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flower seed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3초

홍화 수집종의 주요 형태적 특성 (Majo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Accessions)

  • 김재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13-218
    • /
    • 2000
  • 홍화의 새로운 품종육성을 위하여 국내외에서 수집된 홍화의 외관상 나타나는 형태적인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집된 홍화의 16계통중 단간(90∼110cm)인것이 6계통, 중간(111∼130cm)인 것은 5계통, 장간(131cm이상)인것은 5계통이었으며 장간은 국외 도입계통이었다. 2. 국내 수집 종 2계통은 주당 분지수가 11∼13개의 소분지형이었으며 도입종들은 50개이상의 다분 지형이었다. 3. 잎의 형태는 장타원형이 3계통, 피침형이 10계통, 넓은 선상형은 3계통으로 피침형이 가장 많았으며 잎의 가장자리 거치형태는 파도 물결 모양의 둔거치가 7계통으로 가장 많았고 4계통은 거치가 있었으며 깊게 찢어진 심열거치는 5계통이었다. 4.꽃의 색깔은 백색 1계통, 황색 13계통, 주황색 2계통이었으며 두장화의 형태는 원뿔형이 대부분이며(14계통)편형이 2계통이었고 화두 포엽의 끝은 가시형이 11계통이었고 무가시형은 5계통이었다. 5. 종자의 형태는 원뿔형이 11계통, 타원형은 5계통으로 국내 수집계통은 모두 원뿔형이었으며 도입계통은 타원형으로 대립이었다.

  • PDF

A Simple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Highly Pure Conjugated Linoleic Acid(CLA) Synthesized from Safflower Seed Oil

  • Kim, Young R.;Lee, Young H.;Park, Kyung A.;Kim, Jeong O.;Ha, Yeong L.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5권1호
    • /
    • pp.10-14
    • /
    • 2000
  • A simple and rapid method was developed to prepare a large quantity of highly pure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chemically-synthesized from safflower seed oil (SSO). CLA-SSO(74.9% in purity) was synthesized from fresh SSO(79.9% of linoleic acid) by alkaline isomerization at 18$0^{\circ}C$. Urea(50g) and CLA-SSO (25g) were completely dissolved in ethanol (750ml) using a water bath(5$0^{\circ}C$) and followed by refluxing for 60 min. The resultant was cooled to room temperature and stored in a cold room (4$^{\circ}C$) for 24hrs. After removing the urea adduct by filtration, the filtrate was rotoevaporated under 4$0^{\circ}C$ and the residue was dissolved in hexane (200ml). The hexane extract was washed with distilled water (100ml$\times$3) and dried over sodium sulfate anhydrous. This urea treatment procedure was repeated three times. The purity of CLA recovered from the hexane extract was 95.0%.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prepare a large quantity of highly pure chemically-synthesized CLA (>0.5kg/a batch) from any plant oils containing high percentages (>70%) of linoleic acid.

  • PDF

홍화의 작물학적 특성에 의한 품종군 분류 (Classification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Collections by Agronomic Characteristics)

  • 방경환;김영국;박희운;성낙술;조준형;박상일;김홍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01-309
    • /
    • 2001
  • 홍화 수집종들의 작물학적 특성을 통하여 유전적 다양성 및 유연관계를 밝히고, 품종군을 분류하여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이용코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화일수는 $74{\sim}88$일 분포로 평균 83일이었고, 80일 이하의 조숙성을 가진 수집종은 21개 이었으며, 1차분지수와 2차분지수는 각각 $3.8{\sim}14.8$개와 $0{\sim}26.9$개의 범위로 분포하였고, 다분지형의 특성을 가진 품종은 IT201434, IT202723 등 이었으며, 생육특성 중 2차 분지수의 변이가 켰다. 수량구성 요소로서 두상화수는 $5.0{\sim}40.7$개, 두상화당 종실수는 $25{\sim}68$개, 100립중 및 주당 종실중은 각각 $2.9{\sim}5.4g,\;3{\sim}47.5g$의 범위로 분포하였고, 종실중 > 두상화수 > 두상화당 종실수 순으로 변이가 큰 경향이었다. 수집종들은 작물학적 특성에 따라 11개군으로 분류되었으며, I군은 25%, II군은 33%, III군은 14%, IV군은 8%, VI군은 3%, IX군은 2%, X군은 1%, ?군은 1%가 속하였으며, III군은 모두 국내재래종 이었다. 분류된 군중 X군은 출아소요일수가 짧고, 개화소요일수가 길었으나 수량 구성 요소인 두상화수, 주당 종실중 및 두상화당 종실수가 가장 우세한 군으로 분류되었다. 수량구성요소인 두상화수와 주당 종실중은 경직경, 제1차분지수, 제2차분지수, 엽수 및 엽장과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 PDF

유황시용(硫黃施用)이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 및 홍화종실(紅花種實)의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ulfur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yield of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 박준홍;김기재;박소득;박만;이동훈;최충렬;최정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78-385
    • /
    • 2000
  • 유황시용(硫黃施用)에 따른 토양(土壤) 및 홍화(紅花)의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유황시용량(硫黃施用量)에 따른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 및 홍화종실(紅花種實)의 수량(收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유황시용후(硫黃施用後) 홍화종실(紅花種實)의 수확기(收穫期)에 토양(土壤)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토양(土壤)의 pH와 유효인산(有效燐酸)의 함량(含量)이 감소(減少)되었다. 유황처리후(硫黃處理後) 시간(時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유황(硫黃) 처리량(處理量)이 많을수록 활성철함량(活性鐵含量)과 $SO_4^{2-}$ 함량(含量)이 증가(增加)하였다. 유황시용량(硫黃施用量)이 증가함에 따라 건물중(乾物重)이 증가하였으며, 홍화종실수량(紅花種實收量)은 증가(增加) 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유황(硫黃) 20 kg/10a시용구(施用區)에서 가장 높았다. 따라서, 홍화재배지(紅花栽培地)의 유황처리(硫黃處理)는 수량(收量) 및 품질(品質)에 효과적(效果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 측면(側面)에서 20 kg/10a 처리(處理)가 효과적(效果的)인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 PDF

백서 두개골 결손부에서 홍화씨 추출물의 골조직 재생 유도 효과 (The Effect of Safflower Seed Extract on the Bone Formation of Calvarial Bone Model in Sprague Dawley rat)

  • 김성태;전길자;임소형;조규성;김종관;최성호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0권4호
    • /
    • pp.835-852
    • /
    • 2000
  • The ultimate goal of periodontal therapy is the regeneration of periodontal tissue and repair of function. For more than a decade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to develop materials and methods of treatment to promote periodontal wound healing. Recently many efforts are concentrated on the regeneration potential of material used in oriental medicine. In some in vitro and in vivo experiments, there have been many evidences that these materials have an effect on bone regen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histologically and radiologically in Sprague-Dawley rats the effects of safflower seed extracts on the regeneration of the calvarial defects surgically produced. So in this study, the critical size defects were surgically produced in the calvarial bone of 30 Sprague-Dawley rats using the 8mm trephine bur. The safflower seed extract was applied into the defect of each rat in experimental group, whereas nothing was applied into the defect of each rat in control group. Rats were sacrificed at 2, 4, 8 weeks following operation and histomorphometric and radiodensitometric analysis were performed. 1. The newly formed bone length was $102.91{\pm}22.05$, $178.29{\pm}24.40$ at 2 week in the each control, experimental group, $130.95{\pm}39.24$, $242.62{\pm}50.33$ at 4 week and $181.53{\pm}76.35$, $240.36{\pm}22.00$ at 8 week($unit,{\mu}m$). In the 2, 4 week,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P<0.05). 2. The newly formed bone area was $2962.06{\pm}1284.48$, $10648.35{\pm}1284.48$ at 2 week, $5103.25{\pm}1375.88$, $9706.78{\pm}1481.81$ at 4 week, $8046.02{\pm}818.99$, $12057.06{\pm}740.47$ at 8 week($unit,{\mu}m^2$). In every week,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P<0.05). 3. The radiopacity was $14.26{\pm}.33$, $25.47{\pm}4.33$ at 2 week, $20.06{\pm}9.07$, $26.61{\pm}2.78$ at 4 week, $22.99{\pm}3.76$, $27.29{\pm}1.54$ at 8 week(unit, %). In the 2 week,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P<0.05).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safflower seed extract initially has an effect on the newly formed bone area, length and radiopacity when it is applied to the calvarial defect of Sprague - Dawley rat. Then. the material has an effect on newly formed bone area and length.

  • PDF

홍화씨 열수추출 분말 첨가가 국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t Water Extract Powder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on Quality of Noodle)

  • 곽동윤;김준한;최명숙;신승렬;문광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60-464
    • /
    • 2002
  • 홍화씨 별수추출 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특성은 다음과 같다. 홍화씨 열수추출 분말의 첨가에 따른 건면의 색도는 무첨가구와 추출분말을 첨가한 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무침가구와 홍화씨 분말첨가구간의 색차는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고, 홍화씨 분말의 첨가로 인해 L값이 무첨가구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 조리면에서는 열수추출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무게와 부피가 높은 상관관계($R^2$=0.9688)를 나타내면서 증가하였다. 건면의 파쇄력은 홍화씨 열수추출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고 0.5%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 조리면의 압착시험 결과는 열수추출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max. weight, strength 및 hardness가 증가하였다. 열수추출 분말을 첨가한 국수가 무첨가 국수보다 절단 강도가 높았다. 건면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중 외관은 열수추출 분말 0.3% 첨가구가 색은 열수추출 분말 0.3%와 0.5%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또한, 외관, 색, 냄새, 맛, 조직감 및 전반적 기호도에서 열수추출 분말 첨가국수와 무첨가 국수, 분말 첨가 국수간의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열수추출 분말 0.5%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PSL, TL, ESR 및 GC/MS 분석을 통한 감마선 조사된 유지종실류의 검지 특성 연구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Gamma-Irradiated Seeds by using PSL, TL, ESR and GC/MS)

  • 김규헌;손진혁;강윤정;박혜영;곽지영;이재황;박용춘;조태용;김재이;이화정;이상재;한상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0-137
    • /
    • 2013
  • 본 연구는 비허용 품목인 유지종실류 5종(달맞이꽃씨, 홍화씨, 유채씨, 해바라기씨 및 아마씨)을 선정하여 광자극발광법(PSL), 열발광법(TL), 전자스핀공명법(ESR) 및 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법(GC/MS)을 활용하여 검지 특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PSL 및 TL 측정 결과, 5종 모두 적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ESR 분석결과는 5종 모두 조사시료에서 조사유래의 특이 ESR signal이 관찰되지 않아 적용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였다. GC/MS 분석 결과, 홍화씨, 유채씨, 해바라기씨 및 아마씨의 경우에는 조사 유래의 hydrocarbon류가 검출되어 적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특히, oleic acid에서 유도된 8-heptadecene ($C_{17:1}$), 1,7-hexadecadiene ($C_{16:2}$)이 조사 여부를 확인하는 화학적 마커로 활용 가능성이 높았다. 달맞이꽃씨 경우에는 oleic acid에서 유도된 hydrocarbon류가 검출되지 않아 적용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달맞이꽃씨, 홍화씨 및 해바라기씨에서 감마리놀렌산의 주요 원료인 linoleic acid에서 유도된 1,7,10-hexadecatriene ($C_{16:3}$)과 6,9-heptadecadiene ($C_{16:3}$)이 검출되어 조사여부를 확인하는 화학적 검지 마커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유지종실류 5종에 대한 적용 가능성 및 다중분석 체계(PSL-TL-GC/MS)를 확립하였다.

녹차 종자의 일반성분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seed of Korean green tea plant(Camellia sinecis L.))

  • 나효환;백순옥;한상빈;복진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4호
    • /
    • pp.272-275
    • /
    • 1992
  • 한국산 녹차 종자(Camellia sinecis L.)에 함유된 단백질, 탄수화물, 조지방, 조회분 함량은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씨나 잇꽃종실(Carthamus tinctorius L.) 등과 대등하였으나, 조사포닌은 12.2%로 참깨(0.29%)나 땅콩(0.63%)보다 월등히 높게 함유하였고, oleic acid를 비롯한 불포화 지방산 조성은 82%였다. Tocopherol은 ${\alpha}-form$$22\;{\mu}g/g$ 보였을 뿐 일반종자보다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함유하였다.

  • PDF

다른 광원 조사로 재배된 홍화 새싹채소의 영양성분 평가 (Nutritional Evaluation of Leafy Safflower Sprouts Cultivated under Different-colored Lights)

  • 김태수;장문식;주영운;박춘근;박소이;강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24-227
    • /
    • 2012
  • 종자 새싹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세계적으로 증가하면서 영양학적으로 가능성 있는 새싹 잎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흰색(WRM), 청색(BRM) 및 적색(RRM)의 광원에 따른 홍화새싹 성분과 비타민 C 함량을 연구하였다. 대략적인 수분, 회분 및 총 지방의 함량은 BRM 또는 WRM 보다는 RRM 광원으로 재배한 홍화 새싹에서, 조단백질 함량은 BRM이나 RRM 보다는 WRM으로 재배한 홍화 새싹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클로로필 함량은 WRM이나 BRM 보다는 RRM에서 재배한 홍화새싹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비타민 C 함량은 WRM, BRM, 그리고 RRM에서 재배한 홍화새싹에서 각각 157.57, 164.64, 그리고 158.10 mg%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광원에서 홍화 새싹을 재배하는 것이 홍화 새싹의 영양학적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홍화 개화후 강우 시기가 종실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ainfall Time after Flowering on Grain Yield and Quality in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 박준홍;박소득;김세종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40-343
    • /
    • 2006
  • 개화후 강우 시기가 홍화의 생육과 종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화후 강우 시기에 따른 지상부 및 꽃 봉오리 병해 발생 정도는 각각 3.3, 1로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등숙 비율은 주경은 개화후 $1{\sim}5$일 강우시 37.4%, 1차 분지는 개화후 $6{\sim}10$일 강우시 63.0%로서 가장 낮았다. 10a당 수량은 무강우의 327kg/10a에 비해 개화후 $6{\sim}10$일과 개화후 $11{\sim}15$일 강우시 $282{\sim}281kg/10a$으로서 각각 14% 감소되었다. 종실의 색도(명도=L)는 개화후 $21{\sim}25$일 강우시 73.5, $26{\sim}30$일 강우시 69.9로서 무강우 79.3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때 수확기 강우에 의한 종실의 품질 손실 방지를 위해서는 개화후 25일까지는 수확을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