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3초

난소적출 흰쥐에서 홍화(Carthamus tinctorius L.)씨 분말이 골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Powder on Bone Resorption in Ovariectomized Rats)

  • 배춘식;박창현;장병준;김휘율;조익현;엄창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31권2호
    • /
    • pp.109-116
    • /
    • 2001
  • 홍화씨는 예로부터 국내에서 재배되어 한방 및 민간에서 특히 뼈에 우수한 작용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 오랫동안 복용되어 왔다. 최근 홍화씨를 성분분석한 바에 의하면 칼륨과 마그녜슘, 칼슘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뼈의 발달과 유지에 도움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확실한 실험적 자료가 제시된 것은 별로 없다. 이에 저자들은 홍화씨 분말이 골다공증의 예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체중 230g의 12주령의 Sprague-Dawley Rats를 사용하였으며, 양쪽난소를 제거한 후 홍화씨 분말을 매일 0.3g씩 복용시키면서 1, 3, 5 및 7주 후에 경골을 채취하여 관찰하였다. 채취된 조직은 통상적인 주사전자현미경 시료제작법으로 고정과정을 거친 후 10% 질산으로 12시간 탈회하여 뼈의 단면을 노출시키고 탈수, 건조 및 금도금 과정을 거쳐 주사전자현미경(Hitachi, S-450)으로 관찰하여 촬영하였다. 관찰결과 난소적출 후 골소실이 일어나기 시작하여 7주 후에 대조군은 골수강에서 피질골까지의 두께의 감소와 골수강의 확장이 심하였으나, 홍화씨 분말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1주에서 7주까지 거의 같은 소견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홍화씨 분말은 여성호르몬 결핍으로 인한 골다공증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홍화 (Carthamus tinctorius L.)씨 분말의 골다공증 치료효과 (Therapeutic Effects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Powder on Osteoporosis)

  • 배춘식;박창현;조형진;한혜정;강성수;최석화;엄창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3호
    • /
    • pp.285-290
    • /
    • 2002
  • 홍화씨는 한방 및 민간에서 뼈에 우수한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오랫동안 복용되어 왔다. 최근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면서 골다공증 문제는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저자들이 기존에 실시한 실험결과에 의하면 홍화씨 분말은 난소를 적출한 rat에서 골다공증의 예방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골다공증이 유발된 rat에서 홍화씨 분말이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험적 자료가 제시된 것은 별로 없다. 이에 저자들은 홍화씨 분말이 골다공증의 치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체중 230 g의 12주령의 Sprague-Dawley Rats를 사용하였으며, 양쪽 난소제거 후 7주부터 홍화씨 분말을 매일 0.3 g씩 복용시키면서 1, 3 및 5주 후에 경골을 채취하여 관찰하였다. 채취된 조직은 통상적인 주사전자현미경 시료제작법으로 고겅과정을 거친 후 10% 질산으로 12시간 탈회하여 뼈의 단면을 노출시키고 탈수, 건조 및 금도금 과정을 거쳐 주사전자현미경(Hitachi, S-450)으로 관찰하여 촬영하였다. 관찰결과 대조군은 골수강에서 피질골까지의 두께의 감소와 골수강의 확장이 심하였으나, 홍화씨 분말을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1주에서 5주까지 거의 같은 소견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홍화씨 분말은 여성호르몬 결핍으로 인한 골다공증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홍화꽃 및 홍화씨의 휘발성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Flower and Seed of Safflower)

  • 최성희;임성임;장은영;조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96-201
    • /
    • 2004
  • 식품재료 및 약리 효과로 인한 약용재료로서 사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홍화꽃 및 홍화씨의 휘발성 성분을 분석 동정하였다. 그 결과, 홍화꽃의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는 테르펜류인 p-cymene, limonene, ${\alpha}-phellandrene$, ${\gamma}-terpinene$, camphor, 4-terpineol, selinene, ${\beta}-caryophyllene$, torreyol, ${\beta}-eudesmol$ 등이 검출되었다. 또한, phenylacetaldehyde, 2-phenylethylalcohol, 4-terpineol, ${\beta}-caryophyllene$, ${\gamma}-terpinene$, ${\alpha}-phellandrene$ 등 통상의 꽃향기 성분과 알데히드류인 3-methylbutanal, 2-methylbutanal, pentanal, hexanal, octanal, nonanal 및 decanal, 알코올류인 2-pentanol 및 heptanol, 케톤류의 3-penten-2-one, 2-heptanone, 2,6,6-trimethyl cyclohexanone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 그 이외 산류인 acetic acid, heptanoic acid, 2-methylbutanoic acid 및 rancid-cheese odor를 띄는 3-methylbutanoic acid(isovaleric acid) 등의 생성이 확인되었다. 특히, 홍화꽃에서의 이들 산류의 생성은 다른 꽃류에 비해 종류나 함량이 많았으며, 홍화꽃이 다른 꽃에 비해 좋지 않은 냄새를 내는 특징적인 요인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홍화씨의 경우는 hexanal, (E)-2-heptenal, (E,Z)-2,4-decadienal 및 (E,E)-2,4-decadienal등의 알데히드류가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 동정되었다. 일반성분 중 전체 함량의 약 30%의 지질을 함유하는 홍화씨는, 방향성과 관계된 torreyol, ${\beta}-eudesmol$ 등의 terpene alcohol류, 달콤한 향과 관계가 있는 3-methylbutanal 및 2-methylbutanal과 함께 산류의 생성도 있었으나, 지방산 산화 분해생성물인 (E,Z)-2,4-decadienal 및 (E,E)-2,4-decadienal이 전체 휘발성 함량의 약 75%를 차지하였다.

Hyphenated-HPLC 기술을 활용한 홍화씨의 항산화 성분 분석 (The Rapid Detection of Antioxidants from Safflower Seeds (Carthamus tinctorius L.) Using Hyphenated-HPLC Techniques)

  • 김수진;김상민;강석우;엄병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14-41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세 종류의 hyphenated-HPLC 기술을 활용하여 홍화씨로부터 3종의 항산화 화합물의 구조를 규명하였다. 우선 온라인 항산화 분석 장치를 통하여 홍화씨 추출물로부터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가지는 성분을 검색 및 항산화 정량을 수행한 후, 단일 물질로 분리되고,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세 가지 화합물에 대해서 구조 규명을 시도하였다. 우선 LC-NMR을 이용하여 stop-flow mode에서 이들 세 가지 화합물에 대해 $^1H$-NMR spectrum데이터를 얻은 결과 각 화합물은 8'-hydroxyarctigenin-4'-O-$\beta$-D-glucoside, N-(p-coumaroyl) serotonin, N-feruloylserotonin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LC-ESI-MS를 활용하여 각 화합물에 대한 분자량에 대한 정보를 얻어 LC-NMR에서 규명된 화합물이 정확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탐색방법인 여러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이나 preparative HPLC 등을 이용하여 활성물질을 분리하고 off-line NMR, MS 등을 활용하여 구조를 규명하는 방법에 비하여, hyphenated-HPLC 방법을 활용하여 혼합물 상태인 추출물을 분리하지 않고 신속하게 단일 성분의 구조를 규명하고, 또한 각각의 성분에 대한 항산화도를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는 천연물 또는 식품 분야의 연구에 있어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을 분석하고 그 구조를 신속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항산화 성분 탐색 및 변이 연구에 매우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홍화 밀식 및 적심이 꽃잎과 종실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Planting Density and Pinching on Yield of Petal and Grain in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 김세종;박준홍;김재철;박소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255-258
    • /
    • 2006
  • 홍화 재배시 종실의 수량 감소가 적으면서 꽃잎 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밀식과 적심을 통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개화기는 관행이 6월 23일인데 비해 적심 처리구는 2일 늦은 6월 25일에 개화하였으며 밀식처리구는 같았다. 유효분지수는 2열 밀식재배와 3열 밀식재배가 적심이나 대조구에 비해 많았으며, 유효화두수는 3열밀식재배에서 270개/$m^2$로 가장 많았으나 적심은 $186{\sim}223$개/로 적었다. 종실 수량은 대조구 10a당 220 kg에 비해 2열밀식재배는 231 kg으로 5% 증수 되었다. 채화 화두수는 3열밀식이 가장 많았으나 건조된 꽃잎 수량은 2열밀식과 3열밀식이 10a당 25.4 kg, 26.9 kg으로 대조구의 22.0 kg에 비해 각각 15%, 22% 증수되었다.

한국산 중국산 홍화자의 Nrf-2 매개 항산화 효과 (Nrf-2 Mediated Antioxidative Effect of Korean and Chinese Safflower Seeds)

  • 신현종;진재호;이광규;이창현;이상룡;하기태;주명수;정한솔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45-751
    • /
    • 2013
  •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s have been used in Korea and China for promoting bone formation and protec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Nrf-2 mediated anti-oxidative effects of Korean and Chinese safflower seeds.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safflower seeds were treated to RAW 264.7 cells. Nrf-2 transcriptional activity was measured by reporter gene assay and western blot analysis. Semi-quantitive RT-PCR analysis was adopted to measure Nrf-2 dependent gene expressions. Water extracts of safflower seeds have strongly induced the activation of Nrf-2 transcription than ethanol extracts. Especially, water extracts of Korean safflower seeds has more strong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nuclear Nrf-2. Water extracts of Korea and China safflower seeds have also increased the expression of Nrf-2-dependent genes such as GCLC, NQO-1 and HO-1 in RAW 264.7 cells. However, all kinds of safflower seeds extracts did not increase intracellular ROS produc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antioxidant effects of safflower seeds are not related with ROS production, rather it is mediated by the direct activation of Nrf-2.

고콜레스테롤식에 홍화박의 첨가가 난소절제 흰쥐의 장 생리기능과 분변 Short-Chain Fatty Acid 함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efatted Safflower Seed Powder on Intestinal Physiology and Fecal Short-Chain Fatty Acids in Overiectomized Female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 최영선;조성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28-534
    • /
    • 2001
  •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role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in preventing and treating osteroporosis recently. Although numerous studies were done on effects of safflower oil, no attention was given to the role of dietary fiber of safflower seeds.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physiological significance of defatted safflower seed as a source of dietary fiber. Sprague Dawley female rats were assigned one of 5 groups: ovariectomized control (Ovx-control) group and ovariectomized rats 15% (Ovx-ss15) and 30% defatted safflower seed (Ovx-SS30), sham-operated (Sham) group and a normal group. Cholesterol was supplemented to all diets at 0.5% except the normal diet. Ovariectomized rats were pair-fed isocalorically to the Sham group. Ovariectomy caused heavier body weight, but feeding 30% safflower seed brought back to the level of Sham group. Activities of disaccharidases of jejunal mucosa were significantly lowered in Ovx-control group compared to those of Sham, and supplementation of safflower seed tended to increase the activities. Fecal weight of Ovx-SS15 and Ovx-SS30 were almost twice as those of Ovx-control Sham. Propionic acid and butyric acid concentrations per g of feces of Ovx-SS15 and daily excretion of these fatty acid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to those of Sham and Ovx-control. In concentration defatted safflower seed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fecal bulk and short chain fatty acid production in large intestine of rats.

  • PDF

천연염료를 이용한 한지염색에 관한 연구(I) -황색계열의 색상을 중심으로- (Studies on the Dyeing of Hanji by Natural Dye-stuffs(I) -With a Focus on the Color Tone of Yellow Color Series-)

  • 전철;진영문
    • 펄프종이기술
    • /
    • 제32권3호
    • /
    • pp.48-56
    • /
    • 2000
  • Yellow dye-stuffs in natural plant were extracted from a gardenia, saffron, safflower, amur tree and pagoda. And then they were used to color Korean handmade paper(Hanji) on using a mordant. The results of the degree of discoloration are as follows. 1. As for a gardenia(Gardenia jasminodes Ellis for. grandiflora Makino), the effects of coloring were outstanding in the acid area. But for the preservation, it might be desirable that used a lye in a dye-stuff obtained at $40{\pm}5^{\circ}C$. 2. As for saffron(Curcuma longa L.), when used alum as a mordant, it was colored to a medium yellow color with green color. But easily discolorated and was not desirable. And, it didn't fit in a dye-stuff of Hanji. 3. For safflower(Carthamus tinctorius L.), when pH was in the low acid it was colored to the cleaner yellow color. It was the distinction of discoloration that the degree of brightness's increase was low. 4. For amur cork-tree(Phellodendron amurense Rupr.), the effects of yellow coloring were great in the areas of acidity and alkali. But, when used alum, the degree of the discoloration was high and was not effective. 5. For pagoda tree(Styphnolobium Japonica L.), using a calcium hydroxide as a mordant, enabled the more than average yellow to be gained. The degree of discoloration was good.

  • PDF

Changes in Flavonoid Contents of Safflower Leaf during Growth and Processing

  • Lee, Jun-Young;Park, Kyeng-Seok;Choi, Sang-W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1-5
    • /
    • 2005
  • Eight flavonoids, apigenin-6-C-β-D-glucopyranosy l-8-C-β-D-glucopyranoside (AGG), quercetin 7-O-β-D­glucopyranoside (QG), luteolin 7-O-β-D-glucopyranoside (LG), quercetin 7-O-(6'-O-acetyl)-β-D-glucopyranoside (QAG), luteolin 7-O-(6'-O-acetyl)-β-D-glucopyranoside(LAG), quercetin (Q), luteolin (L) and acacetin 7-O-β­D-glucuronide (AG) were determined by HPLC in the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leaf during growth and processing. During growth, levels of five flavonoid glycosides (AGG, QG, LG, QAG, & LAG) in the leaf increased progressively at over time according to growth stages, reached a maximum before June 11, and then decreased sharply, while those of three flavonoid aglycones (Q, L, & AG) increased greatly at the early stage of growth, reached a peak before May 28, and then decreased rapidly. During the steaming process, contents of five flavonoid glycosides increased rapidly with increased steaming time, reached a maximum after 5 min of steaming, and then decreased, whereas those of flavonoid aglycones except for AG decreased sharply with increased steaming time. During the roasting process, contents of three flavonoid glycosides decreased rapidly with increased roasting time, whereas those of two acetylflavonoid glycosides (QAG & LAG) and three flavonoid aglycones increased progressively with increased roasting time, reached a maximum after 3 min of roasting, and then de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propriate steamed and roasted safflower leaves are a rich source of flavonoids, and may be a good source of bioactive components as a functional leaf tea.

한국산과 중국산 홍화꽃의 화학적 성분조성비교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Korean and Chinese Safflower Flower(Carthamus tinctorius L.))

  • 박금순;박어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03-608
    • /
    • 2003
  • 홍화꽃이 식품재료적 가치를 높이는 기초적 연구의 일환으로 한국산과 중국산의 화학적성분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홍화꽃의 일반성분은 한국산 홍화꽃의 조단백질, 조지 방, 조회분, 조섬유, 무질소물의 함량이 14.70%, 3.10%, 6.90%, 18.20%, 57.10% 이었으며 중국산 홍화꽃은 12.60%, 2.70%, 5.80%, 16.40%, 62.50%로 나타나 무기질소물을 제외하고 한국산 홍화꽃이 중국산 홍화꽃 보다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은 한국산과 중국산 홍화꽃에서 fructose, glucose, sucrose가 대부분이었다. 폴레페놀 함량은 수용성 추출물이 한국산 13.85%, 중국산이 9.39%로 한국산 홍화꽃이 많이 함유되었으며 또한 메탄올 추출물에서도 한국산 홍화꽃이 9.70%, 중국산 홍화꽃이 7.04%로 한국산 홍화꽃이 중국산 홍화꽃보다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함량은 한국산 홍화꽃은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이 6.80%, 93.20% 중국산 홍화꽃은 16.0%, 84.0%로 한국산이 월등히 높은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나타냈다. 한국산과 중국산 홍화꽃 모두에서 linoleic acid 와 oleic acid 가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중 필수아미노산은 한국산 홍화꽃이 46.67% 중국산 홍화꽃이 36.79%로 한국산 홍화꽃이 높게 나타났으며 모든 필수아미노산 조성이 한국산 홍화꽃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비필수아미노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한국산 홍화꽃이 65.17% 중국산 홍화꽃이 54.49%로 한국산 홍화꽃이 차지하는 비율이 필수아미노산과 더불어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은 한국산 홍화꽃이 중국산 홍화꽃에 비해 Ca, Cu, Fe, Mn이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에 A1, Ba, Mg, K, Na, Zn, Sr, P은 중국산 홍화꽃에서 더 많은 함량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