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n-off data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5초

서울지역 건축물의 환경적 특성에 따른 실내 라돈농도 변화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Indoor Radon Concentration from Buildings with Different Environment, Seoul)

  • 전재식;이지영;엄석원;채영주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92-702
    • /
    • 2011
  • For more effective indoor radon reduction policy and technique, we researched radon data analysis for some buildings in Seoul. Those buildings were categorized as dwelling, underground and office space and the variations of radon concentration and its sources were evaluated. The variations of radon concentrations of indoor space of buildings for a day were patterned specifically by dwelling habits and different environment. As for the new built apartments which were not yet moved in, their indoor radon concentrations were showed more than 3 times after applying interior assembly, and were 5 times higher than ones of rather old residences. As for the subway stations, the radon concentrations during off-run times were about 15% higher than run-times. 10% of radon seemed to be reduced by installation of platform screen doors. As for office space, radon concentrations during working hours were about 2.5 times higher than non-working hours. Plaster board are expected as a main source of radon for them. By radon measurement method for long-term, its data can be over estimated because it covers non-active time in office or public space. Therefore combination of short and long-term measurement method is required for effective and economic reduction. Furthermore importance of ventilation is requested as public information service for all dwelling space. And also standardization for radium content or radiation of radon is necessary.

The effect of security factors on the continuance of Internet banking usage among Malaysians

  • Normalini, M.K.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6권1호
    • /
    • pp.27-43
    • /
    • 2015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the security factors that influence customer trust towards intention to continue using Internet banking in Malaysia. The participants are individual Internet banking users in Peninsular Malaysia.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distributed using the drop-off and pick-up (DOPU) technique to bank branch managers who then passed the questionnaires to their customers. A total of 413 respond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The SPSS statistical analysis software package and Partial Least Squares statistical method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s show that authentication, confidentiality, data integrity and non-repudiation are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customer trust towards intention to continue using Internet banking. Trust plays a critical role in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Internet banking in Malaysia while perceived privacy does not. An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identified in this study will enable Internet banking providers to effectively and efficiently enhance the security of services and thereby promote continued usage of Internet banking among custom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us expected to be of great use to Internet banking providers as improvements in Internet banking security will increase business in the long run.

  • PDF

발광 각도 변화에 따른 MIMO-VLC 시스템의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MIMO-VLC systems according to the change of an emission angle)

  • 이병진;김용원;김영근;김경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73-79
    • /
    • 2014
  • 가시광 무선통신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빠른 ON/OFF 속도를 갖는 LED를 이용해 고속의 무선 데이터 전송 수단으로 사용하는 통신 방식이다. VLC 시스템이 발전함에 따라 기본적인 연구 문제는 통신 신뢰성 확보와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가시광 무선통신의 특성 상 빛의 도달 범위에만 통신이 이루어지며, 이는 빛의 발광각도에 따라서 큰 차이를 나타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실내 환경의 경우, 여러 개의 LED가 장착되어 있는 속성을 이용하여 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통신 시스템 적용하였으며, 송신기의 발광각도를 변화시켜 수신단에서 얻는 총 전력과 SNR성능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실행한 결과, 송신기의 발광 각도에 따라서 SNR 성능과 BER성능에 많은 영향을 끼침을 확인하였다.

지형공간 정보체계를 이용한 농업비점오염원모델의 인터페이스 개발 (Development of Interface for the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Model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 양인태;최연재;김동문;권혁원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93-401
    • /
    • 1999
  • 비점오염원은 하천수질에 심각한 위협을 주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비점 오염 모델이 개발되었다. 이 비점 오염 모델들은 정확한 예상을 하기 위해 정밀한 공간적 자료를 요구한다. 따라서 공간자료를 효과적으로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기법인 지형공간 정보체계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지형공간정보체계는 비점오염 모델의 매개변수인 경사, 경사 형태, 경사 길이, SCS 곡선 지수 등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미국 농무성과 미네소타주 연구소에서 개발된 AGNPS 모델에 지형공간정보체계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검토하고 지형공간정보체계를 이용한 AGNPS모델에서 요구하는 아스키 형태의 입력자료로 구축하는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였다.

  • PDF

태양 에너지 기반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에너지 적응형 선택적 압축 기법 (Energy-aware Selective Compression Scheme for Solar-powered Wireless Sensor Networks)

  • 강민재;정세미;노동건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12호
    • /
    • pp.1495-1502
    • /
    • 2015
  • 센서 네트워크에서 압축은 종단 간 지연시간과 에너지 사용량 사이의 이율배반적인 관계가 있다.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압축을 하면, 추가적인 지연시간과 에너지 소비가 발생하지만, 전송으로 인한 에너지 소모는 감소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기반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지연시간을 손해 보더라도 네트워크의 생존시간을 최대화하기위해 압축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한편 태양 에너지 기반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주기적으로 에너지 재생산이 이루어짐에 따라, 동작하는데 충분한 에너지양 이상의 에너지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분의 에너지를 사용해 종단 간 지연시간을 감소시키는 에너지 적응형 선택적 압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노드의 에너지가 충분하지 않을 때,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압축을 사용하고, 에너지가 충분한 경우에는 종단 간 지연시간 감소를 위해 압축을 사용하지 않는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에너지와 지연시간의 성능평가를 통하여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을 증명하였다.

멀티미디어 서버에서 에너지 절약을 위한 데이터 배치 및 전원 관리 (Data placement and power management for energy saving in multimedia servers)

  • 이경진;김은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43-49
    • /
    • 2018
  • 최근 인터넷 기반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에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대규모 데이터 센터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데이터 센터에서는 수많은 서버와 장비를 운영하기 위해 막대한 에너지를 소모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서버에서 시스템의 부하 수준에 따라서 특정 서버들에 부하를 집중시킨 후 서버를 즉시 종료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비디오 재생 요청이 전체 시스템에 균등하게 배분될 수 있도록 인기도에 따라 각 비디오가 저장되는 서버 그룹 수를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실험을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멀티미디어 서버에서 데이터 배치 및 전원 관리 기법이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면서 기존의 방법에 비해 전원을 켜는 서버 수를 줄임으로써 에너지를 크게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인다.

가막만의 수온과 염분의 분포 (Distributions of the Temperature and Salinity in Kamak Bay)

  • 이규형;조규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5-39
    • /
    • 1990
  • 내만역의 해양 구조를 규명하고 어장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가막만에서 계절별로 1958년 5월부터 1989년 12월까지 밀물과 썰물때의 수온, 염분, 투명도 및 수색을 관측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분포와 수괴 특성을 검토한 결과 그 양상이 일반적으로 지형적 요인과 해수 유동 구조에 의해서 크게 좌우됨을 알았다. 연중 수온 분포값은 7.2(2월)$\~29.4^{\circ}C$(8월)이고 염분 분포값은 31.7(8월)$\~34.1\%_{circ}$(2월)로 연교차는 각각 $22.2^{\circ}C,\;2.4\%_{\circ}$였다. 수온과 염분의 분포 pattern은 내만측 해수의 북서쪽 편중 분포와, 남쪽 만구측 해수의 중앙부쪽 진입 분포 형태 그리고 북동부의 여수항측 해수의 현저한 저염수 분포가 두드러진다. 계절별 해수의 특성과 분포 구조는 주로 해면의 가열 및 냉각, 담수의 유입 정도에 따라 크게 달랐다. 즉, 하계에 조류가 약한 내만역에서는 태양 복사열의 증가와 육수의 유입으로 해면이 고온, 저염화되면서 약층이 강하게 형성되었으며, 표층(5m 수심까지)과 저층의 분포가 달랐다. 반면에 동계에 는 해면이 냉각되어 약층이 소멸되면서 표$\cdot$저층의 분포가 같아지지만 내만역과 그 바깥쪽을 구분하는 약한 전선이 형성되었다. 가막만의 수괴는 내국 가까이 오목한 해저 지형에 위치한 북서부의 정체성 내만수와 연등천과 섬진강 하구역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여수항수 그리고 남쪽 만구에 근접하여서 외해수의 특성을 보이는 만외수로 구분되었다. 수온$\cdot$염분의 분포 및 수괴의 분포 특징은 밀물때와 썰물때가 조금 달랐으며, 이 때문에 항대리 부근은 하루중 해황 변동폭이 주변보다 커서 하계에 썰물과 밀물간의 수온, 염분 및 밀도의 차가 $1.5^{\circ}C,\;0.15\%_{\circ},\;\sigma_t\;0.6$에 달해 가막만 내에서 단기적 해황 변화가 가장 큰 지역이었다.

  • PDF

순환형 농업용수관리를 위한 농업용 저수지의 비관개기 양수저류 추정 (Water Balance Analysis of Pumped-Storage Reservoir during Non-Irrigation Period for Recurrent Irrigation Water Management)

  • 방나경;남원호;신지현;김한중;강구;백승출;이광야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2권4호
    • /
    • pp.1-12
    • /
    • 2020
  • The extreme 2017 spring drought affected a large portion of South Korea in the Southern Gyeonggi-do and Chungcheongnam-do districts. This drought event was one of the climatologically driest spring seasons over the 1961-2016 period of record. It was characterized by exceptionally low reservoir water levels, with the average water level being 36% lower over most of western South Korea. In this study, we consider drought response methods to alleviate the shortage of agricultural water in times of drought. It could be to store water from a stream into a reservoir. There is a cyclical method for reusing water supplied from a reservoir into streams through drainage. We intended to present a decision-making plan for water supply based on the calculation of the quantity of water supply and leakage. We compared the rainfall-runoff equation with the TANK model, which is a long-term run-off model. Estimations of reservoir inflow during non-irrigation seasons applied to the Madun, Daesa, and Pungjeon reservoirs. We applied the run-off flow to the last 30 years of rainfall data to estimate reservoir storage. We calculated the available water in the river during the non-irrigation season. The daily average inflow from 2003 to 2018 was calculated from October to April.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an average of 67,000 tons of water is obtained during the non-irrigation season. The report shows that about 53,000 tons of water are available except during the winter season from December to February. The Madun Reservoir began in early October with a 10 percent storage rate. In the starting ratio, a simulated rate of 4 K, 6 K, and 8 K tons is predicted to be 44%, 50%, and 60%. We can estimate the amount of water needed and the timing of water pump operations during the non-irrigation season that focuses on fresh water reservoirs and improve decision making for efficient water supplies.

DSC, ARC, ISCO를 활용한 다양한 순도를 가진 AP의 장기 열적안정성 연구 (Study on the Long-term Thermal Stability by DSC & ARC and its ISCO behaviors with different AP Quality)

  • 김승희;권국태;이소정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59-65
    • /
    • 2018
  • AP(Ammonium Perchlorate, $NH_4ClO_4$)를 포함하는 복합화약조성의 등온가열시험시, 일정 순도 이하의 AP를 사용하는 경우 "bulged"현상으로 인해 등온가열시험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본 연구는 품질 혹은 순도에 따른 AP의 열적 안정성 차이에 대해 규명하기 위해 LOT 별 AP에 대해 DSC 결과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등온가열시험 결과 및 ARC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순도가 낮은 AP에 대해서는 재결정을 통해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한 후 분석한 결과, 열적 안정성이 높아졌음을 확인하였다. DSC 고압팬을 사용하여 AP 순도를 결정하는 정량적 분석방법을 확립하였다.

섬진강 월유출량의 추계학적 모형 (Stochastic Modelling of Monthly flows for Somjin river)

  • 이종남;이홍근
    • 물과 미래
    • /
    • 제17권4호
    • /
    • pp.281-291
    • /
    • 1984
  • 한국하천유역의 강우량관측자료는 풍부하나 하천유량측정자료가 많고 섬진강 유역내의 압록과 송정의 유량관측기록이 비교적장기간에 것이 있고, 유속측정을 많이 하고 있으므로 본유역자료를 가지고 월유출량계열의 모형식을 유도하였다. 본모형식은 월강우량기록으로서 월유출량 산출식을 Box & Jenkins의 대체함수모형식에다 ARIMA의 잔차모형식을 가하여 유도한 것이다. 또 기 강우량과 유출량 자료간에는 잔차시계열이 정상공분산을 갖는다는 가정하에 모형식을 작성하였다. 자기상관 함수의 특성으로부터 ARIMA모형을 유도함에도 먼저 계산식으로 각변수를 산출하고, 이 변수를 다소조정반복시켜 가장 정확한 융통성있는 Box & Jenkins 방식의 모형식을 작성하였다. 섬진강에서 가장 적정모형식을 다음과 같은 일반식으로 주어졌다. 여기서 $Y_t=($\omega$o-$\omega$_1B) C_iX_t+$\varepsilon$t$ $Y_t$ 월유출량, $X_t$: 월 강우량, $C_i$: 월유출률, $$\omega$o-$\omega$_1$ : 대체변수 $$\varepsilon$_t$ : 잔차(임의오차성분) 섬진강수위관측소의 기 월유출량 기록자료로서 월유출량게열의 만족할만한 모형을 비교검토 연구작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