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larly communication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8초

유료 온라인 라이브콘서트 소비경험에 대한 연구: 사회표상이론을 중심으로 (Investigating Paid Virtual Live Stream Concert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Representations Theory)

  • 박현진;정윤혁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5권2호
    • /
    • pp.77-101
    • /
    • 2023
  •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오프라인 현장콘서트의 대안적 공연형태이자 새로운 수익모델로서 유료 온라인 라이브콘서트가 등장하였으며, 계속해서 활발히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유료 온라인 라이브콘서트 참여자들의 경험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지만, 이들의 콘서트 소비 및 참여경험을 상세하게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표상이론(social representations theory, SRT)을 바탕으로 유료 온라인 라이브콘서트 참여자들의 소비경험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유료 온라인 라이브콘서트에 대한 참여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C-P-N-D(Content-Platform-Network-Device) 모형에 기반한 유료 온라인 라이브콘서트의 특징 차원의 요소와 관람자의 인식 차원의 요소들을 탐색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개방형 설문에 대한 239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SRT에 기반한 핵심-주변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유료 온라인콘서트에 대한 총체적인 인식과 네트워크 및 기기 차원의 특징들이 유료 온라인콘서트의 핵심적 사회표상 요소로 제시되었으며, 콘텐츠와 플랫폼 차원의 요인들이 주변부 요소로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안적 매체로 부상하는 유료 온라인콘서트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제고하고, 참여자들의 소비 및 관람 경험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와 이론 및 실무적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다.

학술논문에서의 위키피디아 인용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Wikipedia Citations in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 심원식;변제연;김민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47-264
    • /
    • 2013
  • 익명의 인터넷 이용자가 백과사전의 내용을 쓰고, 수정하고, 편집을 한다는 점에서 위키피디아는 획기적인 발상이다. 위키피디아는 현재 인터넷에서 가장 빈번하게 이용되는 정보원이지만 학술연구자들은 정보의 신뢰성, 정확성의 문제 등으로 위키피디아를 학술연구에서 이용하거나 인용하는 것을 위험한 행동으로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인용색인 데이터베이스인 Thomson Reuters의 Web of Science(WoS)에서 2002년부터 2012년의 기간 동안 위키피디아를 인용하고 있는 논문 총 282개를 대상으로 특성 및 인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위키피디아 인용논문은 비록 소수이기는 하지만 2011년을 기점으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가장 많은 논문이 분포한 분야는 문헌정보학, 경영학, 심리학, 교육학 및 커뮤니케이션 분야이다. 원문을 입수할 수 있는 267개 논문에 나타난 총 577개의 인용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위키피디아에 대한 연구에서의 인용과 지식정보원으로써의 위키피디아 활용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총 577개의 분석 대상 인용 가운데 상당수의 인용은 위키피디아에 대한 소개, 설명(139건, 24.1%)이거나, 위키피디아의 글을 간단한 참고정보원으로 활용한 경우(331건, 57.4%)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기존에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위험한 행동으로 간주될 수 있는 위키피디아를 논문의 주요 근거 혹은 데이터 소스로 활용한 사례도 87건(15.1%)으로 조사되었다.

디지털 환경에서 학술지 인용의 분산화 현상에 관한 연구 (The Dispersion Phenomenon of Journal Citations in a Digital Environment)

  • 신은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11-222
    • /
    • 2009
  • 전자출판은 정보검색, 이용패턴, 인용행태 등 학술 커뮤니케이션 전반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변화를 초래하였다. 이 연구는 전자출판 특히 전자학술지의 보급이 학술 커뮤니케이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학술지의 수명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라 할 수 있는 인용반감기 데이터를 JCR 사회과학 편으로부터 수집한 후 전자학술지 도입 이전과 이후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모두 여덟 부문의 주제영역에 관하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인구통계학을 제외한 일곱 부문에서 1994년에 비해 2007년의 인용반감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제학, 교육학, 재정학, 사회학 등의 네 주제영역에서는 인용반감기의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 결과는 과거와 같이 핵심 학술지 및 최신호에 이용이 집중되던 현상이 완화되고 비핵심 학술지 및 오래된 학술지의 이용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학술지 인용의 분산화(탈집중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환경에서는 오래된 자료라도 여러 가지 미디어에 힘입어 원활하게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의 이용과 인용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고, 따라서 인용반감기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도 충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난 것인지 아니면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날 것인지는 시간을 두고 더 관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간호이론 개발을 위한 개념분석 : 사랑 (Love : A Concept Analysis for Nursing Theory Development)

  • 이옥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69-376
    • /
    • 1993
  • Since nursing has come of age both as a profession and as a scholarly discipline, there has been increasing concern with delineating its theory base. In 1978 Chinn and Jacobs asserted that “the development of theory is the most crucial task facing nursing today.” The basic building blocks of theories are concepts. Concept formation begins in infancy, for concepts help us to categorize and organize our environmental stimuli. Concepts help us to identify how our experiences are similar or equivalent by categorizing all the things that are alike about them. concepts can be primitive, concrete, or abstract. Concept Analysis is a strategy that examines the attributes or characteristics of a concept. It is a formal, linguistic exercise to determine those defining attributes. It encourages communication. Its basic purpose is to distinguish between the defining and irrelevant attributes of a concept similarities. It is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concepts and it is useful for several reasons. It is an excellent way to begin examining information in preparation for research or theory construction and results in an operational definition and a list of defining attributes and antecedents. It provides the scientist with an excellent beginning for a new tool, is an excellent way of evaluating an old one and is useful in evaluating existing instruments. The steps of concept analysis are : 1. Select a concept, 2. Determine the aims or purposes of the analysis, 3. Identify all uses of the concept that you can discover, 4. Determine the defining attributes, 5. Construct a model case, 6. Construct borderline, re-lated, contrary, invented, and illegitimate cases, 7. Identify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8. Define empirical referents. In this paper, the concept selected for analysis was Love. The concept of love is of great interest to nursing because loving care is considered vital to the nursing care of patients. The aims of the concept analysis of love were to clarify the meaning of love, to develop an operational definition for it and to contribute to existing nursing theory. Love influences the quality of life which is the goal of nursing according to Parse in her Human Becoming Theory. Lived experiences are the entities for study in Parse's Research Methodology. Human caring, human understanding, and human becoming are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lived experiences. In this research, dictionaries and literature from nursing philosophy and other human disciplines were used to identify the concept of love. As many different instances of the concept as could be found were examinned. The model case was a real life example of the use of the concept. Next borderline, related, invented, and contrary cases were construc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xamples of “not the concept” and for promoting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being discussed. The defining attributes of the concept of love were concern, responsibility, respect, understanding and dedication. Love was defined as showing concern and understanding. relating with mutual respect and dedicating oneself responsibly to others. Concept analysis is a highly creative activity and may add significant new information to a given area of interest. It is a strategy for developing a concept based on observation or other forms of empirical evidence. The purpose of concept analysis is to generate new ideas. It provides a method of examining data for new insights that contribute to theoretical development. This concept analysis suggests that a nurse’s love for patients is shown in the process of giving oneself in mutual relationships of responsibility and respect and in continuously providing understanding and quality human care for them.

  • PDF

전자저널 빅딜 계약의 연구 동향과 대안 탐색 (Seeking Alternative Models and Research Trends for Big Deals in the Electronic Journal Consortium)

  • 김상준;김정환
    • 정보관리연구
    • /
    • 제42권1호
    • /
    • pp.85-11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빅딜 계약이 큰 비중을 차지하면서 전자저널 컨소시엄 유지를 위한 예산 확보가 학술도서관의 최대 이슈로 자리 잡은 상황에서 빅딜 계약의 대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빅딜 계약의 현황, 장단점, 문제점에 대한 대응을 토대로 빅딜 계약을 대체하는 다양한 모델을 조사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빅딜 계약의 대안을 OA 기반, 이용량 기반, 컨소시엄 개선 기반, 출판사 주도, 기타 등으로 살펴본 후 KESLI를 위해 단기적으로 Cost division 형식이지만 중장기적으로 보다 강화된 컨소시엄을 기반으로 Single(bloc) payment 형식이나 National licene 형식을 지향하는 '컨소시엄 비용 재배분 모델'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컨소시엄 비용 재배분 모델'은 최근 1년분의 각종 데이터를 기초로 PDF와 HTML 다운은 3배의 가중치를 부여하되 나머지 14개 요소는 각 요소별 0.5점부터 5점까지로 총 100점 만점으로 합산해 자관 총점의 순위에 따라 국가 단위로 협상된 KESLI 총액을 10, 20, 30 등급으로 확정해 최종 협상된 금액에 맞게 다시 배분하여 구독액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활용한 오픈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 분석: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출판된 문헌정보학 저널을 기반으로 (Domain Analysis on the Field of Open Access by Co-Word Analysis: Based on Published Journal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uring 2013 to 2018)

  • 김선겸;김완종;서태설;최현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33-356
    • /
    • 2019
  • 기존 상업 출판사 중심의 학술 커뮤니케이션 체제가 가져온 위기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오픈액세스가 등장하였다. 본 연구는 계량정보분석 기법 가운데 하나인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활용하여 오픈액세스 분야의 최신 연구 경향을 반영하는 지적구조를 제시하고 주제영역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두며, 기존에 수행되었던 오픈액세스 지적구조 분석 연구와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Web of Science로부터 오픈액세스 관련 키워드 검색을 통하여 2013년 1월 1일부터 2018년 11월 31일까지 출판된 문헌정보학 분야 논문 총 761편을 수집하였으며, 이들 논문 가운데 제목과 초록으로부터 명사구 형태의 키워드 총 2,321개를 추출하였다. 오픈액세스 지적구조 분석을 위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13개의 세부 주제영역이 추출되었으며, 지적관계를 시각화하여 전역 및 지역 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또한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이 결과를 다차원축적지도에 표시하여 키워드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 오픈액세스 영역에서의 연구 방향성 모색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과학기술분야 연구자들의 데이터 출판경험 및 인식 연구 (A Study on Awareness and Experience of Data Publishing by Scientists)

  • 황혜경;정영임;조성남;서태설;김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45-68
    • /
    • 2023
  • 본 연구는 오픈사이언스 연구환경 변화가 가속화되면서 데이터 공유의 새로운 채널로 인정받고 있는 데이터 출판에 대한 국내 연구자의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문헌조사와 국내 과학기술분야 5개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와 GeoAI 데이터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 출판에 대한 인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연구자들은 데이터에 대한 설명제공, 데이터로의 안정적 접근, 인용, 동료심사를 통한 품질확인을 데이터 저널의 장점으로 인식하였으나, 연구실적으로써의 데이터 논문 인정에는 낮은 인식수준을 보였다. 또한 데이터 상세설명, 메타데이터 기술, 영구식별기호 부여 순으로 데이터 출판 속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리포지터리에 데이터 제출과 동료심사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데이터 출판 촉진 요인으로 데이터 논문작성과 리포지터리 연계를 지원하는 투고심사시스템 개발과 데이터 인용을 지원하는 리포지터리 개발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국내 연구자들의 데이터 출판 경험과 인식은 향후 데이터 출판 서비스와 인프라 구축을 위한 중요한 기초가 될 것이다.

간호사의 병원 내 성희롱 피해 경험: 현상학적 연구 (Experience Sexual Harassment of Nurses: Phenomenological Study)

  • 구윤정;박은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457-465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사가 경험한 성희롱의 본질적 구조와 의미를 파악하여, 성희롱을 예방하고, 체계적인 중재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과 심층면담에 의한 연구로서 자료수집은 2022년 8월 6일부터 2023년 3월 25일까지 종합병원 간호사 7명의 연구참여자로부터 수집하였다. 면담에 사용된 주질문은 "귀하에게 성희롱이란 무엇을 의미합니까?"이었다. 필사된 자료는 Giorgi의 질적 분석방법에 따라 전체의 인식, 의미단위의 구분, 의미단위의 심리학적 표현으로의 변형, 일반적 구조로의 통합의 단계를 거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159개의 의미단위, 37개의 본질적 심리의미, 13개의 하위 구성요소, 5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5개의 구성요소는 '성희롱의 최전방에 노출됨', '혼자 감당하며 고군분투함', '조직으로부터 내팽개쳐진 심정', '함께 헤쳐나갈 방법을 찾음', '변화하고 있음을 느낌'이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사의 성희롱을 예방하고 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중재방안 마련과 제도 개선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챗GPT 리터러시가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학업자신감과 지각된 학업역량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ChatGPT Literacy on Academic Engagement: Focusing on the Serial Mediation Effect of Academic Confidence and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 이은성;전용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565-574
    • /
    • 2024
  • 챗GPT는 우리 사회의 모든 분야에 커다란 반향을 일으키고 있으며, 이는 교육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의 챗GPT에 관한 학계 및 사회적 논의는 주로 표절과 같은 부정행위에 초점이 맞춰져있으며, 학생들의 인공지능 기술 활용으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와 더불어, 코로나 시대의 교육 위기 속에서 학업열의를 증진시키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따라 우리는 학생들의 챗GPT 리터러시 수준에 따라 학업열의가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업 자신감 및 지각된 학업역량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했다. 이를 위해 40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SPSS로 분석했다. 그 결과, 챗GPT 리터러시는 학업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학업자신감은 챗GPT 리터러시와 학업열의 사이를 매개했다. 또한 학업자신감과 지각된 학업역량은 이중으로 매개되었을 때 유의한 결과를 도출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챗GPT 리터러시와 학업열의 사이의 이론적 매커니즘을 명확히 규명할 수 있다는 이론적 함의를 논하였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챗GPT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에 관한 실용적 함의에 대해도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