • 힉스입자 발견, 블랙홀 이미지 촬영, 외계행성 탐사, 깊은 우주탐사, 중력파 관측 등 최근 천문학은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학생들도 상대적으로 흥미가 높은 분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간 천문학 연구 저널에서 높은 빈도로 등장한 키워드들과 중고등학교 과학 교육과정에 포함된 천문학 내용 요소를 7개 영역별로 비교하여 천문학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우선 선정된 4개 저널-ApJ, ApJL, A&A, MNRAS-에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모든 논문의 키워드를 R 패키지로 수집하여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교육과정 내용 요소는 7학년부터 12학년 학생이 배우는 과목 중 천문학 내용 요소가 포함된 6개 과목(과학, 통합과학, 지구과학I, 지구과학II, 물리II, 융합과학)의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내용 체계표, 성취기준, 성취기준해설을 현직 교사들이 코딩한 결과를 종합하여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천문학에서 꾸준하게 많이 등장하는 키워드는 'galaxies: formation, galaxies: active, star: formation, accretion, accretion discs, method: numerical'이다. 둘째, 천문학 교육과정은 모든 학생이 배우는 공통 과학 과목 안에서 'High Energy Astrophysical Phenomena'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었으나 키워드 수준에서 보면 과목별, 학년별 내용 요소 배치와 새롭게 도입할 만한 주제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과목의 근간을 이루는 과학연구 분야와 교육과정을 비교한 탐색적 연구로서, 연구 결과는 향후 천문학 교육과정 개정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기초 연구가 되길 기대한다.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방사선사 직무분석 (Job Analysis for Curriculum Improvement of Radiologic technologist)

  • 이윤희;박재현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4권3호
    • /
    • pp.221-22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방사선사의 직무를 분석하고, 현재의 방사선(학)과의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방사선사 교육과정 개선과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데이컴(DACUM: Development A Curriculum) 방법으로 방사선사의 직무를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방사선사의 직업은 직무(duty) 8개, 수행 작업(task)이 59개로 구성되었다. 중요도가 가장 높다고 인식한 임무는 '피폭관리(M=4.72)', 난이도가 가장 높다고 인식한 임무는 '방사선 치료(M=4.29)'였으며, 수행 빈도가 가장 높은 임무는 '방사선 검사(M=4.19)'였다. 직무분석 결과와 교육과정을 비교한 결과 첫째, '환자간호' 직무가 방사선사의 주요한 직무로 분석되었으나 환자간호 직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내용을 학습할 수 있는 교과목이 교육과정에 있는 학교는 전체 7개 학교 중 4곳(57.1%) 뿐이었다. 둘째, '심전도 검사하기', '체열진단 검사하기', '뇌혈류 초음파 검사하기' 등이 작업으로 분석되었으나 현 교육과정에서는 이런 작업에 대한 실무능력을 교육하는 교과목이 없었고, '비 전리 방사선 검사' 직무에 대한 작업 요소들도 고려되고 있지 않았다. 연구 결과로 학교교육과 실제 수행업무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이론 중심의 대학교육이 현장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실무능력을 갖추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어 직무분석 결과를 반영한 교육과정을 편성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제3차 수학 · 과학 성취도 국제 비교 반복 연구(TIMSS-R) 중 제6차 교육과정상의 화학 문항에 대한 우리 나라 중학생의 응답 분석 (The Analysis of th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Responses to Chemistry Problems Under the 6th National Curriculum in the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Repeat (TIMSS-R))

  • 홍미영;전경문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69-17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1999년에 국제적으로 실시된 제3차 수학${\cdot}$과학 성취도 국제 비교 반복 연구(TIMSS-R)중 우리 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화학 성취도를 분석하였다. 총 143개 문항 가운데 ''물질의 분류'', ''물질의 구조'', ''화학 반응과 변환'', ''물리적 성질과 변화'', ''열과 온도'', ''원자의 구성 입자'', ''오염'', ''과학적 방법'', ''과학적 측정'' 영역에 속하는 31문항을 우리 나라 제 6차 교육과정상의 화학 문항으로 선정하였다. 각 문항에 대한 정답률을 분석하여, 제6차 교육과정의 장단점을 논의하였다.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CS2013에 근거한 국내외 고등학교 정보교육과정 분석 (Analysis of High School Informatics Curriculum Based on Computer Science Curricula 2013)

  • 우호성;김자미;이원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6권8호
    • /
    • pp.411-418
    • /
    • 2017
  • 교육과정은 '무엇을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에 대한 것으로 지식에 대한 수준을 판단 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정보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현 시점에서 SW중심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인재 양성은 국가경쟁력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등 교육과정을 근간으로 고등학교 교육과정 지식의 깊이를 가늠하지 않고, 양적인 측면 논의에 한정하여 비교 분석한다. 연구 결과, 18개 지식 영역 중 '미국'은 15개 영역, '영국'은 10개 영역, '일본'은 7개 영역을 포함하고 있지만, '한국'은 6개 영역으로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4개국 가운데 가장 적은 내용을 가르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한국 정보교육과정의 현 위치를 파악하고, 교육과정 개정 시 지향해야 할 내용과 함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