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RP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1초

비만도에 따른 성인 여성의 혈청 인슐린, 렙틴, 아디포넥틴 및 hs-CRP 농도 비교와 상호 관련성 (Comparison of Serum Insulin, Leptin, Adiponectin and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Level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and their Associations in Adult Women)

  • 이미영;김정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26-135
    • /
    • 2011
  • Obesity is characterized by increased storage of fatty acids in an adipose tissue and closely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insulin resistance and cardiovascular diseases (CVD) through secretion of adipokines.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serum insulin, leptin, adiponectin and 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levels according to body masss index (BMI) in Korean adult women aged 19 to 50. In addition, we examined the association of BMI, serum lipids and Homa-IR with serum adiponectin, leptin and hs-CRP level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by their BMI, normal weight (BMI ${\leq}$ 22.9, n = 30), overweight (23.0 ${\leq}$ BMI ${\leq}$ 24.9, n = 71) and obese group (25.0 ${\leq}$ BMI, n = 59). Serum levels of total-cholesterol, TG, and LDL-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bese group than in normal weight group. LDL/HDL ratio and AI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bese group than in normal or overweight group. Fasting serum levels of glucose and insulin and Homa-IR as a marker of insulin resista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bese group than in overweight group. Serum lepti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obese group while serum adiponectin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obese group compared to other two groups. hs-CR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obese group. Correlation data show that serum adiponectin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rum HDLcholesterol level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MI, WC, TG, LDL-cholesterol, Homa-IR, hs-CRP and leptin. In addition, serum leptin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WC, glucose, insulin, Homa-IR and hs-CRP. These results might imply that the regulation of key adipokines such as adiponectin might be a strategy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associated diseases such as diabetes and CVD.

한국 성인의 치주질환과 고감도 C-반응단백질 농도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level of high-sensitivity C reactive protein in Korean adults)

  • 손소현;이은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19-929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high-sensitivity C reactive protein (hs-CRP) level.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PSS 18.0 for Windows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576 subjects aged ≥19 years.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hs-CRP level, chi-squared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ults: Consequent to correcting all the disturbance variables, the moderate risk of hs-CRP was 1.39 times higher in patients with periodontal disease than in those without (OR=1.39; 95% CI:1.14-1.69), whereas the high risk of hs-CRP was 1.10 time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R=1.10; 95% CI:0.79-1.53). Conclusions: Periodontal disease contributes to raising the risk of systemic inflammation and hs-CRP from low to moderate. Periodontal disease is associated with an early rise in hs-CRP.

협심증 환자에서 관동맥중재술에 따른 C-reactive Protein의 변화 및 임상경과 (Change of Serum Levels of C-Reactive Protein After Coronary Angioplasty and Its Effects on Clinical Restenosis)

  • 박종선;홍그루;이채훈;신동구;김영조;심봉섭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8권2호
    • /
    • pp.215-225
    • /
    • 2001
  • 동맥경화증의 생성 및 진행과정의 병태생리에 있어서 염증이 중요한 기전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혈중에 이러한 염증반응을 나타내는 표식자들 중의 하나인 혈중 C-reactive protein(CRP) 농도가 동맥경화증의 중증도와 관계 있으며 심혈관사고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는 협심증 환자에서 관동맥중재술에 의한 혈중 CRP의 변화가 단기간 임상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1999년 12월부터 2000년 1월까지 협심증으로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순환기내과에 입원하여 관상동맥확장술을 시행받은 3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는 내원직후 임상적 병력을 청취하였고 혈중 troponin-T, CRP를 측정하였다. 관동맥확장술 12시간,24시간,48시간 그리고 72시간 후에 혈중 CRP를 측정하였으며, 24시간 후에 혈중 troponin-T를 측정 하였다. 퇴원 6개월 후에 외래에서 환자의 임상증상 유무를 측정하였다. 1) 단일혈관질환이 $0.33{\pm}0.20$ mg/dL, 2혈관질환이 $0.36{\pm}0.14$ mg/dL, 그리고 3혈관질환이 $0.56{\pm}0.38$ mg/dL로 병변 혈관수가 증가할수록 CRP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2) 내원시 안정형 협심증 환자의 CRP가 $0.30{\pm}0.01$ mg/dL,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가 $0.46{\pm}0.28$ mg/dL로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3) 시술전 CRP는 $0.38{\pm}0.20$ mg/dL 였으며 시술 후 12시간 $0.56{\pm}0.36$ mg/dL(p<0.05), 24시간 $0.91{\pm}0.66$ mg/dL(p<0.01), 48시간 $0.87{\pm}0.62$ mg/dL(p<0.01), 72시간 $0.63{\pm}0.41$ mg/dL(p<0.01)로 시술전에 비해 시술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시술 24시간 후에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환의 양상은 안정형 협심증 보다 불안정형 협심증에서 증가량이 많고 상승기간이 오래 유지되었으며, 시술 후 24시간에 절대적인 증가량은 안정형 협심증이 $0.32{\pm}0.31$ mg/dL, 불안정형 협심증이 $0.79{\pm}0.73$ mg/dL로 불안정형 협심증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4) 시술 후 troponin-T의 변화량과 CRP의 변화량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r=0.135. p=0.04). 5) 초기 CRP가 0.6미만인 군 32명 중 4명(13%)에서 재협착을 보였으며, 0.06이상인 군 4명 중 2명에서 재협착을 보였다(50%, p<0.05). 시술후 24시간 CRP가 1.0미만인 군 25명 중 3명(12%)에서 재협착을 보였으며, 1.0이상인 군 11명 중 3명(27%)에서 재협착을 보였다(p=0.257). 안정형 협심증 환자에서는 초기 CRP가 0.6이상인 환자가 없어 통계적인 분석을 하지 못하였고,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에서 초기 CRP가 0.6미만인 군 13예 중 1예(8%)에서 재협착을 보였고 0.6이상인 환자 4명 중 2명(50%) 에서 재협착을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 불안정형 협심증 환자에서 안정형 협심증보다 증가된 염증반응을 보이며, 초기에 증가된 염증반응은 관동맥확장술 후 재협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영양막세포에서의 C-reactive protein 조절 microRNA-150과 microRNA-424 발현 분석 (Expressions of MicroRNA-150 and MicroRNA-424 Targeted to C-reactive Protein in Trophoblast Cell Line)

  • 김희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375-382
    • /
    • 2019
  • 임신 초기 염증으로 인한 영양막세포의 기능 이상은 C-reactive protein (CRP)의 발현을 증가시켜 산모와 태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조산 및 자간전증 등을 유발한다. 그러나, CRP 발현 조절과 관련된 생체표지자 발굴 및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염증이 유발된 영양막세포에서 증가된 CRP 발현과 관련된 miRNA를 발굴 및 그 발현을 분석함으로써, miRNA를 통해 영양막세포 염증 조절 기전에 관여하는 생체표지자를 밝히고자 한다. miRNA 데이터베이스(mirna, TargetScan, MicroCosm)에서 공통적으로 CRP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것으로 예측되는 miR-7, miR-150, miR-186, 그리고 miR-424를 선별하여 HTR-8/SVneo에 LPS (20ng/mL)를 처리하여 in vitro 상에서 염증 반응을 유도하였다. 각각의 miRNAs의 발현을 qRT-PCR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LPS 처리된 영양막세포에서 CRP의 발현은 유의성 있게 증가되었다(p<0.001). miR-150와 miR-424는 발현이 유의성 있게 감소됨을 확인하였다(p<0.001). 따라서, 염증이 유도된 영양막세포에서의 CRP 발현을 조절하는 기전에 miR-150와 miR-424가 관여하는 것을 의미하며, 향후 염증성 산과질환의 산전 진단에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Expression of Escherichia coli DcuS-R Two-Component Regulatory System is Regulated by the Secondary Internal Promoter Which is Activated by CRP-cAMP

  • Oyamada, Tomoya;Yokoyama, Katsushi;Morinaga, Michiko;Suzuki, Masashi;Makino, Kozo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3호
    • /
    • pp.234-240
    • /
    • 2007
  • The DcuS-R two-component system of Escherichia coli senses $C_{4}-dicarboxylates$ of the medium and regulates expression of the genes related to utilization of them. It is known that phospho-DcuR induces expression of genes such as the dcuB-fumB operon, the frdABCD operon, and the dctA gene. We analyzed promoters of the dcuS-R operon to elucidate the transcriptional regulation system. We found a novel internal promoter within the dcuS gene that is regulated by the transcriptional regulator, CRP-cAMP, in both aerobic and anaerobic conditions.

The Association between Food Group Consumption Patterns and Early Metabolic Syndrome Risk in Non-Diabetic Healthy People

  • Yeo, Rimkyo;Yoon, So Ra;Kim, Oh Yoen
    • Clinical Nutrition Research
    • /
    • 제6권3호
    • /
    • pp.172-182
    • /
    • 2017
  •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habits/food group consumption patterns and early risk of metabolic syndrome (MetS), a main cause for metabolic disease. Study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health promotion center in Dong-A University Hospital and public advertisement. Study subjects (n = 243, 21-80 year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Super-healthy (MetS risk factor [MetS RF] = 0, n = 111), MetS-risk carriers (MetS RF = 1-2, n = 96), and MetS (MetS $RF{\geq}3$, n = 27). Higher regularity in dietary habits (breakfast-everyday, regular eating time, non-frequent overeating, and non-frequent eating-out) was observed in the Super-healthy group than in the MetS-risk carriers, and particularly in the MetS subj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group consumption patterns and MetS-risk related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with adjustment for confounding factors. Fruit consump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DL-cholesterol, and tended to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waist circumference, triglyceride, LDL-cholesterol, and insulin resistance (IR). The consumption of low-fat meats and fish, and vegetable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hs-CRP. Specifically, the consumption of seafoods belonging to the low-fat fish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asting glucose, hs-CRP, and interleukin (IL)-6. Anchovy/dried white baits consump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asting insulin and IR. Green-yellow vegetables consump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asting insulin, IR, and hs-CRP. On the other hand, sugars and fast-food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LDL-cholesterol. Additionally, fast-foods consump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s-CRP and IL-6 levels. In conclusion, dietary habits/food group consumption pattern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MetS-risk related parameters in Koreans. It may suggest useful information to educate people to properly select healthy foods for early prevention of MetS.

단일 기관에서 진단받은 가와사끼병 환아 1,000례의 통계학적 분석 (Statistical Analysis of 1,000 Cases of Kawasaki Disease Patients Diagnosed at a Single Institute)

  • 황대환;신경미;최경민;최재영;설준희;김동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4호
    • /
    • pp.416-424
    • /
    • 2005
  • 목 적 : 가와사끼병 환아의 특성과 관상동맥 이상, IVIG에 대한 비반응 및 병의 재발 등에 대해 관련된 인자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0년 9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본원에 내원, 가와사끼 병으로 진단받고 IVIG을 투여한 1,00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내원시 관상동맥 확장군과 관상동맥 정상군을 비교하였고 IVIG 1회 투여에 대한 반응군과 비반응군 및 재발군과 비재발군의 비교도 시행하여 두 군간에 의미있는 요인을 찾아보려고 하였으며 재발된 환아를 대상으로 처음 발병시와 두번째 발병시의 각종 자료를 분석하였고 두 군간에 관상동맥 이상이 생기는 정도도 비교해 보았다. 또한 첫 IVIG을 투여하기 전까지의 발열기간과 상관비례하는 인자를 알아보려 하였다. 결 과 : 1) 관상동맥 확장은 16%에서 관찰되었으며 중등도 이상(${\geq}5mm$)의 관상동맥 확장 및 중증(${\geq}8mm$) 관상동맥 확장의 빈도는 각각 2%와 0.5%로 나타났다. 또한 입원당시 관상동맥 이상의 빈도는 1년간 추적관찰 했을 때와도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2) 첫 IVIG을 투여하기 전까지의 발열기간이 길수록(7일 이상), 첫 IVIG 투여 종료 후부터 최종적으로 열이 소실될 때까지의 기간이 길수록, 남아일수록, 내원 당시 검사상 Hgb(10 g/dL이하), Hct(30% 이하)수치가 낮을수록, WBC 수치($12,000/mm^3$ 이상)및 과립구 분율이 높을수록, CRP 값이 높을수록(10 mg/dL 이상), Harada's score가 높을수록(4점 이상) 관상동맥 이상군과 관련이 있었다. 3) IVIG 한번 투여에 반응이 없었던 경우는 8%였으며 내원당시 검사수치상 WBC 수치가 높을수록($12,000/mm^3$ 이상), 과립구 분율이 높을수록, CRP 수치가 높을수록(10 mg/dL 이상), SGPT가 높을수록, Harada's score가 높을수록(4점 이상), 농뇨를 보일수록 1회의 IVIG 투여에 반응이 없었다. IVIG을 두 번이상 투여한 군에서는 한번 투여에 반응이 있었던 군보다 향후 재발율이 더 높았다. 또한 중증도 이상의 관상동맥 확장의 경우는 두 번 이상 투여하게 된 군에서 의미있게 높았다. 4) 재발은 6%에서 나타났고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는 없었으며 재발한 환아들에서 관상동맥 이상의 빈도 또한 별 차이가 없었다. 5) 재발된 환아들의 처음 발병시와 두 번째 발병시의 비교에서, 두 번째 발병시에 WBC 수치와 CRP 값은 첫 번째 발병시 보다 낮았고 첫 IVIG 투여 전까지의 발열기간도 낮았으나 두 군간에 관상동맥 이상이 생기는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6) 첫 IVIG을 투여하기 전까지의 발열기간과의 상관 인자 조사에서는, WBC 수치와 CRP 값, Harada's score의 경우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Hgb의 경우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내원 당시 높은 WBC 수치와 CRP 값 및 Harada'score는 관상동맥 병변 발생 및 IVIG 투여에 대한 비반응과 관련이 있으며 또한 첫 IVIG을 투여하기 전까지의 발열기간과도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되도록이면 조기에 발견하여 IVIG을 투여하는 것이 비록 비반응률을 낮추지는 못하더라도 관상동맥 병변 발생의 위험률은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IVIG 비반응군에서는 차후 재발률이 더 높았으며 중등도 이상의 관상동맥 확장이 더 많이 발견되었으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한 집중적인 치료와 관리가 도입될 필요가 있다.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기타 지표는 찾아볼 수 없었으며 따라서 보호자의 교육을 통한 조기 발견 및 치료에 지속적으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고 재발한 환아들에서 관상동맥 이상의 빈도가 증가하지 않은 점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이러한 노력의 성과로 여겨진다.

고속도로 사고잦은 지점 분석방법 연구 (An Analysis of the Hazardous Highway Segments Using Continuous Risk Profile Method)

  • 이수일;유준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80-185
    • /
    • 2010
  • We have to develop more correct and systematic way to choose Hazardous Highway Segments. In this research, we applied CRP(Continuous Risk Profile) technique which developed by UC Berkeley Traffic Safety Center in year of 2007, and can analyze yearly dangerous level tendency of continuity in the route of main road that is under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Caltrans). We changed standard of CRP to suit in Korean circumstance with consideration in radius of curve and traffic volume. For the verification by actual accident data, we embodiment the CRP by using the data from total of 587 case of accident in latest 10 years in Gyeong-Bu Highways, the amount of 56km. Finally, the effectiveness of technique in this research has been verified by obtained same result with current method for Hazardous Highway Segments. In addition, when calculating the Hazardous Highway Segments with technique that presented in this research we obtained following statements. First, identified dangerous level of continuity in the route by using CRP. Second, Accurate of Actual Hazardous Highway Segments selection has been developed by using last 10 year's data and profile making which provide simplicity analyze of Tendency. Third, after reforming the way of selection, effective range has been wider than former selection and it gives advantage for the policy side.

황련에서 분리된 단백질성분의 항진균효과 (Anticandidal Activity of the Protein Substance from Coptidis Rhizoma)

  • 김현경;이주희;심진기;한용문
    • 약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23-329
    • /
    • 2005
  • Antimicrobial peptides are evolutionary ancient weapons for animal and plant species to depend themselves against infectious microb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if an antimicrobial peptide was produced from Coptidis Rhizoma. For the determination, protein substance from the medicinal plant was isolated by various preparations. Among the preparations, the protein portion dissolved in phosphate-buffered saline solution (CRP-DS) that contained the most amount of protein $(90\%)$ resulted in maximal inhibition of Candida albicans which causes local and systemic infections. Analyses by gel-electrophoresis and gel-permeation chromatography showed the CRP-DS formed a single band of approximately 11.8 KDa as molecular size. Antifungal activity of the CRP-DS was almost equivalent to antifungal activity by fluconazole, resulting in MIC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of approximately $50{\mu}g/ml$. The antifungal activity was a dose-dependent. The antifungal activity appeared to be inactivated by heat-treatment and ionic strength, respectively. In a murine model, the CRP-DS enhanced resistance of mice against disseminated candidiasis. The HPLC analysis demonstrated maximum $4\%$ of berberine as residual content in the CRP-DS preparation resulted in no influence on the antifungal activity. In addition, protein portion isolated from Phellodendri Cortex producing the alkaloid component like Coptidis Rhizoma had no such anticandidal effe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tein substance from Coptidis Rhizoma was responsible for the antifungal activity.

흉막액 감별에 있어서 C-반응성단백과 혈관내피성장인자의 유용성 (Diagnostic value of C-reactive Protein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Differentiation of Pleural Effusions)

  • 김상하;이원연;박주영;박현숙;한혜경;주헌수;홍태원;이낙원;신계철;용석중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5호
    • /
    • pp.467-477
    • /
    • 2003
  • 배 경 : 흉막액은 임상적으로 Light's criteria에 의하여 여출액과 삼출액으로 구분하게 되며 삼출액일 경우에는 그 원인질환들을 감별해야 하나 적용할 만한 표지자가 많지 않다. 이에 CRP와 VEGF가 흉막액을 여출액과 삼출액으로 감별하는데 임상적으로 유용한지를 알아보고 나아가 악성삼출액에 대한 감별 표지자로서의 유용성이 있는지를 함께 검토하기 위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흉막액 환자 80명을 대상으로 Light's criteria에 따라 여출액과 삼출액으로 구분하였고, 삼출액은 다시 원인에 따라 결핵성, 부폐렴성, 악성 흉막액으로 구분 하였다. 각 20명씩 네 군에서 혈청에서와 흉막액에서의 CRP, VEGF를 측정하였고 각각의 혈청에 대한 흉막액의 측정치의 비를 계산하였다. CRP는 turbidimetric immunoassay 로, VEGF는 ELlSA로 측정하였다. 결 과 : 여출액과 삼출액으로 나누어 측정치를 비교하였다. 흉막액 CRP는 여출액과 삼출액에서 각각 $1.29{\pm}1.45mg/d{\ell}$, $4.19{\pm}4.22mg/d{\ell}$로 측정되었으며 삼출액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cutoff value가 $2.35mg/d{\ell}$ 일 때 민감도 56.7%, 특이도 90.0%의 감별력을 보였다. 흉막액 VEGF는 여출액과 삼출액에서 각각 $389{\pm}325pg/m{\ell}$, $1,011{\pm}1,055pg/m{\ell}$로 측정되었으며 삼출액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VEGF비는 여출액과 삼출액에서 각각 $1.6{\pm}0.9$, $3.9{\pm}4.7$으로 계산되었으며 삼출액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악성 흉막액과 양성 흉막액으로 나누어 측정치를 비교하였는데, 흉막액 CRP는 양성 흉막액과 악성 흉막액에서 각각 $4.15{\pm}4.20mg/d{\ell}$, $1.43{\pm}1.91mg/d{\ell}$로 측정되었으며 양성 흉막액에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VEGF비는 양성 흉막액과 악성 흉막액에서 각각 $2.8{\pm}3.6$, $4.9{\pm}5.5$로 계산되었으며 악성 흉막액에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결 론 : 흉막액 CRP, 흉막액 VEGF, VEGF비는 흉막액의 감별에 있어서 여출액과 삼출액을 감별하는데 보완적인 표지자로서 유용하며, 흉막액 CRP와 VEGF비는 양성 흉막액과 악성 흉막액을 감별하는 표지자로서도 유용하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