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itizers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37초

에어로졸 형태의 상업적 살균소독제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저해효과 평가 (Inhibitory Effect of Aerosolized Commercial Sanitizer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 이선영;정진호;진현호;김영호;오세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35-242
    • /
    • 2007
  • Aerosolization 기술은 미생물 제어를 위한 살균처리에 있어서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식품과 식품가공을 위한 시설 및 설비 등에 새로운 살균처리 방법으로의 이용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5종류의 상업적 살균소독제를 aerosol 형태로 model cabinet에서 처리하여 E. coli O157:H7, S. typhimurium, L. monocytogenes에 대한 살균효과를 조사하였다. 과산화수소계와 4급암모늄계를 aerosol 형태로 처리했을 때 세 가지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가장 높은 살균력을 관찰하였으며 반면에 다른 종류의 살균소독제인 염소계, 요오드계, 알콜계는 세가지 병원성 미생물을 거의 저해하지 못하거나 아주 약한 저해를 나타냈다. 과산화수소계는 세가지 병원성 미생물에 우수한 살균력(> 4 log reductions)을 나타냈으며 L. monocytogenes에 대하여는 특히 aerosol형태의 4급암모늄계가 강한 살균력을 나타내어 9 log 이상의 저해를 나타내었다. 1.6 MHz와 2.4 MHz 진동자를 비교하였을 때 살균소독제의 종류와 처리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처리 효과와 특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Aerosolization 기술은 새로운 살균기법으로 이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되나 응용되는 살균소독제의 종류에 따라서 살균효과에 차이가 크고 미생물이 오염되어 있는 물질 및 표면 등의 처리조건의 차이에 따라서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 기술의 응용을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조건과 다양한 미생물의 종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세척용 시판 살균제 종류에 따른 신선편의 양상추의 저장 중 미생물 변화 (Effect of commercial sanitizers on microbial quality of fresh-cut iceberg lettuce during storage)

  • 황태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27-833
    • /
    • 2017
  • 시판 살균제의 실제 적용 시 감균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양상추를 신선편의 가공하고, 세척 시 살균제로 이들을 적용한 후 저장 중 pH 및 일반세균, 효모, 곰팡이, 대장균, 대장균군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살균제 스크리닝 결과, 0.02%의 염소수 처리 시 3.1 log 감소를, 1% 농도에서 acetic acid는 2.4 log, ascorbic acid는 1.3, citric acid는 0.7 log의 감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판 중인 살균제 대부분에서 2 log 의 감균 효과를 나타내어, 이들을 신선편의 양상추에 적용하고 $10^{\circ}C$에 저장하면서 양상추의 pH 변화 및 미생물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 초기 양상추의 pH는 살균제 용액의 pH에 따라 변화하고 있었는데, 용액의 pH가 가장 높은 칼슘제제(12.0)가 6.1, 가장 낮은 Formula 4(4%, pH 1.7)에서 가장 낮은 pH(4.7)로 나타났으며 저장일 경과에 따라 pH는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대장균군을 제외하고 0.02%의 염소수가 가장 높은 수준의 미생물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Formula 4, Fresh produce wash 모두 3% 이상에서 미생물 저해 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Formula 4는 대장균 및 대장균군 저해 효과가 매우 좋았다. 모든 처리구에서 곰팡이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효모의 경우 염소수와 Fresh produce wash 및 알코올 살균제 중 키토콜과 칼슘 제제 처리구가 효과적으로 저해하고 있었다. 시판 살균제에 따라 미생물 저해 효과는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으나 염소수와 비교했을 때 초기 미생물 저해 효과는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부가적인 hurdle technology 및 공정관리를 통해 저장 중 항미생물 효과를 지속시킨다면 실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벨트형 손소독제 활용의 효과 평가: 임상간호사의 손소독 수행 정도와 만족도를 중심으로 (The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Belt-type Hand Sanitizers in Clinical Nurses: Focusing on the performance of hand disinfection and the satisfaction)

  • 조윤주;이인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3호
    • /
    • pp.275-285
    • /
    • 2020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들의 벨트형 손소독제 활용에 대한 손소독 수행정도와 수행률, 손소독제 사용 만족도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고자 수행된 연구이다. 연구수행을 위해 단일군 전후 유사실험 설계를 이용하였으며, 벨트형 손소독제 활용에 대한 효과평가는 손소독 수행 정도, 손소독 수행률, 손소독제 사용에 대한 만족도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일 지역의 종합병원 병동의 임상간호사 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벨트형 손소독제 사용 후의 손소독 수행 정도, 손소독 수행률, 손소독제 사용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벨트형 손소독제는 손소독 수행정도와 손소독 수행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임상실무에서 벨트형 손소독제를 활용한다면, 손소독 수행 정도와 수행률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손소독제 사용 실태 조사 및 성분 분석 (Survey on the Use of Hand Sanitizer and Component Analysis)

  • 윤혜경;이은지;허예림;박나연;고영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02-709
    • /
    • 2020
  • Objectives: Hand sanitizer is made with ethyl alcohol as the main ingredient. Problems related to the use of hand sanitizers and cases of harm caused by the use of hand sanitizers are occurr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age behavior and recognition level of people using hand sanitizer and identified the chemical components listed in the component label of hand sanitizer. In addition, the methanol and isopropanol contained in hand sanitizer were quantified using HS-GC-MSD. Methods: The investigation of the behavior and recognition of hand sanitizer usage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of 143 college students and adults. The components marked on 34 types of hand sanitizers were investigated, and methanol and isopropanol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using the HS-GC-MSD method. Results: According to the survey, 57% of respondents use hand sanitizers two to three times per day, 92.3% of them do so when in public places and 41.3% of them do so at home. Ethanol, purified water, carbomer, glycerin, and triethanolamine were the ingredients listed in the hand sanitizer. Among the 34 samples, methanol and isopropyl alcohol were detected in 33 samples, the concentration range for methanol was ND-567 ppm, and the concentration range of isopropyl alcohol was ND-2121 ppm.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hand sanitizers are being used constantly every day, and methanol,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marked content, was detected in a significant concentration compared to wet tissue. It has been found that maintenance of hand sanitizer manufacturing standards and training on how to use them are needed.

유통식품에서 분리한 Staphylococcus aureus 및 Escherichia coli의 살균소독제 감수성 (Comparative Susceptibility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Strains Isolated from Korean Foods to Commercially Available Sanitizers/Disinfectants)

  • 전대훈;강길진;엄미옥;성준현;강한샘;곽효선;권기성;이영자;김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04-107
    • /
    • 2007
  • 유통식품에서 분리한 E. coli 및 S. aureus의 차아염소산나트륨과 염화벤잘코늄에 대한 감수성을 현탁액시험법으로 청정조건과 오염조건에서 각각 조사한 결과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오염조건에서 S. aureus가 5 log 감소의 살균소독력이 나타나지 않았을 뿐, 모든 균주가 사용범위 내에서 살균소독력을 나타내었으며, 항생제 내성균과 감수성균에 대한 살균소독제 감수성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p>0.05).

Evaluation for Efficacies of Commercial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against Bacillus cereus Strains

  • Kim, Il-Jin;Ha, Ji-Hyoung;Kim, Yong-Su;Kim, Hyung-Il;Choi, Hyun-Chul;Jeon, Dea-Hoon;Lee, Young-Ja;Kim, Ae-Jung;Bae, Dong-Ho;Kim, Keun-Sung;Lee, Chan;Ha, Sang-D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2호
    • /
    • pp.537-540
    • /
    • 2009
  • Bactericidal efficacies of various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against 10 Bacillus cereus strains isolated from Korean foods and 8 standard B. cereus strains were investigated. The sanitizing capabilities of ethanol, iodine, chloride, quaternary ammonium, hydrogen peroxide, and peroxide acetic acid were investigated using the EN 1276 method based on quantitative suspension testing. The resistance against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was higher for wild-type than standard strains, and the bactericidal activities decreased in dirty conditions. Ethanol, chlorine, and iodine at the maximum level allowed under Korean food sanitation laws showed a great effectiveness against B. cereus. Hydrogen peroxide at 1,100 ppm showed the lowest bactericidal activity against B. cereu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egally allowed maximum concentrations of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in Korea do not reduce all B. cereus strains by at least $5\;{\log}_{10}\;CFU/mL$.

단체급식소의 기구등의 살균소독제 사용실태 조사 (Survey on Practical use of Sanitizers and Disinfectants on Food Utensils in Institutional Foodservice)

  • 이유시;이성희;류경;김용수;김형일;최현철;전대훈;이영자;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38-345
    • /
    • 2007
  • 본 연구는 서울지역 학교(위탁, 직영)와 산업체의 단체급식소 125개소를 대상으로 살균소독제 사용자 인식도, 세척제 사용실태, 살균소독제의 사용실태 및 관리여부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기구 등의 살균소독제 사용 문제점을 파악하고 올바른 사용방법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바람직한 단체급식 기구 등의 살균소독제 사용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기구 등의 살균소독제 한시적 인정제도 인식 여부는 학교(위탁) 75%, 학교(직영) 81.8%,산업체급식 50%으로 대부분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척과 살균소독의 실시순서는 학교(위탁) 98.6%, 학교(직영) 84.4%, 산업체급식 90%가 세척 후 살균소독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살균소독제 선택 시 중요 요소로는 학교위탁, 학교직영, 산업체급식에서 살균력(38.6%, 28.6%, 38.9%)과 안전성(독성)(32.6%, 46.1%, 33.3%)이 가장 큰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살균소독지침서는 학교위탁 급식 64.8%, 학교직영급식 52%, 산업체급식 73.7%에서 다양하게 소지하고 있었다. 쉽고 실용적인 살균소독 지침서가 개발된다면 지침서대로 실행할 의사가 있는지 여부는 학교위탁급식 92.7%, 학교직영급식 80%, 산업체급식 68.4%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구 등의 살균소독제 사용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지만 살균소독제의 1일 평균 사용량이 50 L로 나타나 하루 사용량의 빈도수가 매우 낮았고, 수질(경우, 연수) 및 물의 온도를 고려하지 않은 채 사용하며 살균력이 낮은 알코올계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침서의 절차가 어렵고 복잡하며, 내용을 작업 환경에 적용하기 어려워 쉽고 실용적인 살균소독 지침서가 개발된다면 실행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바른 살균소독제 사용방법으로는 제품의 사용방법에 대해 정확히 숙지하여 사용해야 하고, 반드시 세척 후 살균소독을 하여 세척과 살균을 별도로 실시해야 하며, 사용 기구의 재질별, 식품별, 작업 종류별을 고려하여 살균소독제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살균소독제에 대한 특징 및 사용 방법 등의 살균소독법이 제시되어 있는 사용지침서를 개발하여 단체급식소에서 위생적이고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손소독제(겔형, 액제형, 와이프형)의 효능 평가법 개선: 평가 전략 연구 사례 및 손 균총 정보 활용 등 최근 동향 (Improvement of the Efficacy Test Methods for Hand Sanitizers (Gel, Liquid, and Wipes): Emerging Trends from in vivo/ex vivo Test Strategies for Application in the Hand Microbiome)

  • 오윤;송지섭;박한솔;이영훈;신진송;박다솜;남궁은;조태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1
    • /
    • 2023
  • 피부를 대상으로 한 살균을 목적으로 하는 외용소독제의 경우 식품 취급자에 오염된 미생물의 사멸 또는 제거를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최근 개인위생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제품 소비 증가와 제품 다양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살균 효능은 소독제의 핵심 품질 평가 요소로서 수행 절차 및 조건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시험법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총설논문에서는 주요 제형별(겔형, 액제형, 와이프형) 시험법 개발 현황을 파악하고 시험법별 특장점 분석 결과와 최근 관련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시사점을 기반으로 향후 효능 평가 체계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체 대상 시험법의 경우 시험 유형에 따라 소독제를 시험 대상 피부 표면에 처리하는 조건이 다양화되어 있어 시험법 간 동등성에 대한 평가를 통해 소독제 제품의 성분이나 특성에 따라 최적의 시험 유형을 파악하고 그에 대응되는 적절한 평가 체계 및 관련 규제의 표준화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특히 와이프형 소독제의 경우 처리 방식이 미생물 제거 및 살균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피부에 노출하는 손 대상 처리를 위한 사용 패턴의 표준화 사례가 부족 하였다. 한편 [전처리 - 소독제 노출 - 미생물 회수] 등 각 시험 절차별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결정 요인을 발굴하는 연구의 지속 수행을 통해 기존 시험법을 개선하고 신규 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최근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ex vivo 시험법은 인체 시험의 제한적인 연구 재현성과 같은 한계를 극복하면서도 인간 피부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의 적용을 통해 연구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손 피부를 대상으로 한 균총 연구 등 소독제 처리 전후 미생물의 특성과 분포 분석 관련 연구가 최근 다수 보고되고 있어 이를 활용한 미생물 군집 단위의 소독제 효능 평가 시험법의 확립이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소독제 효능 시험법의 현황 기반 발전 전략은 보다 효과적인 개인위생 관리 확립을 통해 손을 통해 교차 오염되는 미생물에 의한 감염성 질병 발생을 최소화하여 공중보건 및 식품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Effects of Aerosolized Sanitizers of Different Droplet Sizes on Foodborne Pathogen Reduction

  • Kim, Young-Ho;Jo, Young-Jun;Kim, Yun-Ji;Koo, Min-Seon;Lee, Jong-Kyung;Oh, Se-Woo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664-668
    • /
    • 2008
  • The diffusivity of aerosol sanitizers may be determined by the weight and droplet size of the aerosol. To test the effects of droplet size, 2 types of aerosol sanitizers were prepared using different ultrasonic nebulizer frequencies (1.6 and 2.4 MHz) and their reduction activities were determined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typhimurium. A sodium hypochlorite aerosol was treated for 10, 30, or 60 min in a model aerosol cabinet. When the aerosol prepared by nebulizing at 1.6 MHz was treated for 30 min, a 0.2 log reduction was observed in E. coli O157:H7 and 0.3 log reductions were exhibited in L. monocytogenes and S. typhimurium, respectively. After 60 min, the 3 pathogens were reduced by 1.7, 0.6, and 0.8 log units, respectively. However, when the aerosol prepared by nubulizing at 2.4 MHz was treated, the microbes presented 1.6, 0.5, and 0.6 log reductions at 30 min, and 1.8, 0.9, and 1.1 log reductions at 60 min of treatment, respectively.

Microbial Quality and Safety of Fresh-Cut Broccoli with Different Sanitizers and Contact Times

  • Das, Basanta Kumar;Kim, Ji-G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2호
    • /
    • pp.363-369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sanitizers and contact times on storage quality and microbial growth in fresh-cut broccoli. Fresh broccoli samples were cut into small pieces, washed each for 90 s and 180 s in normal tap water (TW), $100\;{\mu}/l$ chlorinated water (CL, pH 7), electrolyzed water (EW, pH 7.2) containing $100\;{\mu}/l$ free chlorine, or $2\;{\mu}/l$ ozonated water ($O_3$). Then, samples were packaged in 30-${\mu}m$ polyethylene bags and stored at $5^{\circ}C$ for 9 day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gas composition and color parameters ($L^*$, $a^*$, $b^*$, and hue angle) among different sanitizers with contact times. No off-odor was detected during the storage. A longer contact time was not effective in reducing microbial population, except with $O_3$ washing. $O_3$ with 90 s was not much effective in reducing microbial population compared with Cl or EW. However, samples washed with $O_3$ for 180 s observed the lowest numbers of total aerobic and coliform plate counts. The result suggested that, a longer contact time of ozone can be used as a potential sanitizer to maintain the microbial quality and safety of fresh-cut brocco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