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career

검색결과 1,207건 처리시간 0.027초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관한 상관성 연구 (Correlation Between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Nursing Students)

  • 김유미;강수찬;권기남;서유진;성승훈;손정림;손현아;신유라;김은희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074-1082
    • /
    • 2018
  •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nursing students, and to examine whether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ffect career maturity. Methods: The data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0 were collected from April 1, 2016 to April 15, 2014 in 184 students at the four-year college of Nursing in J city.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ndicate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maturity (r=.428, p<.001),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R=.442, p<.001) and majors' satisfaction (r=.605, p<.001) either. likewise, career maturity and career matur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maturity and career satisfaction. Conclusio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nhance and improve adaptation to major through conversations in conjunction with counseling and career guidance from the entrance, and maintaining intimate and solid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 and professors, also, the students and senior of whom, leading to intensify positive implication to future career.

이공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과학영재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그릿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in Science & Engineering Fields to Career Outcome Expect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Grit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 최진수;김영민;이영주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28-3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of career education program in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To do this,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129 in H-science gifted high school with K-institute.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after participating in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f student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Second, it has been increased that external factor of career outcome expectation and continuation effort of grit. In this study, it has showed educational effects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s that related to career recognition in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by developing and applying of program.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stomized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수산해양계열 고등학생의 전공만족, 진로탐색 자기효능감 및 진로탐색행동의 구조적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the Relationships among Major Satisfaction,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ith Marin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 허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1306-131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ajor satisfaction,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ith marin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For investigating this topic, 524 students were surveyed from the marine science high schools. In order to find ou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ajor satisfaction,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Followings we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 Major satisfaction effected significantly on the career search efficacy. (b) Career search efficacy effected significantly on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C) There was not significant direct cause and effects from major satisfaction to career exploration behavior, but indirect effect was significant.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or increasing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marin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여성 과학자 역할모델 사례를 활용한 진로교육이 초등학생의 과학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Using Female Scientists Role Models on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Related Career)

  • 이동규;임희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4호
    • /
    • pp.510-521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using female scientists role models on science-related attitude, science career awareness, gender stereotype of science-related career, and image of scientists. Interaction effect with students' gender were also investigat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0 $5^{th}$ grader.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troduced career education using female scientists role models with 7 cases of female scientists in the form of 10 minutes movies or cartoons, while the comparison group performed reading science books. The results showed that science-related attitudes and science career awareness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not only for girls but has for boys. Gender stereotype of science-related career has changed more neutrally in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career education using female scientists role models, more female scientists were presented in students' image of scientist in DAST. This results showed positive effects of the career education using female scientists role model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과학 관련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the Scienc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Choice)

  • 박효정;신영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2호
    • /
    • pp.380-400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application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the science of the elementary school on the career choice. For this study, a total of 32 lessons (4 units) utilizing the career education programs related the science curriculum were developed. The study subjects were 128 students from Y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ncheon. A test with regard to the science related career choice and the science related career choice factors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lessons. For more detailed analysis,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f female and male students; students who hope and do not hope career in science-related fields. As a result of the performance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it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ience related career choice'. And, it also showed all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cience related major/department, education lecture selection'.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the students who do not wish science related jobs in the future also changed their mind on to the science. In addition, all the subcategories of the 'preference for science learning' area such as 'preference for science subject', 'preference for experiment', 'recognition of science subject availability', 'recognition of the impact of teacher'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The 'perception about career related to science'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n the whole.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on the whole in 'participation in science related activities'.

과학 진로와 관련된 초중등 학생들의 인식 조사 (A Survey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Views in Relation to a Career in Science)

  • 윤진;박승재;명전옥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75-690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과학진로교육 프로그램 및 자료를 개발하기 위한 첫 단계의 연구로,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초, 중, 고 학생들의 생각을 조사하는 것이다. 검사도구는 두 차례의 예비조사를 거쳐 연구자가 개발하였고, 연구대상은 지역 규모에 따른 계층별 표집을 한 초등학생 1036명, 중학생 1137명, 고등학생 1435명, 총 3608명이다. 과학에 대한 이미지, 과학선호도, 과학학습선호도, 과학성적에 대한 인식, 본인의 진로 희망, 과학 직업에 대한 희망 정도, 과학 진로에 대한 인식, 과학 관련 진로 선택과 관련된 주요 요인, 과거 및 현재의 과학 관련 진로 희망 여부 및 그 이유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이미지는 '실험활동으로서의 과학'을 가장 많이 지니고 있었고, 과학선호도와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도는 과학성적에 대한 인식보다 긍정적이었다. 과학 관련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들의 비율은 21%였으며, 중학생의 경우가 특히 낮게 나타났다. 과학 진로를 선택할 때의 좋은 점으로는 '나라 발전에 도움되므로',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있으므로', 나쁜 점에 대해서는 '위험하므로', '공부를 많이 해야 하므로' 등을 많이 들었다. 학생들이 과학 관련 진로를 선택하는 이유는 '과학 및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로부터 과학진로교육의 기본적 방향은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도와 흥미를 높이는 것을 바탕으로 과학직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미래 사회에서의 과학관련 직업 전망을 제시해 줄 수 있어야 하며, 대상 학생의 발달 단계와 특성에 맞는 과학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이 더욱 중요하다.

과학 관련 진로 및 진로교육에 대한 초등학생과 교사의 인식 (Elementary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 on Science-Related Career and Career Education)

  • 이현이;임희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1호
    • /
    • pp.50-6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과학과 관련된 진로에 대한 인식과 초등 교사의 과학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196명과 교사 100명이었다. 분석 결과, 28.1%의 학생이 과학 관련 진로를 희망하였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성취도인지 수준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과학 관련 희망 비율이 높았다. 과학 관련 진로를 희망하지 않는 경우 그 이유는 과학에 대해 관심이 없고 과학이 재미없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사회문화적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경우 42%만이 과학 관련 진로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진로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교사들은 과학 관련 진로교육이 크게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이 주된 이유였다.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학생들의 부정적인 인식과 교사의 과학 관련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의 부족은 학생들의 과학 진로 선택 여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파악되며, 학교와 가정에서 이러한 요인들에 대하여 긍정적인 인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이 영재들의 과학진로지향에 주는 영향 분석 (Effects of University-based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on the Science Career Orientation of Gifted)

  • 노현아;최재혁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493-509
    • /
    • 2015
  • 이 연구는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진로지향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 한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학생 7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과학진로지향도 검사를 2014년 영재교육원 프로그램 전, 후에 각각 실시하고 과학진로지향도 사전점수를 변수로 군집 분석하였으며, 프로그램별로 만족도와 학생들의 과학진로결정에 영향을 준 정도를 프로그램 후 설문지를 시행하여 함께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군집은 크게 4개로 구분되었다. 영재교육원 프로그램은 각 군집별로 낮은 점수를 나타내는 하위영역의 상승에 도움이 되었다. 학생들은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았고 과학진로결정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하였고, 각 군집별로 프로그램에 따른 만족도와 과학진로결정에 영향을 주는 프로그램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만족도와 과학진로결정에 영향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 및 진로결정몰입에 대한 인식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Search Behavior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 이경아;김진현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2권1호
    • /
    • pp.42-49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search behavior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397 nursing students in D city from October 1 to October 8, 2014.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search behavior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was 3.42, 3.08 and 3.27 on a Likert 5 point-scale respectivel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search behavio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rade of subjec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search behavior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career support program from 1st grade to improve nursing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search behavior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경호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 진로정체감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 of Security Science Majors' Major Satisfaction,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 염대관;김창호;김우진
    • 시큐리티연구
    • /
    • 제43호
    • /
    • pp.121-145
    • /
    • 2015
  • 본 연구는 경호전공 대학생 중심으로 전공만족, 진로정체감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각 변인들간의 직접효과, 간접효과와 총효과를 확인하여 합리적인 진로탐색과 진로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를 제공해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호전공 대학생 239명의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만족은 진로결정, 진로확신, 진로흥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만족과 일반적 만족은 진로결정과 진로확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인식은 진로흥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결정, 진로확신은 문제해결, 정보수집, 계획설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흥미는 문제해결과 정보수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과만족은 진로결정을 통하여 문제해결과 정보수집에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과만족은 진로확신을 통하여 문제해결과 정보수집에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관계만족은 진로흥미를 통하여 문제해결, 정보수집과 계획설정에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일반적 만족은 진로결정을 통하여 문제해결과 정보수집에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경호학에서의 시사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들을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