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ampling survey

검색결과 1,867건 처리시간 0.03초

노동부 통계자료에 대한 새로운 조사방법의 영향 평가 (Influence Appraisal for Labor Statistics after Introducing a New Survey Method)

  • 성내경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4권2호
    • /
    • pp.47-62
    • /
    • 2003
  • 노동부에서 시행하는 $\ll$노동력수요동향조사$\gg$$\ll$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gg$를 기초로 새로운 조사표와 조사방법의 도입으로 인한 영향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간편한 통계적 방법을 제안한다. 두 조사 모두 매우 유사한 표집틀(sampling frame)과 표집법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두 조사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다른 하나의 변동성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시하는 영향 평가는 연도별로 동일 범주에 속하는 두 독립적인 추계치들의 비를 기초로 진행되며 또한 새로운 조사의 도입 시점을 기준으로 전과 후로 분할된 비 데이터(ratio data)의 변동성을 통계적으로 비교하는 형식을 갖는다.

  • PDF

계통표집법의 특성에 관한 연구

  • 박진우;김영원
    • 한국조사연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57-168
    • /
    • 2000
  • 본 논문은 계통표집법의 장점 중 거의 주목되지 못하고 있는 한 가지 장점을 다룬다. 특정한 확률표집법에 의해 표본이 추출되었을 때 추출된 표본이 모집단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표집법을 평가할 때 모집단을 잘 대표하지 못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표본이 추출될 가능성을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 모의실험을 통해 모집단이 순서모집단에 가까울수록 계통표집법은 무작위표집법에 비해 바람직하지 못한 표본을 추출할 확률을 적게 하는 표집법이라는 사실을 보인다.

  • PDF

농업 기본통계 및 가축통계 조사 標本設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multi-purpose sampling design involving both a farm population survery and a livestock survey)

  • 박홍래
    • 응용통계연구
    • /
    • 제1권1호
    • /
    • pp.12-20
    • /
    • 1987
  • 본 연구는 한 개의 표본에서 농업 基本統計와 家畜統計 조사를 다같이 실시하는 多目的 표본설계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특징은 첫째 全國 및 道別 추정오차를 작게 하는 동시에 市郡별 추정오차를 균등하게 유지하도록 시도하였고, 둘째 任意標本과 有意標本을 결합하여 표본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유의표본은 農家 유의표본과 調査區 유의표본으로 구분하였고, 이들 유의표본 선정에 있어서 추정치의 精度를 높일 수 있는 선정 기준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 PDF

A Sampling Design of the Agricultural Machine Estimated Sales Survey

  • Park, Jinwoo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8권2호
    • /
    • pp.375-382
    • /
    • 2001
  • The agricultural machine estimated sales survey is a survey to estimate annual sales quantities of eight major agricultural machines such as tracter, combine,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multipurpose sample for the agricultural machine estimated sales survey. Main achievements of this study are to present an efficient stratification criterion and to suggest a reasonable estimation method by using the concept of post-stratification.

  • PDF

절사계통추출법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cy of the Cut-off Systematic Sampling)

  • 이계오;최정배;석영우
    • 응용통계연구
    • /
    • 제14권1호
    • /
    • pp.111-120
    • /
    • 2001
  • 하나의 업종에 대한 경영실태조사에서 모집단을 구성하는 기업체들의 규모가 큰 차이가 없다고 판단되면 계통추출법이나 층화확률추출법을 주로 적용할 수 있으나 일부기업체의 합계가 모총계의 상당히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경우에는 절사계통추출법이 효율적이다. 본고에서는 위 세 가지 추출법에 의한 모총계 추정량과 모총계 추정량의 분산의 추정법을 살펴보고, 세 가지 추출법을 비교하여 절사계통추출법의 효율성을 실제 자료인 벌목업 경영실태 조사자료를 통해서 입증하였다.

  • PDF

표본점단위(標本點單位)에 대(對)하여 (On the sampling unit)

  • 김갑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6-29
    • /
    • 1965
  • 1) 본시험(本試驗)은 area sampling의 Form과 unit의 크기를 결정(決定)짓고져 행(行)하여진 실험(實驗)이다. 2) unit가 작은 것은 큰것에 비(比)해 과대추정치(過大推定値)를 주었다. 3) incular sample plot는 타(他)에 비(比)하여 과대추정치(過大推定値)를 준다. 4) area sampling에 있어서는 rectangular plot $0.06ha(20m{\times}30m)$가 가장 경제적(經濟的) unit가 된다. 또 circular plot를 사용(使用)할 때는 0.10 ha, square plot를 사용(使用)할 때는 0.08ha 보다 큰 unit를 사용(使用)해야만 population mean과 유의차(有意差)없어 추정(推定)할 수 있다.

  • PD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econd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 Kim, Young Sun;Rhee, Kyung Yong;Oh, Min Jung;Park, Jungsu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4권2호
    • /
    • pp.111-116
    • /
    • 2013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Second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focusing on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The external validity was evaluated by the assessment of sampling procedures and the response rat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sample. The content validity was evaluated by the assessment of the development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consistency of questions for the selected construct. The test-retest method was us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by means of a phone call survey of 30% of the respondents, who were randomly selected. The respondents' satisfaction regarding the survey procedures and interview time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survey data. Results: The external validity was assured by an acceptable sampling procedure, rigid 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The content validity was also guaranteed by a reasonable procedure for the development of the questionnaire with a pretest.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questions for work autonomy was maintained, with 0.738 of Cronbach's alpha. The response rate of 36% was lower than that of the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EWCS), with a contact rate of 66%, compared to 76% for the EWCS. The matching rates of the five retested questions were more than 98% reliable. Conclusion: The quality of the second KWCS was assured by the high external and content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rigid sampling procedure and development of the questionnaire contributed to quality assurance. The high level of reliability may be guaranteed by the sophisticated field survey procedures and the development of a technical manual for interviewers. The technical strategies for a high response rate should be developed for future surveys.

국민건강영양조사 표본설계를 위한 추출틀 구축 (Construction of Sampling Frames for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박진우;변종석;박민규
    • 응용통계연구
    • /
    • 제23권5호
    • /
    • pp.923-932
    • /
    • 2010
  •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0년.2012년)를 위한 표본설계의 여건은 과거에 비해 불리한데, 무엇보다 과거와 같은 추출틀 마련이 여의치 않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제5기 조사를 위한 표본설계 시기가 인구주택총조사 주기와 맞지 않음으로 인해 과거의 총조사 자료를 그대로 추출틀로 사용한다면 어쩔 수 없이 추출틀오차의 문제가 발생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실용적인 면에서 매우 절실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주택총조사 자료가 낡아 현재의 모집단 상황을 제대로 대표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추출틀을 마련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출틀의 포함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아파트 가구와 일반가구(단독주택,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등)를 분리하여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자료를 활용하는 방안을 도입한다. 다시 말해 표본설계를 위해 여러 개의 추출틀을 사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진양호에서 생태계 건강성평가를 위한 예비조사로서 어류채집도구별 종조성 분석 (Analysis of Fish Fauna by Sampling Gear as a Preliminary Survey for Ecosystem Health Assessments in Jinyang Reservoir)

  • 한정호;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3권1호
    • /
    • pp.103-116
    • /
    • 2010
  • 본 연구는 현재 국내 호수에서 사용되는 어구들(Sampling gears) 중 어류를 이용한 호수생태계의 건강성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어구를 선정하기 위하여 각 어구별 채집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진양호를 대상으로 2008년 11월과 2009년 6월 2회에 걸쳐서 어류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에 사용된 어구는 외통발(FN), 자망(GN), 삼중자망(TN), 투망(CN), 통발(MT), 족대(KN) 등 6개의 어구를 사용하였다. 진양호에서 채집된 총 어류는 1차 조사에서 20종의 4,149개체로 나타났으며, 2차 조사에서 27종의 3,364개체로 나타나 동절기(11월)인 1차 조사에 비하여 하절기(6월)에서 더 많은 종이 출현한 것으로 나타나 1, 2차 조사 결과, 총 어류는 29종의 7,513개체가 채집되었다. 어구별로 채집된 어종을 분석한 결과, 투망(CN)이 28종 3,567개체가 채집되었으며, 정치망(FN)이 15종 3,108개체, 삼중자망(TN)이 14종 577개체, 자망(GN)이 7종 107개체, 통발(MT)이 6종 59개체, 족대(KN)가 5종 95개체가 채집되어 투망이 총 및 개체수에서 가장 많이 채집된 것으로 나타났다. 어류채집도구별 다변량분산분석(MANOVA) 결과, 각 어구마다 채집되는 종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CN을 이용한 다른 채집도구들에 비해서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MT과 KN이 어류채집 시 가장 낮은 효율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사도 분석에서도 CN이 전체 채집된 어류 자료와 95% 정도의 유사도를 보였으며, MT, GN, TN, KN으로 채집된 어류는 유연관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호수생태계에서 어류조사도구별 효율성에 대한 예비연구로서 검증을 위해 향후 여러 호수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전화조사 상황에서 무선표집절차의 적용결과: 단계별 응답특성을 중심으로 (Application of Random Sampling Procedures in a Telephone Survey)

  • 조성겸;조은희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1권2호
    • /
    • pp.141-160
    • /
    • 2010
  • 본 연구는 전화조사 상황에서 무선표집절차를 적용하여 조사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2009년 10월 26일부터 11월 18일까지 무선표집방법을 이용하여 전화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화번호 수 2,454개 가운데 조사성공 637건, 조사실패 1,817건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를 조사성공률, 성공 및 실패사례의 응답자의 인구학적 특성, 응답단계별 이슈에 대한 응답특성 등을 중심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부재중을 제외한 조사 성공비율은 45.7%로 나타났다. 조사실패의 가장 큰 원인은 부재중이었으며, 조사단계가 올라가도 젊은 층의 응답률 저조는 개선되지 않았다. 응답단계에 따라 응답자의 이슈에 대한 인지도나 능동성이 달라지지는 않았으나 전반적으로 단계를 높일수록 다양한 시각의 응답이 포함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무선표집은 비접촉자의 문제를 완화할 수 있고 조사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해결책을 찾아 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후속연구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