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검색결과 1,199건 처리시간 0.023초

한·일 수학과 교육과정의 외·내적 체재 비교 분석 : 직전 교육과정과의 변화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external & internal structure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Japan : Focusing on the aspects of recent revisions)

  • 권오남;이경원;이아란;한채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2호
    • /
    • pp.187-223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이 나아가야할 변화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의 2009,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과 일본의 2008, 2017 수학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초, 중, 고등학교급 전반에 걸쳐 직전 교육과정과의 변화를 살피고, 그 변화를 양국 간 비교하였다. 비교결과를 토대로 세 가지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수학익힘책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Activity Book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3권2호
    • /
    • pp.99-111
    • /
    • 2010
  • 본 연구는 5차 교육과정에서 처음 도입된 보조교과서인 수학익힘책에 대한 연구이다. 교육과정의 변천과 함께 수학익힘책도 세 차례의 개정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익힘책의 도입 과정에 대한 문헌고찰을 기초로 하여, 수학익힘책의 도입 목적, 개발 방향, 수학익힘책의 구성 체제, 교육과정과 관련된 수학익힘책이라는 네 가지 측면에서 수학익힘책에 대한 비교 결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영국의 수학교육에 대한 고찰: 고등학교 수학교육을 중심으로 (A Study on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UK Focusing on high school math education)

  • 강현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75-194
    • /
    • 2022
  • 본 연구는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앞두고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영국의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비교함으로써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국은 2017년 이후 16세 이후 수학을 강조하고 평가를 개정하였다. 이에 따라 영국의 고등학교 수학교육과정에 해당되는 Key stage 4, Core Maths, A-level의 내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고등학교 공동과목, 일반선택과목, <기하> 과목과 비교하였다. 영국에서는 고등학교 단계에서 수학교육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교육과정 총론에서 '수리력과 수학'을 강조하고 학생들의 수학 선택권을 확대하고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하여 새로운 수학 교과목 및 평가를 함께 개발하여 시행하고, 기존의 A-level 수학 평가를 개선하였다. 또한 주제 중심의 내용을 Key Stage 3부터 고등학교 단계에서도 발전적이고 지속적으로 다루고 다른 영역의 주제와 연결하여 다룸으로써 수학의 내적 외적 연결성이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있었다.

제7차 수학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An Analysis on the Implementation and the Methods of Development of the 7th Op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 이대현;최승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5권2호
    • /
    • pp.231-242
    • /
    • 2006
  • National curriculum is very important for the future of nation. So, continuous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d the issues and the problems related with the 7th op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and gave the message about th: methods of implementation. For this, we analyzed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which consisted in the question about the 7th op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264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ar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We found the result that the 7th op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has the problem in contents and management. So, this study gave not only the problem but also the various concrete methods for management of the 7th op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We hope that mathematics education members research and argue about the op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for next curriculum.

  • PDF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 Park, Kyung-Me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권1호
    • /
    • pp.43-59
    • /
    • 1997
  • Now in Korea, the 7th curriculum reform is underway. The main difference of the seventh curriculum compared with former curricula is that it puts much emphasis on individual difference. It is a "differentiated" curriculum. The basic directions of the 7th mathematics curriculum are as follows: 1. Offer various mathematical subjects for "Selective Educational Period" (Grades 11 and 12). 2. 30% reduction of mathematical contents. 3. The reconciliation of domain names of school mathematics. 4. The use of computers and calculators in mathematics classrooms.

  • PDF

2011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고찰: 기하 영역을 중심으로 (A critical review on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revised in 2011 focused on geometry)

  • 박교식;권석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261-275
    • /
    • 2012
  • 2011 교육과정의 기하 영역에는 명료하지 않게 제시된 부분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명료하지 않아 교육과정의 의도와 달리 잘못 해석될 가능성이 있는 기호 $\overline{AB}{\perp}\overline{CD}$, 간단한 작도와 합동인 도형의 성질, 삼각형의 결정조건, 회전체, 정당화, 닮음의 중심, 닮음의 위치, 삼각형의 중점 연결 정리, 피타고라스 정리, 원주각의 성질의 불명료성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으로서, 차기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관련하여 다음 세 가지 논의 주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는 교육과정에서의 불명료성 해소이다. 둘째는 공신력 있는 해설서의 발행이다. 셋째는 충분한 연구 결과의 축적을 바탕으로 한 교육과정 개발이다.

  • PDF

중국 고등학교 수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수학사 내용 분석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History of Mathematics in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Chinese Highschool Mathematics)

  • 조형미;장혜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235-250
    • /
    • 2018
  • The history of mathematics is an important part of Chinese high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he current 2003 revised curriculum in China refers directly to the history of mathematics and presents it as one of the optional series. Moreover, they publish separate history textbooks for mathematics according to the 2003 revised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the history of mathematics in Chinese highschool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2017, has increas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highschool curriculum and mathematics history textbooks, which were revised in 2003.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we make suggestions on the use of mathematics history for teaching mathematics in Korea.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역량 기반 개선 방안 탐색 : 한국과 호주 '수와 연산' 영역 비교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s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in Competency-Based: Focused on comparing 'Number and Arithmetic' in Korean and Australian Curriculum)

  • 이화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3권4호
    • /
    • pp.229-25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OECD의 DeSeCo 및 2030 프로젝트의 동향을 고려하였을 때 역량을 기르는 교육과정이 더욱 강조될 것으로 예상하고 역량 기반의 교육과정 성취기준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OECD 2030 프로젝트에서 새롭게 강조하는 역량을 살펴보고, 호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역량을 성취규준과 내용 해설에 어떻게 담아냈는지 고찰하였다. 우리나라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호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매칭하고 수와 연산 영역의 내용을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역량이 성취기준에 반영되어 있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성취기준에 포함된 기능 동사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성취기준에 역량을 충실히 반영하기 위한 개선 방안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산 수학 제7차 교육과정의 구현 방안 연구 (Implementing Discrete Mathematics in the 7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of Republic of Korea)

  • 이준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1권1호
    • /
    • pp.127-137
    • /
    • 2002
  • Discrete Mathematics is newly introduced into the 7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of Republic of Korea. Every high school can choose Discrete Mathematics as an optional course from year 2002, but mostly from year 2003. According to its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s in the curriculum, we should know how to implement Discrete mathematics. But it is hard to predict whether Discrete Mathematics will be successful or not, since many studies have shown the lack of readiness for the course.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Discrete Mathematics text book developed recently in 2002. Then we see how Discrete Mathematics can be implemented. First, we suggest how the contents in the Discrete Mathematics text book are related to the mathematical values. This will clarify instruction and learning methods in Discrete Mathematics classrooms. Secondly, rich and various discrete contents should be taught. Students should appreciate the realistic merits of discrete mathematics. Thirdly, evaluation methods and their examples will be presented based upon the contents of she text. The evaluation that distinguishes individual achievement levels is closely related with implementation of Discrete mathematics in schools. Finally, we point out the weakness of Discrete Mathematics contents in the 7th curriculum to prepare ourselves for the 8th curriculum.

  • PDF

창의적 문제해결력 중심의 수학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초등학교 수준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 김정효;권오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4권2호
    • /
    • pp.83-10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n alternative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to enha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e curriculum consisting of three main elements was developed. The three elements are content knowledge, process knowledge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The curriculum contents and the units were developed by mathematics educators, elementary educators, psychologist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curriculum specialists for 3 years. In order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curriculum, the 5 units based on a problem-based-learning (PBL) method were implemented in a 5th grade class as an experimental group during the second semester. For the comparison group the ordinary lesson based on the 6th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was implemented during the same period. Performance assessment was developed and used for the pre and post test. T-est was use to testify that the effect of the curriculum is statistically signigicant. The results of the tes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progressed significantly i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but the comparison group did no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