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검색결과 1,199건 처리시간 0.029초

초등 수학 교과서에서 문제해결 지도의 개선점과 개선 방향 -Polya의 문제해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roblem-solving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Focusing on Polya's Problem Solving -)

  • 안병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05-425
    • /
    • 2018
  • 학교 수학에서 문제해결력의 신장은 수학교육의 가장 중요한 과제로, 학생들의 사고력과 창의력을 길러 실생활에서 일어나는 문제해결에 도움을 주도록 하는 것이 수학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초등 수학과 목표에 제시한 문제해결 관련 내용을 어떻게 반영하였는지를 조사하고,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각 학년군의 5개 영역별 문제해결의 성취기준과 이를 반영한 수학 교과서의 문제해결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수학과 목표에서 문제해결의 용어 사용은 제1차 교육과정부터이고, 문제해결 교육은 제4차 교육과정에서 시작하였다. 그 후 제6차 교육과정에서 2006 개정 교육과정까지는 활발하다가 지난 교육과정에서는 소홀해졌는데, 현재 교육과정의 초등 수학 문제해결 지도 과정에서 나타난 개선점과 그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의 통계 영역 내용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Contents on Statistic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ccording to 2009 Mathematics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 박영희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3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통계 관련 내용을 알아보고, 수학 교과서에서 교육과정의 규준을 어떻게 구현하였는가를 알아보았다. 세부적으로 학년별 지도 내용과 세부 내용 제시 순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평균이 적절하게 도입되었는지, 학생들이 실생활 자료를 수집하는 활동이 교과서에 어느 정도 제시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을 현행 교과서를 분석하는 한 기준으로 삼아 알아보았다. 특히 Cursio가 제안한 통계그래프의 이해수준에 따라서 교과서의 질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의 통계 영역의 내용 개발에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수학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An Analysis on the Implementation and the Methods of Development of the 7th Differentiated Mathematics Curriculum)

  • 최승현;이대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3호
    • /
    • pp.325-336
    • /
    • 2005
  • Curriculum is very important for the future of nation. So,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curriculum. This study looked into the issues and the problems related with the 7th differentiat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gave the message about the methods of implementation. For this, we analyzed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which consisted in the question about the 7th differentiated mathematics curriculum. 264 high school teachers ar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In special, this study gave not only the problem but also the various concrete methods for management of the 7th differentiated mathematics curriculum. We hope that mathematics education members research and argue about the differentiated mathematics curriculum for next curriculum.

  • PDF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자연수 개념의 지도 내용 분석 (The Analysis on the textbook Contents about the Natural number Concepts in the Korean National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 이명희;황우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9권4호
    • /
    • pp.437-46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textbook contents about the natural number concepts in the Korean National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Understanding a concept of natural number is crucial in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planning, since elementary students start their basic learning with natural number system. The concepts of natural number have various meaning from the perspectives of pedagogical research, and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The natural number concepts in the elementary math curriculum consist of four aspects; counting numbers, cardinal numbers, ordinal numbers, and measuring numbers. Two research questions are addressed; (1) How are the natural number concepts focusing on counting, cardinal, ordinal, measuring numbers are covered in the national math curriculum? ; (2) What suggestions can be made to enhance the teaching and learning about the natural number concepts? Findings reveal that (1) the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properly reflects four aspects of natural number concepts, as the curriculum covers 50% of the cardinal number system; (2) In the aspect of the counting number, we hope to add the meaning about 'one, two, three, ......, and so on' in the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ordinal number, we want to be rich the related meaning in a set. Further suggestions are made for future research to include them ensuing number in the curriculum.

2011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미국 CCSSM 비교.분석 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f Current 2011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and CCSSM in the United States)

  • 김지원;박교식;이정은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79-295
    • /
    • 2014
  • 2015년 교육과정 개정을 앞두고 있는 현재, 현행 교육과정과 다른 나라 교육과정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입장에서 본 논문에서는 학습 내용을 중심으로 미국의 CCSSM과 우리나라의 2011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CCSSM에서 취급하는 학습 내용이 2011 교육과정에서 취급하는 학습 내용에 비해 적다고 하기 어렵고, 2011 교육과정보다 훨씬 빠른 시기에 도입하여 깊게 배우는 학습 내용과, 심지어 우리나라에서는 중학교 이상에서 취급하는 학습 내용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으로부터 우리나라의 차후 교육과정 개정을 위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는 기초적인 개념의 이해와 기능의 습득을 충분히 강조할 필요가 있다. 둘째, 수학과에서 학년군제의 시행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과정 개정은 충분한 논의를 거쳐 이루어져야 하며, 개정의 과정을 잘 정리하여 공개할 필요가 있다. 넷째, 우리나라의 차후 교육과정 개정에서 CCSSM에 대한 미국 내의 비판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 PDF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수와 연산 영역의 재구조화 연구 (A study on restructuring of 'Number and operations area'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2호
    • /
    • pp.167-183
    • /
    • 2020
  • 본 연구는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수와 연산 영역의 시대적 변천 과정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와 연산 영역에서 수학 학습내용의 재구조화 방향 제시를 위한 문헌 연구이다. 이를 위해 1차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부터 2015개정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까지 제시된 수와 연산 영역의 내용을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수와 연산 영역의 수학 학습내용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비교 분석의 기준을 3차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으로 설정하였고, 분석을 위한 수학 학습내용으로 내용요소와 학습요소로 세분화하여 기본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이러한 기본 분석틀을 기초로 수와 연산 영역의 핵심 이슈가 되는 수학 학습내용을 추출하여, 추출된 수학 학습내용에 대해 세계 여러 나라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현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중학교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에 유의미한 재구조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베이즈 추론을 수학과 교육과정에 도입하는 것의 실제 의미에 대한 일고찰 (A consideration of the real meanings of introducing Bayesian inference into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 박선용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7
    • /
    • 2024
  •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intellectual triggers for Bayesian inference and what key ideas contributed to its occurrence and discussed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introducing Bayesian inference into th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by reflecting them.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need for statistical inference about the parameter itself served as a trigger for the occurrence of Bayesian inference, and the most important idea for the occurrence of that inference was to regard the parameter itself as a probability variable rather than any fixed value. On the other hand,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the meaning of introducing Bayesian inference into the secondary mathematics curriculum is 'statistics education that expands the scope of uncertainty'.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의사소통으로서의 수학 (Mathematics as a Communicatio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정은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3호
    • /
    • pp.377-394
    • /
    • 2012
  • 이 연구는 학습에서 중요한 요소인 의사소통으로서의 수학이 우리나라 2007 개정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됐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의사소통 활동의 적합성, 용어 기호 사용의 적합성, 문어적 표현의 적합성, 시각적 표현의 적합성, 수학 및 교육과정과의 부합성이라는 기준에 따라 교과서를 분석해본 결과 교육과정의 의도를 잘 반영하는 부분도 있지만 용어의 사용이나 여러 표현에 있어서 미숙한 부분도 많이 발견되었다. 앞으로 교과서를 제작할 때 교과서 저자들 사이의 의사소통, 저자와 작가, 삽화가 등과 충분한 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제 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문제해결 관련 내용의 분석 (An Analysis on COntentns Related to Problem Solving in 7th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 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3권1호
    • /
    • pp.1-23
    • /
    • 2001
  • In this paper, contents related to problem solving in 7th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analyzed in five aspects: problem solving stages, problem solving strategies, problems, problem posing, and assessment on problem solving abilities. From the results and processes of analysis,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 First, it is difficult to say the contents related to problem solving in 7th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are prepared organically. Second, it is difficult to say that contents related to problem solving in 7th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reflect results of recent research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