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inity effects

검색결과 512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egg development and larval settlement of an invasive ascidian species, Herdmania momus (Savigny, 1816)

  • Park, Juun;Lee, Yun-Sik;Kim, Donghyun;Shin, Sook
    • 환경생물
    • /
    • 제38권4호
    • /
    • pp.625-633
    • /
    • 2020
  •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egg development and settlement of the ascidian Herdmania momus were investigated. Adult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the Dodu Yacht facility in Jeju Island, Korea(33°30'30.54"N, 126°27'55.46"E) in August 2018. Egg development and larval settlement were observed and recorded at 8 h intervals using a stereomicroscope, under nine temperature (10, 13, 16, 19, 22, 25, 28, 31, and 34℃), and four salinity regimens (28, 30, 32, and 34 psu). The highest hatching rate (82.8±7%) was observed at 32 psu and 25℃ and the lowest hatching rate (1.0±2%) was at 34 psu and 13℃. The developmental rate (0.222±0.0994) was highest at 28 psu and 28℃, and lowest (0.016±0.008) at 30 psu and 13℃. The highest settlement success rate (77.1±5%) was at 32psu and 25℃ and the lowest(0.1±1.0%) was at 30psu, and 13℃. The rate of settlement(0.080±0.000) was highest at 28psu and 28℃, and lowest(0.013±0.000) at 30psu and 13℃. Both hatching and settlement success rates increased as temperature increased and tended to decrease beyond an optimal temperature range. Herdmania momus preferred 30-34 psu salinity and 22-25℃ temperature. This study provides baseline information about the life history of H. momus, and important data to control the damage caused by the increase in number and distribution of this invasive ascidian.

2010년 여름 담수방류에 의한 영산강 하구의 염분 및 수온 분포 변화 (Distribution of Salinity and Temperature due to the Freshwater Discharge in the Yeongsan Estuary in the Summer of 201)

  • 박효봉;강기룡;이관홍;신현정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3호
    • /
    • pp.139-148
    • /
    • 2012
  • 하구언이 설치된 하구의 여름철 환경변화는 방류되는 담수에 의해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 하구언 담수방류에 의한 하구의 염분 및 수온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 6월 소규모 방류시와 8월의 집중방류 중 후로 3회에 걸쳐 8개 정점에서 관측한 CTD 자료를 분석하였다. 6월의 소규모 방류시 표층염분은 30~32.5 psu를 나타냈고, 수평구배는 고하도 근해에서 다른 해역에 비해 상대적인 큰 값을 보여주었다(0.25~0.32 psu/km). 그러나, 저층염분은 약 33 psu의 일정한 값을 보여 수평구배는 존재하지 않았다. 영산강 하구내 수온은 $19{\sim}21^{\circ}C$ 범위를 보이며 동서방향보다 남북방향의 구배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대규모 방류가 진행 중이었던 8월 12일의 경우 표층염분은 9~26 psu로 감소하였다. 또한, 고하도 북쪽 수로의 표층과 저층 수평구배가 각각 3.79 psu/km와 0.28 psu/km인 강한 염분전선이 형성되었다. 수온은 하구언에서 높고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고하도 북쪽수로 표층과 저층에서 각각 $-0.45^{\circ}C/km$$-0.12^{\circ}C/km$의 공간적 변화가 나타났다. 집중방류 후(3차 관측) 표층염분은 22~26 psu로 회복되었으나 고하도 주변해역에서 여전히 높은 수평구배가 나타났다. 저층염분은 26.5~27.5 psu의 범위로 전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수평구배는 크지 않았다. 하구언 가까운 정점에서 관측한 염분과 수온 시계열 자료에 의하면, 상층의 고온저염수가 일시적으로 하강하였다가 빠르게 회복하는 패턴을 보여주었는데, $13{\times}10^6$ 톤 방류시 회복속도는 약 0.4 m/hr로 나타났다. 영산강 하구는 대규모 방류 후 전반적으로 저염화되고, 여름철의 강한 태양복사에 의해 표층수온은 증가하여 하구 내 성층구조가 강화되고 수직혼합이 억제되는 환경이 형성되었다. 담수방류에 따른 염분의 공간적인 분포특성을 볼 때, 수평구배가 높은 고하도 주변해역, 고하도에서 하구언까지 염분이 낮은 내측해역, 그리고 상대적으로 높은 염분을 보이는 고하도에서 연안까지 외측해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간척지 수수 재배에서 토양염농도와 파종방법에 따른 입모 및 생육특성 (Characteristics of Emergence and Growth of Sorghum at Various Soil Salinities and Seeding Methods in Reclaimed Soil)

  • 김선;류진희;백채훈;이수환;오양렬;이정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233-240
    • /
    • 2017
  • 간척지 토양에 수수 재배기술체계 확립을 위해 토양염농도 $1.6dS\;m^{-1}$$3.2dS\;m^{-1}$에서 파종시기와 재식거리를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파종깊이별 입모율은 남풍수수, 황금찰수수 모두 3cm 깊이에 파종했을 때 높은 입모율을 나타내 수수 파종 깊이는 3 cm깊이로 파종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2. 토양수분함량별 입모율은 10~30 kpa ~ 51~70 kpa까지 차이가 없었으며, 파종 전 종자를 물에 침지하여 수분을 흡습시켜 파종한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3. 토양염농도별 입모율은 남풍찰수수는 $1.6dS\;m^{-1}$ 농도까지는 무염과 동일한 입모율을 나타냈으나, 황금찰수수는 $1.6dS\;m^{-1}$에서부터 감소가 시작되었다. 4. 포장시험에서 품종별 입모율은 남풍찰수수가 황금찰수수보다 높았고, 파종시기에 따른 초장과 $m^2$당 이삭 수는 파종시기가 빨랐을 때 크고 많은 경향이었으며, 재배토양 염농도의 증가는 초장, 지상부 건물무게, 이삭무게를 감소시켰다. 5. 수량은 토양염농도에 관계없이 6월15일, 6월25일 모두 남풍찰수수가 높았고, 토양염농도 증가에 따른 품종별 감수율은 6월15일 파종에서는 남풍찰수수가 적었으나 6월25일 파종에서는 황금찰수수가 적었다.

남해연안해역에서 분리한 유독와편모조류 Alexandrium tamarense와 Alexandrium catenella의 개체군 변화에 관한 생리.생태학적 연구 -I. 수온과 염분의 변화에 따른 성장 특성 (Ecophysiological Studies on the Population Dynamics of Two Toxic Dinoflagellates Alexandrium tamarense and Alexandrium catenella Isolated from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Growth)

  • 오석진;박지아;권형규;양한섭;임월애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3-141
    • /
    • 2012
  • 한국 남해연안해역에서 분리한 유독와편모조류 $Alexandrium$ $tamarense$$Alexandrium$ $catenella$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특성을 실내 배양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수온은 10, 15, 20, 25, $30^{\circ}C$의 5단계, 염분은 10, 15, 20, 25, 30, 35 psu의 6단계를 조합한 총 30단계의 조건에서 성장속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최대성장속도를 보이는 수온과 염분은 $A.$ $tamarense$에서 $15^{\circ}C$와 30 psu, $A.$ $catenella$에서 $25^{\circ}C$와 30 psu로 나타났다. 또한 최적성장조건은 $A.$ $tamarense$에서 $10-20^{\circ}C$, 25-35 psu이고, $A.$ $catenella$에서 $20-30^{\circ}C$, 25-35 psu였다. 얻어진 수온과 염분의 조건을 이용하여 중회귀분석에 의해 예측 모델식을 계산한 결과, $A.$ $tamarense$${\mu}=0.04+0.0193T-0.0339S-0.0005T^2+0.0021S^2+0.00073TS-0.000022T^3-0.000038S^3+0.00000086TS^2-0.0000255T^2S$이며, $A.$ $catenella$${\mu}=1.01-0.1288T-0.0778S+0.0067T^2+0.0038S^2+0.00204TS-0.0001T^3-0.000059S^3-0.0000131TS^2-0.0000392T^2S$로 나타났으며, 예측값과 실험값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수온과 염분의 현장관측 값을 이용하여 성장속도를 추정할 수 있기 때문에, $A.$ $tamarense$$A.$ $catenella$의 개체군 확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것으로 기대된다.

수온과 염분이 능성어(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난 발생 및 자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Egg Development and Larvae of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 조재권;홍창기;박종연;손맹현;박충국;박재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1-25
    • /
    • 2015
  • 본 연구는 해상가두리에서 사육한 능성어의 수정란을 가지고 난 발생 및 자어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수정란은 유백색의 구형으로 분리부성란이었고, 1개의 유구를 가지고 있었으며, 난 발생 과정 동안의 수온은 $21.5{\sim}23.5^{\circ}C$(평균 $22.0{\pm}0.05^{\circ}C$), 염분은 32.0~33.0 psu (평균 $32.5{\pm}0.05psu$) 범위였다. 각 수온조건별로 부화에 소요된 시간은 $15^{\circ}C$에서 29시간, $20^{\circ}C$에서 27시간, $25^{\circ}C$에서 24시간, $30^{\circ}C$에서 17시간, $35^{\circ}C$에서 15시간이 소요되었다. 염분별 부화율은 15 psu에서 80.0%, 20 psu에서 81.8%, 25 psu에서 86.4%, 30 psu에서 89.1%, 35 psu에서 79.1%로 25~30 psu에서 가장 부화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형율은 저염분 구간인 15 psu (20.0%)와 20 psu (18.2%)보다 35 psu에서 기형율이 20.9%로 가장 높았다. 각 발생 단계별 소요시간 (t:hour)과 수온($T:^{\circ}C$)과의 관계는 직선함수식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발생에 있어 난 발생이 진행되지 않는 생물학적 영도는 평균 $5.4^{\circ}C$로 추정되었다.

여수해만에서 분리한 유독 와편모조류, Gymnodinium catenatum (Graham)의 성장에 미치는 수온, 염분과 광 조건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the Toxic Dinoflagellate, Gymnodinium catenatum (Graham) Isolated from Yeosuhae Bay, Korea)

  • 오석진;윤양호
    • ALGAE
    • /
    • 제19권4호
    • /
    • pp.293-301
    • /
    • 2004
  • 여수해만에서 분리한 Gymnodinium catenatum의 성장에 있어서 최적 수온과 염분 조건을 파악하기 위해 수온 6단계,염분 5단계의 조합에 의한 30단계의 배치배양을 실시하여, 성장속도를 계산하였다. C. catenatum은 약 18${^{\circ}C}$ 이상의 수온과 전 염분단계에서 0.3day$^{-1}$ 이상의 성장속도를 보였으며 수온의 감소와 함께 성장속도도 감소하였다. 하지만 염분은 성장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최대성장속도(0.5day$^{-1}$)는 수온 25${^{\circ}C}$와 염분 30psu에서 얻어졌다. 따라서, 수온과 염분에 따른 성장속도를 고려할 때, C. catenatum은 이른 여름부터 가을까지 한국남해연안해역에서 서식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종의 출현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식은 $\mu$ = 0.005-T$^2$ - 0.0001164 T$^3$ - 0.063-S + 0.005-S$^2$ - 0.00007608-S$^3$ - 0.003-T-S + 0.00005308-T$^2$-S로 나타났다. 한편. 수온 18${^{\circ}C}$와 염분 30psu 조건하에서 6단계의 광도 실험을 실시한 결과, 광량에 따른 C. catenatum의 성장은 $\mu$ = 0.16 (I - 10.4)/(1+21.8), (r=0.96)의 관계식으로 Ks는 42.6$\mu$mol m$^{-2}$s$^{-1}$, I$_0$는 10.4$\mu$mol m$^{-2}$s$^{-1}$이었다. 따라서 수온, 염분과 광 조건만을 고려할 경우 C. catenatum은 고수온기 한국 남해 내만과 연안해역에서 우점종으로 출현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2008년 한국 남해안에서 분리한 유해 와편모조류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elef의 성장에 미치는 수온, 염분 그리고 광조건의 영향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Harmful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elef isolated from South Sea of Korea in 2008)

  • 오석진;김창훈;권형규;양한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15-722
    • /
    • 2010
  • The effect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the growth of the harmful red tide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elef isolated from the South Sea of Korea were examined in the laboratory. Growth was examined under the following combination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15, 20, 25 and $30^{\circ}C$, and 15, 20, 25, 30 and 35 psu at a constant irradiance of $180\;{\mu}mol/m^2/s$. No growth was observed with a temperature of $15^{\circ}C$ and a salinitiy of 15 psu. Moderate growth rates of more than 0.30 /day were obtained at $25^{\circ}C$ with salinities of 25.35 psu. These values are similar to in situ observations for this species. The maximum growth rate, 0.35 /day, was obtained at $25^{\circ}C$ and 30 psu. In light experiments, cell growth of C. polykrikoides was conducted with constant temperature ($20^{\circ}C$) and salinity (30 psu) under light photon flux densities (PFD) of 10, 25, 50, 70, 100, 150, 250 and $350\;{\mu}mol/m^2/s$. C. polykrikoides did not grow at $10\;{\mu}mol/m^2/s$. Cell growth was observed at irradiance values of $25\;{\mu}mol/m^2/s$ and above. The irradiance-growth curve was described as ${\mu}=0.30{\cdot}(I-15.27)/(I+27.22)$, (r=0.99). This suggests a compensation PFD of $15.27\;{\mu}mol/m^2/s$ and a maximum growth rate of 0.30 /day. In conclusion, C. polykrikoides prefers high salinity, temperature and irradiance in summer in Korea.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C. polykrikoides blooms and developing technology to predict blooms of this organism in the field.

음식물쓰레기의 세척이 호기성 퇴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shing of Food Wastes on Aerobic Composting)

  • 박석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6
    • /
    • 200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washing of food wastes on temperature, pH, weight and volume reduction and salinity in aerobic composting of food wastes. Weight ratios of food wastes to water in washing were 1:0(Control), 1:1 (W-1), 1:2(W-2), 1:3(W-3) and :4(W-4), respectively. Ratios of food wastes to wood chips in reactor of Control, W-1, W-2, W-3 and W-4 were 5 kg:5 1, respectively. Reactors were operated for 24 days with 1 hour stirring by 1 rpm and 2 hours aeration per day. The increase in the ratio of food wastes to water used in washing resulted in the decrease of the highest reaction temperature and the elongation of the high temperature reaction period. The lowering of the ratio of food wastes to water used in washing resulted in faster pH increase and the steady state in the weight reduction rate and the volume reduction rate of composts. The final salinities of Control, W-1, W-2, W-3 and W-4 were 0.95%, 0.73%, 0.65%, 0.57% and 0.41%, respectively.

Effects of Chaff as Bulking Materials on Aerobic Composting of Food Wastes

  • Park, Seok-Hwan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3년도 Challenges and Achievements in Environmental Health
    • /
    • pp.208-212
    • /
    • 200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haff as bulking materials on temperature, pH, weight and volume reduction and salinity in aerobic composting of food wastes. Volume ratios of food wastes to chaff in reactor Control, Ch-1, Ch-2, Ch-3 and Ch-4 were 4:0, 4:1, 4:2, 4:3 and 4:4, respectively. Reactors were operated for 24 days with 1 hour stirring by 1 rpm and 2 hours aeration per day. The lowering of the volume ratio of food wastes to chaff resulted in the ascending of the highest reaction temperature and the elongation of the high temperature reaction period. The lowering of the volume ratio of food wastes to chaff resulted in the more fast time of pH ascending. The lowering of the volume ratio of food wastes to chaff resulted in the more fast consistency in the weight and volume reduction rates. Salinities were condensed by reaction days. The final salinity of Control was 2.79%, and the final range of salinities of chaff mixtures was 2.18 - 2.37%.

  • PDF

팽화재로서의 볏짚이 음식물쓰레기의 호기성 퇴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ice Straw as Bulking Materials on Aerobic Composting of Food Wastes)

  • 박석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1-148
    • /
    • 200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ice straw as bulking materials on temperature, pH, weight and volume reduction, porosity, C/N ratio, salinity, and conductivity in aerobic composting of food wastes. Volume ratios of food wastes to rice straw in reactor control, RS-1, RS-2, RS-2 and RS-4 were 4:0, 4:1. 4:2. 4:3 and 4:4, respectively. Reactors were operated for 24days with 1 hour stirring by lrpm and 2hours aeration per day. The values of pH of food wastes and rice straw were 4.39 and 7.4, respectively. The lowering of the volume ratio of food wastes to rice straw resulted in the high reaction temperature and the fast weight and volume reduction rates. C/N ratio in control was larger than that in rice straw containing reactors. Salinity and conductivity in reactors were condensed and increased by reaction d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