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career education

검색결과 629건 처리시간 0.024초

일반계 여자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관련 진로선택 및 변화 이해 -과학진로 문화자본 관점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Science-Related Career Choice and it's Change -Focus on the Science Career Cultural Capital Perspective-)

  • 안주영;윤선미;김찬종;최승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9-6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과학진로 문화자본의 관점에서 일반계 고등학생들의 과학관련 진로선택 및 그 변화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목적에 맞게 설문지를 개발하여 일반계 여자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과학관련 진로를 선택한 학생들의 과학진로 문화자본의 요인 및 특징을 알아보았다. 설문 결과 과학관련 진로의 포기, 중간 선택, 유지한 경우에서 각각 4명씩의 참여자를 선별하였고, 1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해 과학진로 문화자본의 각 요인이 학생들의 진로 선택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외재적 자원을 기반으로 가정, 학교, 지역사회라는 구조 안에서 의무 및 상호관계 규범을 통해 내재적 자원을 형성하였다. 이 때 형성된 내재적 자원은 과학관련 진로에 대한 희망 여부를 결정하였다. 초등학교 때는 주로 과학 및 과학관련 직업에 대한 흥미를 중요시 한 반면, 고등학교로 가면서 진로인식, 적성인식, 진로 가치 요인을 함께 고려하여 과학관련 진로를 선택하였다. 과학에 대한 흥미는 교육 활동과 일상 활동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교육 활동의 영향이 증가하였다. 과학관련 직업에 대한 흥미는 초등학교 때는 주로 일상 활동을 통해 형성되며, 고등학교로 가면서 다양한 내재적, 외재적 자원이 영향을 주어 형성되었다. 과학관련 진로를 꾸준히 유지한 학생들은 과학 및 과학관련 직업에 대한 흥미를 바탕으로 외재적 자원을 유입시키면서 흥미를 갖는 과학 분야를 좀 더 세분화하고 과학관련 진로를 구체화하였으며, 다양한 외재적 자원과 상호작용하여 내재적 자원을 강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학생들의 과학관련 진로선택에 있어 과학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학생들의 과학진로 선택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분석 (The Analysis of Causal Relationship among Students' Science-related Career Choice and its Factors)

  • 윤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570-58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과학관련 진로선택과정의 인과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학생들의 과학관련 진로선택과정에 대한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을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개인적 요인, 교육적 요인, 사회적 요인이 과학 진로 희망에 직접 효과를 주고 과학 진로 희망은 과학 진로 선택에 직접 영향을 준다는 연구 가설에 가장 적합한 모형에 의하면, 과학 진로 선택에 과학 진로희망이 0.95의 직접효과를 주며, 개인적 요인이 0.75, 교육적 요인이 0.46, 사회적 요인이 0.11의 간접 효과를 주며 이들 효과가 그대로 총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진로희망에는 개인적 요인이 0.79의 직접효과 및 총 효과를 주며, 교육적 요인이 -0.21의 직접효과와 0.69의 간접효과를 합하여 0.48의 총 효과를 주고, 사회적 요인이 0.12의 직접효과 및 총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육적 요인이 사회적 요인에 0.72, 교육적 요인이 개인적 요인에 0.77의 직접 효과 및 총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중고 학생 및 남학생과 여학생으로 대상을 달리하여 인과 효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학교급별로는 전체 학생들과 경향성이 같고, 각 요인들의 영향 정도만 차이가 있었으나, 성별로는 남녀 학생의 대비가 두드러졌다. 남학생은 사회적 요인의 총 효과가 가장 크고, 그 다음이 개인적 요인, 그 다음이 교육적 요인의 순서로 나타난 데 비해, 여학생은 개인적 요인의 효과가 가장 크고 나머지 두 요인의 효과는 그리 크지 않았으며, 사회적 요인은 음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대상별 분석 결과로부터 각 대상의 과학진로선택과정의 인과관계를 고려한 과학진로교육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들을 논의하였다.

초등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에 관련된 몇 가지 배경 변인 연구 (A Study on Some Background Variables Related to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고한중;최무원;강석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2호
    • /
    • pp.192-200
    • /
    • 2007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participants were 176 freshmen and 260 seniors from an university of education and 234 teachers from 25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Jeonju. Variables concerning pre-service teachers include their sex, career/study tracks (science or non-science), and the number of science courses taken either at high school or at university. Variables concerning in-service teachers include their sex, academic degree, the frequency and type of participation in science in-service training, and their teaching career experience.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was used to measure teachers' self-efficacy belief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scores of senior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freshmen and in-service teachers, whereas the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 scores of senio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reshmen. Among variables investigated, sex, career/study track, the number of science courses taken at high school, and the frequency and type of participation in science in-service training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 PDF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경력개발 경로를 통한 유동성 실태연구 (The Mobility and Career Pathes of Alumni of Whose Major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s in Korea)

  • 안인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33-147
    • /
    • 2010
  • 지식기반 사회의 전개와 함께 전통적인 사서업무의 소멸, 새로운 업무의 생성, 분화, 통합을 거치면서 문헌정보 전공자의 경력개발 분야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이에 대한 연구는 현장에 적합하고, 능력있는 인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각기 특성이 다른 5개 대학 190명의 경력경로를 통하여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직장 이동 분야를 밝혔다. 16개 분야의 186개 직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력수가 많은 분야는 G.문화예술관련직> C.교육 및 연구관련직> A.경영 및 기획관련직> O.전기/전자 및 정보통신관련직과 J.영업 및 판매관련직 순이다. 특히 사서직 이외의 문화 예술직에서 활약 분야는 미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나아가 교육과정 기간 동안 본인이 습득하는 지식과 기술의 중요성이 경력이동에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이므로 문헌정보학 교육이 시대의 미래를 예견하고, 현장에서 요구하는 지식과 기술을 충실하게 반영하여야 한다는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초등과학영재의 정서지능과 성취목표지향성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Career Maturity of the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 임현지;최선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3호
    • /
    • pp.316-32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career maturity for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For this purpose, emotional intelligence tes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easure and career maturity test were used. Sample of the study was consisted of 107 science gifted students and 98 general students in Y City,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cientific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score than general students, whereas general students had highest score in type of avoidance goal orientation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lso, scientific gifted students showed highest score in mastery goal orientation of those.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maturity of scientific gifted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score in almost all the subelements. As a result of conducting a regressio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career maturity of scientific gifted students, job planning and self-understanding of career maturity were impacted by emotional intelligence, whereas independence was low influence by emotional intelligence. Thir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career maturity of scientific gifted students, mastery goal orientation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relationship in almost all the subelements, whereas mastery avoidance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negative correlation. Also, as a result of conducting a regressio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career maturity of scientific gifted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influence on all the subelements of career maturity.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진로탐색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areer Search Programs on Career Search Efficacy, Career Search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Making in Nursing Students)

  • 문인오;김희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93-402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 of a Career Search Program on career search efficacy, career search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making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pre-post test of a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Fifty first grade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 22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8 in the control group. We used a Career Search Program which was held 6 times over 6 weeks, 90 minutes per session. Descriptive statistics, ${\chi}^2$-test, and independent t-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with SPSS 19.0.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career search efficacy (t=2.07, p=.044) and career search behavior(t=2.65, p=.011)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career decision making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t=0.96, p=.342).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Career grade Search Program has an effect on increasing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search behavior in first grade nursing students. In addition, more programs to impact career decision making should be developed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earch Efficacy on Career Search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 문인오;이경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3-91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earch efficacy on nursing students' career search behavior.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544 students by means of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about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search behavior from March 2 to April 5, 2010. Result: The average score of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search behavior was 3.61, 3.37, and 2.39 respectivel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earch behavior, between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search behavior, and between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earch efficacy.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earch efficac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areer search behavior.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search behavior.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이공계 진로동기에 대한 종단분석 (A Longitudinal Study of Science Core School Students' STEM Career Motivation)

  • 신세인;아리프 라흐마툴라흐;하민수;이준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835-849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이공계 진로동기 변화의 양상을 확인하고, 학생들의 이공계 진로동기의 변화양상과 그들의 계열(인문계열, 자연계열, 과학중점계열)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학중점고등학교에 다니는 고등학생 256명으로부터 7개의 구인으로 구성된 이공계 진로동기를 5학기 동안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종단자료를 얻었으며,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집단중심추세모형(Group-based trajectory modeling)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각 구인들의 추세 집단과 계열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카이스퀘어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우선 이공계 진로 교육 경험과 이공계 진로에 대한 가치 인식 구인은 학생 모두가 유사한 추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사회적 지지, 이공계 진로 관련 교과에 대한 자아효능감, 이공계 진로동기 구인의 추세는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의 두 추세집단으로 구별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공계 진로 자아효능감과 이공계 진로 흥미 구인의 추세는 '다소 감소 집단', '대폭 감소 집단', '증가집단'의 세 추세집단으로 구별되어 나타났다. 각 추세집단의 추세양상을 확인한 결과, 대부분의 이공계 진로동기 구인의 수준이 고등학교 2학년 1학기 말 증가했다가 학년이 올라갈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 구인들의 추세 집단은 계열과 모두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인문계열 학생들의 경우 이공계 진로 동기 변화 양상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집단으로 구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이공계 진로교육 환경이 학생들의 다양한 진로변화 양상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남자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병역의무계획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Military Duty Planning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Male Nursing Students)

  • 안민권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3-102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male nursing students in South Kore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5 to June 17, 2018 and a total of 158 male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military duty plan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measur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5.0 for windows.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participants according to entrance motivation and desired career after gradu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65, p<.001), and between military duty plann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45, p<.001). The influential factors f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beta}=.64$, p<.001), and military duty planning (${\beta}=.42$, p<.001). These factors accounted for 42% of the varianc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o impro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male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enhanc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military duty planning.

대학생 과학영재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of Affecting Career Decision Making in the Science-Gifted Undergraduates)

  • 양태연;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921-946
    • /
    • 2010
  •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 과학영재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진로결정의 패턴과 경로를 살펴봄으로써 과학영재의 진로결정 모형을 구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 과학영재들의 진로결정을 부모(부모의 사회적 지지), 학교(대학생활스트레스, 대학생활 적응), 개인특성(문제해결 능력, 진로결정 효능감, 전공선택 확신)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대학생 과학영재의 진로를 위한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2002, 2003년도에 교육을 받은 수료생 93명과, 대통령 과학 장학생에 선정되어 장학금을 받고 있는 국내외 대통령 장학생 264명 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해 사용한 측정도구는 부모의 사회적 지지검사, 문제해결능력 검사, 대학생활 스트레스 검사, 대학생활 적응 검사, 진로결정 효능감 검사, 전공선택 확신 검사이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하여 SPSS Program과 AMOS Program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 과학영재의 진로결정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TLI=.928, CFI=.941, RMSEA=.059로 연구모형이 대학생 과학영재 집단에 수용되는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론적 탐색을 바탕으로 세운 가설이 하나의 경로를 제외하고는 모두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영재들의 진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진로결정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체제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