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tin

검색결과 462건 처리시간 0.022초

루틴 대사체의 미백 효능 (Potent whitening effects of rutin metabolites)

  • 김지혜;강남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07-612
    • /
    • 2015
  • 본 연구는 rutin 및 rutin 대사체인 DHPAA, HPAA, DHT, HVA가 버섯 유래 tyrosinase 활성과 마우스 피부표피 세포주인 JB6 P+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HVA가 버섯유래 티로시나제 저해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DHPAA, HPAA, rutin, DHT 순서로 저해효능을 나타내었다. DHT를 제외한 rutin 및 rutin 대사체들 모두 $100{\mu}M$ 까지 세포 독성이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DHT는 50 또는 $100{\mu}M$에서 세포증식을 저해하였으나 그 이하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을 유도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rutin 대사체 모두 세포 독성이 없는 수준에서 버섯 유래 티로시나제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므로, 앞으로 미백제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utin 및 GABA 첨식이 누에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berry Leaf Sprayed with Rutin and GABA on Silkworm Growth)

  • 방해선;이완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8-112
    • /
    • 1996
  • Flavonol glycoside의 일종인 Rutin과 free amino acid의 일종인 GABA(${\gamma}$-aminobutyric acid)가 누에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기 위해 뽕잎에 각각 0.1%의 수용액을 분무하여 3령 기잠부터 상족까지 누에를 사육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rutin과 GABA(0.1%를 분무한 뽕잎의 rutin과 GABA 함량은 대조구 86mg/100g FW, 16mg/100g FW에 비해 2, 2.8배 높았다. 2. rutin 및 GABA를 첨식한 뽕잎으로 사육한 누에의 잠체중은 대조구에 비해 최구 25%까지 감소하였으며 5령 5일에 대조구 대비 각각 7%, 15%의 감소를 보여 rutin보다는 GABA가 잠체중 증가에 더 큰 악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처리간에 식하량, 배분량, 소화량 등은 거의 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rutin 처리구에서 소화량이 대조구 대비 6%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rutin 및 GABA 처리는 유충의 경과일수를 연장시켜 상족의 개시가 대조구에 비해 3일 정도 늦었으며, 상족기간도 대조구에 비해 1일이 길었으며, 상족마리수도 대조구 대비 각각 15.4%, 9.1%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메밀가루 첨가 공장산 고추장의 발효과정 중 Rutin과 Quercetin의 변화 (Changes of Rutin and Quercetin in Commercial Gochujang Prepared with Buckwheat Flour during Fermentation)

  • 이승진;김성주;한민수;장규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09-51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고추장의 기능성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메밀을 공장산 고추장 반제품에 첨가하여 약 1개월 동안 발효실험을 하였다. 메밀의 증자과정과 발효과정에서의 rutin과 quercetin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원료 상태의 메밀가루에서는 rutin만 검출되고 quercetin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증자과정을 거쳐 rutin의 함량은 감소하고 quercetin이 새로이 생성되고 그 함량은 증가하였다. 또한 제국 과정 중의 메밀곡자는 20시간 이후에 rutin과 quercetin의 함량이 최고가 되었다. 메밀곡자를 이용한 고추장에서 곡자 첨가량과 상관없이 20일 이후에 rutin은 완전히 분해되었고 quercetin의 경우는 발효초기에는 함량이 계속 증가하였지만 20일 이후에는 함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일정기간 이후에는 quercetin도 완전히 분해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Rutin의 ERK 및 JNK 신호전달체계 억제를 통한 암예방 효능 (Rutin Suppresses Neoplastic Cell Transformation by Inhibiting ERK and JNK Signaling Pathways)

  • 강남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79-585
    • /
    • 2015
  • Rutin은 메밀에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 flavonoid 물질로서, 최근 연구들에서 rutin의 항염증 및 암예방 활성이 보고되어져 왔다. 그러나, rutin의 암예방 활성과 관련된 분자생물학적 기전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암 과정 중 하나인 세포의 악성 변형을 EGF로 유도하여 rutin이 이를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Soft agar assay 실험 결과, rutin은 EGF로 유도된 세포의 악성 변형을 $25{\mu}M$, $50{\mu}M$, $100{\mu}M$에서 농도별로 감소시켰다. 또한 EGF로 유도된 MEK/ERK 및 MKK4/JNK 신호전달체계의 인산화를 저해하였다. 그러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rutin은 EGF로 유도된 MKK3/6/p38 신호전달체계 인산화는 감소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rutin이 암화 과정 중 발생되는 세포의 악성변형 과정을 촉진시킨다고 잘 알려져 있는 MEK/ERK 및 MKK4/JNK 신호전달체계의 활성화를 억제함으로써 암예방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메밀의 생리활성 성분인 rutin의 암예방 생리 활성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연구 결과라 할 수 있겠다. 또한 위 연구결과는 MEK/ERK 및 MKK4/JNK 신호전달 체계를 표적으로 하는 생리활성 소재 탐색에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Fe^{2+}$에 의한 지질 과산화에 있어서 Quercetin과 Rutin의 억제 작용 (Inhibitory Actions of Quercetin and Rutin on $Fe^{2+}-induced$ Lipid Peroxidation)

  • 정진희;이정수;신용규;이광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9-80
    • /
    • 1991
  • Iron(II)에 의한 마이크로좀의 지질 과산화에 미치는 quercetin과 rutin의 억제 효과를 iron의 산화중에서 생성되는 산소 라디칼에 대한 제거 작용과 iron에 대한 킬레이트 작용에 관하여 관찰하였다. $Fe^{2+}$ 단독에 의한 지질 과산화는 quercetin 또는 rutin에 의하여 용량에 따라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Fe^{2+}$의 존재하에서 ascorbate또는 NADPH에 의한 지질 과산화는 quercetin과 rutin에 의하여 거의 완전히 억제되었다. $Fe^{2+}$의 과산화 작용은 SOD와 DABCO에 의하여 억제되었고 catalase, DMSO와 mannitol에 의하여 약간 억제되었다. Quercetin과 rutin은 DETAPAC에 반응하는 $Fe^{2+}$의 산화를 억제하였고 반응초기에 유의한 킬레이트 효과를 나타내었다. Quercetin과 rutin은 효과적으로 $H_{2}O_{2}$에 의한 지질 과산화를 억제하였으며 $H_{2}O_{2}$를 분해하였다. $Fe^{2+}$의 존재하에서 $OH{\cdot}$의 생성과 U.V. 조사에 의한 $^1O_2$의 생성은 모두 quercetin과 rutin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Cd^{2+},\;Cu^{2+},\;Ni^{2+},\;Pb^{2+}$$Zn^{2+}$에 의한 지질 과산화는 quercetin에 의하여 거의 완전하게 억제 되었다. Quercetin과 rutin은 $Fe^{2+}$에 의한 sulfhydryl기의 손실을 유의하게 저해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scorbate와 NADPH가 있거나 없는 상태에서 $Fe^{2+}$의 과산화 작용에 대한 quercetin과 rutin의 억제 효과는 그들의 반응성 산소 대사물에 대한 제거 작용과 iron에 대한 킬레이트 작용에 기인하였을 것으로 시사된다.

  • PDF

사염화탄소 투여로 인한 랫드의 급성 간 손상에 대한 루틴의 예방 효과 (Protective Effect of Rutin on Carbon Tetrachloride-Induced Acute Hepatotoxicity in Rats)

  • 황의경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16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hepatoprotective effect of rutin on acute hepatic damage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Twenty-four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control group, $CCl_4$ control group, two rutin treatment groups (rutin 200+$CCl_4$ and rutin 400+$CCl_4$). Dissolving vehicles were applied to the rats in the normal control group. The rutin was administrated to the rats in rutin 200+$CCl_4$ and rutin 400+$CCl_4$ groups at the levels of 200 mg/kg and 400 mg/kg, 3 consecutive days orally, with 24 hours interval before inoculating $CCl_4$. $CCl_4$ was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an hour after the last treatment of rutin to the rats in every group except the normal control group. The body weight of rats in $CCl_4$ contro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groups (p < 0.05), but the liver weight and relative liver weight were higher than normal control group (p < 0.05). The activities of ALT, AST, ALP, GTP, LDH and the level of total bilirubin in sera of rats in $CCl_4$ control group were higher and the levels of total protein, albumin and globulin were lower than the normal group (p < 0.05). The activities of ALT, AST, ALP, GTP, LDH and the level of total bilirubin in rutin 200+$CCl_4$ and rutin 400+$CCl_4$ groups were lower than $CCl_4$ control group (p < 0.05). Therefore the pre-treatment of rutin before $CCl_4$ inoculation in rats effectively inhibited the elevation of serum ALT, AST and total bilirubin which are the parameters of hepatic damage.

메밀 및 메밀식품에서의 루틴함량의 분석 (Analysis of Rutin Contents in Buckwheat and Buckwheat Foods)

  • 맹영선;박혜경;권태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732-737
    • /
    • 1990
  • HPLC를 이용하여 메밀종자 및 메밀식품에서의 rutin 함량을 분석하였다. 메밀종자의 rutin 함량은 재래종과 신농1호 사이에 상당한 차이가 있었으나. 신농1호 품종간 즉, 여름형과 가을형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가식부분인 메밀쌀의 rutin 함량은 여름형 신농1호에서 가장 높았다. 건조메밀국수와 막국수의 rutin 함량은 시료에 따른 차이가 상당히 컸었으며, 이와 같은 차이는 메밀국수 제조시 밀가루를 $10{\sim}50%$ 혼합하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메밀전병은 제품의 표시에 명기된 메밀함량으로부터 계산된 값보다 높은 rutin 함량을 나타내었다.

  • PDF

A Process for Preventing Enzymatic Degradation of Rutin in Tartary Buckwheat (Fagopyrum tataricum Gaertn) Flour

  • Li, Dan;Li, Xiaolei;Ding, Xiaolin;Park, Kwan-Hwa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118-122
    • /
    • 2008
  • The use of tartary buckwheat flour as a source of dietary rutin has been limited because of the enzymatic degradation of rutin during the dough-making process, which results in a bitter taste. A variety of pretreatment regimes, including heating, steaming, boiling, and extruding, were evaluated in relation to the inactivation of the rutin-degrading enzyme responsible for rutin loss and color change during dough-making. Steaming (120 see), boiling (90 see) buckwheat grains, or extruding (180 rpm/min at $140^{\circ}C$) the flour resulted in the retention of >85% of the original rutin and eliminated the bitter taste in the hydrated flours. In contrast, dry heating at $140^{\circ}C$ for 9 min or microwaving at 2,450 MHz for 3 min did not reduce the rutin loss, and the bitter taste remained. Unlike in the flour, the rutin degradation in water-soaked grains was insignificant at room temperature. Moreover, the samples treated by steaming, boiling, or extrusion were darker and more reddish in color.

Intestinal Bacterial Metabolism of Rutin and its Relation to Mutagenesis

  • Kim, Dong-Hyun;Han, Sang-Bum;Bae, Eun-Ah;Han, Myung-J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41-45
    • /
    • 1996
  • After rutin(50-1500 mg/kg) was administered orally to rats, the relationship between its metabolites and mutagenicity was investigated. Quercetin conjugates were detected in the urine of rats treated with more than 150 mg/kg. Administration of rutin less than 100 mg/kg resulted in phenolic acid-like metabolites. However, intact rutin was not detected in the urine of rats treated with different amounts. When rutin was cultured with human intestinal bacteria, the amount of quercetin was increased gradually with a corresponding decrease in the level of rutin and then quercetin was decreased gradually with a corresponding increase in the level of unidentified compounds. The ring fission bacterium of quercetin of was Pediococcus Q-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rutin could be metabolized and transformed from mutagenic to nonmutagenic by intestinal bacteria in human intesti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