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lastic characteristics in mathematic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5초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수리) 영역 변천사 (History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Mathematics Section)

  • 전영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6권2_3호
    • /
    • pp.177-195
    • /
    • 2013
  • 본 연구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수학) 영역의 개념 및 성격을 살펴보고, 수리(수학) 영역의 20년 변천 과정을 도입기(1994~1996학년도), 조정기(1997~2004학년도), 발전기(2005~2011학년도), 전환기(2012학년도 이후)로 구분하여 시기별 변천 과정을 고찰한 후, 향후 수학 영역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한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의 개정 방향 탐색 (Direction of Revision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rough Literature Review)

  • 고호경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467-481
    • /
    • 2008
  • 본 고는 1994년 이래 실시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수리영역에 관해 여러 각도에서 연구한 다수의 논문들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분석을 통하여 개정된 교육과정에 맞추어 수리영역의 출제 체제 개정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본 고에서는 먼저 선행연구들을 '목적 및 특성과의 부합성', '교육에 끼친 영향', '사회에 끼친 영향'이라는 큰 범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교차지원, 선택과목간의 유 불리문제, 인문계와 자연계의 시험 과목(내용)의 차이, 대학수학능력 시험에 들어가야 할 과목 등의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수능시험에서 수리영역의 글제 체제를 개정하는데 있어서 고려해야 할 요인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인 출제체제 개정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 PDF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 영역 문항 난이도 예측을 위한 회귀모형 추정 (Estimating the regression equations for predicting item difficulty of mathematics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이상하;이봉주;손홍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6권4호
    • /
    • pp.407-42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tem characteristics that are supposed to affect item difficulty and to estimate the regression equations for predicting item difficulty of mathematics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We selected six variables related to item characteristics based on learning theories: contents, cognitive domain, novelty, item type, number of concepts, and the amount of computation. With data of the CSAT mathematics test administered in 2004-2006, item difficulty was regressed on the six variables, the location of an item, and the item writer's judgment on difficulty. The novelty of an item was found to be a statistically insignificant variable in explaining item difficulty. Four regression equations with different sets of independent variables could explain $70%{\sim}80%$ of the item difficulty variance and were validated as predicting item difficulty of the mock CSAT in 2006.

  • PDF

내용 영역에 대한 성취수준별 남녀학생의 학업 특성 차이 분석 (Analysis on Gender Differences of Scholastic Characteristics at Each Achievement Level in Content Domains)

  • 조윤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1호
    • /
    • pp.15-42
    • /
    • 2016
  • 남녀의 학업 특성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밝히는 것은 그 차이를 해소하기 위한 첫 걸음이다. 이것은 한 번의 검사로는 파악하기 어려우며, 소수의 피험자로는 일반성을 잃을 수 있다. 그래서 많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여러 해에 걸쳐서 피험자가 배운 내용을 포괄적으로 평가하여야 객관적이고 타당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2010~2014년에 전수평가로 치러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다루었다. 그로부터 성취도 점수와 평균 정답률 등을 검사 전체, 문항 유형, 내용 영역 측면에서 정리하면서 성취수준별로 남녀학생의 학업 특성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남녀 차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 더 나은 방안을 찾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Characteristics of Problem on the Area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for the Korean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 Lee, Kang-Sup;Kim, Jong-Gyu;Hwang, Dong-Jou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1권4호
    • /
    • pp.275-283
    • /
    • 2007
  • In this study, we gave 132 high school students fifteen probabilities and nine statistics problems of the Korean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and then analyzed their answer using the classical test theory and the item response theory. Using the classical test theory (the Testian 1.0) we get the item reliability ($0.730 \sim 0.765$), and using the item response theory (the Bayesian 1.0) we get the item difficulty ( $-2.32\sim0.83$ ) and discrimination ( $0.55\sim 2.71$). From results, we find out what and why students could not understand well.

  • PDF

수학적 문제해결역량을 위한 평가 문항의 조건과 그 실제 (Analysis of Mathematical Problem Based 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Competency)

  • 이선영;이지수;한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7권2호
    • /
    • pp.111-136
    • /
    • 2018
  • This study suggests a framework for analyzing item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shows the relationship among the characteristics, difficulty,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actual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competency. Three mathematics educators' classification of 30 items of Mathematics 'Ga' type, on 2017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the responses given by 148 high school students on the survey examin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competenc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only few items satisfying the characteristics for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competency, and students feel ill-defined and non-routine items difficult, but in actual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routineness alone has an effect. For the items satisfying the characteristics, low-achieving group has difficulty in understanding problem, and low and intermediate-achieving group have difficulty in mathematical modelling. The findings can suggest criteria for mathematics teachers to use when developing mathematics questions evaluating problem solving competency.

영국, 호주, 일본의 대학입학 수학시험 개정 (Revisions of University Entrance Exams of Mathematics in the UK, Australia, and Japan)

  • 남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4호
    • /
    • pp.679-70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대학입학 수학시험 개정이 발표된 영국, 호주, 일본의 개정 사례를 통하여 우리나라 대학입학 수학시험의 개정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영국의 A-level 시험은 순수수학과 응용수학의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개정되어 각 시험의 과목 및 내용이 조정되고, 문항 유형의 변화가 예고되었다. 호주 NSW주의 대학입학 시험은 기본적으로 수학을 강화하는 교육과정 개정 방침에 발맞추는 방향으로 개정되고 있다. 일본의 대학입시센터 시험은 고등학교와 대학을 연결시키는 교육 개혁의 일환으로 새로운 시험을 도입한다. 새로운 수학 시험에서는 이해력, 판단력, 표현력을 강조하고 수기식 단답형 문항이 출제된다. 이와 같은 영국, 호주, 일본의 사례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입학 수학시험의 목적과 성격, 시험 체제와 문항 유형, 학계의 뒷받침에 관하여 논하였다.

초등학교와 중학교 수학성적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Mathematics Record)

  • 윤홍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45-15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students′ scholastic relationship in mathematics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from the 3rd grade in elementary school to the 2nd and the 3rd grades in middle school.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1. CONCLUSIONS 1. Students′ present scores are most closely related to those of their previous grade. The data are based on the two groups of the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 one is honhappan(mixed students from different elementary school) and the other shinaepan(the students from the same elementary school in kong ju city). This close relation between present and previous scores in mathematics may well be reasonable since mathematics is systemized hierarchically. Among the score data in elementary school, the scores in the 5th grade are meaningfully related to present score data in mathematics. 2. Two pans (as I mentioned above, honhap and shinae) are divided into groups and their scores are traced from the 3rd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data show that the high-levelled students have little changes in their scores, but low-levelled students have dropped radically in their scores from the first grade in middle school. 3. In terms of students′ interests, students who answered, "I′m very interested in mathematics." have no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in their scores while those who answered, "I have little interest in mathematics" shows a decrease in their scores. 4. Among the reasons for their lack of interests, the replies are "because of exams," "because of teaching methods," and "because of the textbooks." II. Suggestion To compensate the limitation and difficiency of this study, the foll owing is suggested for the following studies related to this one. 1. This study was limited to gathering students′ score data from female students in a small city. For a more accurate statistic a bigger population is needed as well as varied geographical and social economical area is suggested. A good idea is to study homogeneous sex groups as well as heterogeneous sex groups 2. It is easy to find out what grade is closely related to the present scores by statistical analysis, but the reasons for their relationship have to be found out through the following studies 3. There are many studies on cognitive domain in math but it is expected to have more studies on affective domain as well.

  • PDF

상급 학년 수준 시험을 활용한 과학고 신입생들의 학업성취도 특성 연구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s on above-level testing of newly entering students in science specialized high schools)

  • 안태환;박경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119-138
    • /
    • 2015
  • 본 연구는 과학고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수학, 물리, 화학, 영어 교과에서의 상급 학년 성취 수준을 평가하였다. 상급 학년 수준 시험은 천장효과를 배제한 성취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동형검사지를 개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고 신입생들의 수학, 과학 교과 학업성취도는 응시생의 50%이상이 수능 5등급이내에 위치하고 영어교과는 19.3%미만의 학생들이 5등급이내의 성적을 나타내어 수학이나 과학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과목 내 단원별 학업성취도가 높고 낮은 단원을 보면, 수학은 '행렬' 단원이 높고 '수열' 단원이 낮았다. 미적분과 통계 과목은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 단원이 높고, '통계' 단원이 가장 낮았다. 물리 과목에서는 '전기와 자기' 단원이 중간 수준, '파동과 입자' 단원이 하위수준이었다. 화학 과목에서는 '생활 속의 화합물' 단원이 높고, '공기' 단원이 낮았다. 영어 교과에서는 읽기 영역의 '실용문'이 매우 높았으며, 쓰기 영역의 '문장'이 낮았다. 결론적으로 상급 학년 수준 시험은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개별화된 프로그램을 적용하는데 좋은 방안이라 할 수 있다.

수학 학업성취도가 높은 국가의 수학-정의적 영역 요인 분석 및 측정 동일성 검증 (Factor Analysis and Measurement Invariance Test of Mathematical Affectiveness in High Mathematical Achievement Countries)

  • 이종희;김기연;김수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3권2호
    • /
    • pp.307-321
    • /
    • 2011
  • 수학 학습과 성취에 있어서 인지적 영역뿐만 아리나 정의적 영역의 여러 요인이 영향을 주고 있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교육 활동에 있어서 정의적 영역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개정이나 학업성취도 평가, 국제비교평가 연구 등에서도 확인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학 학습과 성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정의적 요소를 살펴보기 위한 다양한 연구 방법 중에 대규모의 표집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가장 보편적이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설문에 따른 반응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ISA 2003과 TIMSS 2007의 자료를 분석하여 수학 학업 성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상위 30%) 국가를 선정하고 각 국가의 정의적 영역 성취점수를 분석함으로써 국제비교평가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을 잘 파악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 문항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대규모 국제비교평가의 설문문항이 우리나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 문항 개발에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 고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