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s of the Temperature and Salinity in Kamak Bay

가막만의 수온과 염분의 분포

  • LEE Kyu-Hyong (Department of Oceanography, National Fisheries College of Yosu) ;
  • CHO Kyu-Dae (Department of Oceanography,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Pusan)
  • 이규형 (여수수산대학 해양학과) ;
  • 조규대 (부산수산대학교 해양학과)
  • Published : 1990.02.01

Abstract

The distributions of the temperature and salinity in Kamak bay which has two channels and three sea bottom topographic parts were studied by taking the detailed hydrographic data at the ebb and flood during four seasons from May, 1988 to Feb., 1989. The general pattern of the distributions of characteristics which the temperature and salinity has in Kamak bay is basically formed by the topography and sea water movement of the bay. The changes of these distributions by seasons mainly come from the heating and cooling of the sea surface and the increase of the run-off. The bay has three remarkable water masses and the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re follows: the inner bay water has a stagnation character influenced by the inland and the concave of the sea bottom in the north west, Yosu harbor water has an estuary character of the low salinity caused by the run-off of Somjin river and Yon Tung brooklet in the north east, and the outer bay water has an out-sea character, as it is located near by the big mouth in the south of the bay. The distributions of those water masses at the ebb and flood show some different features due to the flow patterns, and the daily changes of oceanic conditions at the vicinity of Hangdae-ri are so big that it may influence the habitation and production of the living things in the bay.

내만역의 해양 구조를 규명하고 어장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가막만에서 계절별로 1958년 5월부터 1989년 12월까지 밀물과 썰물때의 수온, 염분, 투명도 및 수색을 관측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분포와 수괴 특성을 검토한 결과 그 양상이 일반적으로 지형적 요인과 해수 유동 구조에 의해서 크게 좌우됨을 알았다. 연중 수온 분포값은 7.2(2월)$\~29.4^{\circ}C$(8월)이고 염분 분포값은 31.7(8월)$\~34.1\%_{circ}$(2월)로 연교차는 각각 $22.2^{\circ}C,\;2.4\%_{\circ}$였다. 수온과 염분의 분포 pattern은 내만측 해수의 북서쪽 편중 분포와, 남쪽 만구측 해수의 중앙부쪽 진입 분포 형태 그리고 북동부의 여수항측 해수의 현저한 저염수 분포가 두드러진다. 계절별 해수의 특성과 분포 구조는 주로 해면의 가열 및 냉각, 담수의 유입 정도에 따라 크게 달랐다. 즉, 하계에 조류가 약한 내만역에서는 태양 복사열의 증가와 육수의 유입으로 해면이 고온, 저염화되면서 약층이 강하게 형성되었으며, 표층(5m 수심까지)과 저층의 분포가 달랐다. 반면에 동계에 는 해면이 냉각되어 약층이 소멸되면서 표$\cdot$저층의 분포가 같아지지만 내만역과 그 바깥쪽을 구분하는 약한 전선이 형성되었다. 가막만의 수괴는 내국 가까이 오목한 해저 지형에 위치한 북서부의 정체성 내만수와 연등천과 섬진강 하구역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여수항수 그리고 남쪽 만구에 근접하여서 외해수의 특성을 보이는 만외수로 구분되었다. 수온$\cdot$염분의 분포 및 수괴의 분포 특징은 밀물때와 썰물때가 조금 달랐으며, 이 때문에 항대리 부근은 하루중 해황 변동폭이 주변보다 커서 하계에 썰물과 밀물간의 수온, 염분 및 밀도의 차가 $1.5^{\circ}C,\;0.15\%_{\circ},\;\sigma_t\;0.6$에 달해 가막만 내에서 단기적 해황 변화가 가장 큰 지역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