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gosa ros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1초

Optimization of Ascorbic Acid Extraction from Rugosa Rose (Rosa rugosa Thunb.) Fruit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Validation of the Analytical Method

  • UM, Min;KIM, Ji-Woo;LEE, Jae-W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364-375
    • /
    • 2020
  • In this study,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was performed to extract ascorbic acid from rugosa rose (Rosa rugosa Thunb.) fruit. The optimal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using two variable including reaction time (16-44 min) and temperature (16-44℃). The ascorbic acid extraction was sensitive to the reaction time rather than the reaction temperature, and the optimal conditions for ascorbic acid extraction were 25℃ and 30 min. Ascorbic acid and gallic acid in the rugosa rose fruit extract were completely separated by HPLC, with a resolution factor of over 1.5 between the two.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ascorbic acid was 0.999 in a linearity test for 50-150 ㎍/mL concentration of extract. The limit of detection and limit of quantification values were 0.16 ㎍/mL and 29.89 ㎍/mL, respectively.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RSD) for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were determined, and each RSD showed good precision at less than 5% (N=6).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in zygotic embryo explant cultures of rugosa rose

  • Kim, Suk Weon;Oh, Myung Jin;Liu, Jang R.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3권3호
    • /
    • pp.199-203
    • /
    • 2009
  • Rugosa rose (Rosa rugosa) is cultivated as a garden flower and an important genetic resource for the breeding of roses (R. hybrida). This study describes culture conditions for high frequency plant regeneration from zygotic embryo explants via somatic embryogenesis in rugosa rose. Mature zygotic embryo, cotyledon, and radicle explants formed embryogenic calluses at frequencies of 38, 6.7, and 8.8% when cultured on half-strength Murashige and Skoog medium (${\frac{1}{2}}MS$) supplemented with 2.26, 9.05, and $9.05{\mu}M$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respectively. Embryogenic calluses produced numerous somatic embryos, which then developed into plantlets on ${\frac{1}{2}}MS$ without growth regulators. Regenerated plantlets were grown to whole plants in a growth chamber.

해당화와 머루를 함께 발효한 해당화 머루주의 발효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oru Wine Fermented with Rose rugoga Thun)

  • 지설희;한우철;이재철;김병완;장기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86-190
    • /
    • 2009
  • 생약소재를 사용한 약주개발을 위하여 탄소원이 풍부하고 anthocyanin 등의 생리활성 물질이 풍부한 머루와 항산화능이 우수한 해당화를 함께 사용하였다. 해당화와 머루액의 혼합비율을 4가지로 달리하여 제조 후 14일 발효와 다시 14일간 숙성기간을 거쳐서 해당화-머루주를 만들었다. 머루액의 함량이 높은 그룹에서는 빠른 발효속도를 보였으며, 최종적으로 ethanol 함량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anthocyanin 함량이 높았다. 머루주는 anthocyanin 함량과 색도가 지나치게 높을 뿐만 아니라, 높은 산미로 인해 기호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해당화즙의 첨가는 머루주의 anthocyanin 함량, 색도와 산미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머루주의 기호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아미노산 분석결과는 머루주 성분에는 신맛과 쓴맛을 부여하는 아미노산의 비율이 높고, 상대적으로 단맛과 관련된 아미노산은 낮으므로 최종제품을 인위적으로 특정 아미노산을 첨가하는 방법 등이 고려할 만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해당화(Rosa rugosa Thunb.) 부위별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분석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Rugosa rose (Rosa rugosa Thunb.))

  • 김지우;엄민;이재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38-4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해당화 부위별 열수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해당화의 부위별 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잎에서 가장 높았으며, 각각 107.29, 24.28 mg/g로 나타났다.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꽃, 잎, 씨, 열매, 과육 추출물 순으로 활성이 높았으며, 꽃 추출물의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IC_{50}=0.87$, $0.27mg/m{\ell}$로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았던 꽃과 잎 추출물에서는 gallic acid가 각각 4.51, 0.97 mg/g로 다른 부위별 열수추출물에서보다 높았다. 해당화 부위별 열수추출물을 분획한 결과(A-F), 꽃 추출물의 C 분획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총 페놀성 화합물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3305.43, 878.42 mg/g)에 의한 것이며, p-value < 0.001에서 총 페놀성 화합물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하는 상관관계 결과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해당화 열수추출물은 식품, 화장품, 의약품 산업 등에서 천연 항산화제로 사용가능할 것이다.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econdary Metabolites from White Rose Flower

  • Joo, Seong-Soo;Kim, Yun-Bae;Lee, Do-I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6권1호
    • /
    • pp.57-62
    • /
    • 2010
  • Low-molecular-weight secondary metabolites from pla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productive processes and in the defense against environmental stresses or pathogens. In the present study, we isolated various volatiles and phenolic compounds from white Rosa rugosa flowers, and evaluated the pharmaceutical activities of these natural products in addition to their ability to increase survival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stress and pathogen invasion. The DPPH and hydroxyl radical-mediated oxidation assay revealed that the white rose flower extract (WRFE) strongly scavenged free radicals in a dose dependent manner. Moreover, WRFE inhibited the growth of E. coli and fatally attacked those cells at higher concentration (>0.5 mg/mL). FITC-conjugated Annexin V stain provided further evidence that WRFE ha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which may have resulted from a cooperative synergism between volatiles (e.g. 1-butanol, dodecyl acrylate and cyclododecane) and phenolic compounds (e.g. gallic acid) retained in WRFE. In conclusion, secondary metabolites from white rose flower hold promise as a potential natural source for antimicrobial and non-chemical based antioxidant agents.

장미 정유의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표: 중국산 쿠스이형 장미유에 대한 재현정밀도 시험 (Gas chromatographic profiles of rose essential oils: a round-robin test on oil of rose, Chinese Kushui type (Rosa sertata × Rosa rugosa))

  • 손현화;이동선
    • 분석과학
    • /
    • 제25권4호
    • /
    • pp.207-213
    • /
    • 2012
  • 이 연구는 ISO/TC54 전문위원회(Shanghai, Sep. 14-15, 2010)의 결정에 따라 국제규격 초안으로 제안된 ISO/DIS (Draft International Standard) 25157-resolution 385 중국산 쿠스이(苦水)형 장미(Rosa sertata ${\times}$ Rosa rugosa) 정유의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표에 대한 국제 6개국 전문가 실험실간 재현정밀도 시험 (round-robin test: RRT)의 하나로 수행되었다. GC-FID로 분석할 때 비극성인 SPB-1 컬럼에서는 총 179개 성분, 중간 극성의 DB-624 컬럼에서는 165개 성분, 극성 Supelcowax-10 컬럼에서는 총 162개 성분을 분리하였다. ${\beta}$-Citronellol (41.6~46.7%)과 geraniol (9.7~11.0%) 및 nerol (3.4~4.5%)이 쿠스이형 장미 정유의 주성분이었다. SPB-1 컬럼과 DB-624 컬럼에서는 ${\beta}$-citronellol과 nerol성분 피크가 서로 분리되지 않고 중첩하였으나, Supelcowax-10 컬럼에서는 두 성분을 분리할 수 있었다. Phenethyl alcohol의 경우 정지상 극성이 커질수록 머무름 시간이 길어짐을 확인하였다. 그런데 거의 대부분의 특성 성분들의 머무름 시간은 중국측이 ISO/DIS 25157에서 제시한 것과 일치하였으나 극성 컬럼으로 분리한 phenethyl alcohol의 머무름 시간의 경우 중국측이 제시한 것 보다 큰 차이를 보였다. 동시에 불가리아산 장미(Rosa damascena Miller) 정유와 향수에 대한 기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표도 비교 분석하였다. 불가리아 장미 정유의 특성 아로마 성분 함량이 중국산 쿠스이형의 함량보다 더 많았다.

장미속 유전자원의 유전적 관계와 국내 해당화의 유전적 다양성 (Genetic Relationship of Genus Rosa Germplasm and Genetic Diversity of Rosa rugosa in Korea)

  • 정연화;김성태;김기준;이자현;기광연;한태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6호
    • /
    • pp.1003-1013
    • /
    • 2010
  • 장미 속에 포함된 23종의 59계통을 수집하고, 해당화의 15계통은 국내의 10개 지역에서 수집하였다. 이 종들의 유전적 관계는 형태적 분석과 RAPD 마커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형태적 분석은 7개의 양적 형질을 측정하고 4개의 질적 형질은 수치화하였다. RAPD 분석은 20개의 primer를 사용하여 총 959개의 다형성 밴드를 얻었다. 형태적 특성 분석은 전반적으로 종들이 section의 특성으로 분류되었으나, 부분적으로 몇 몇 종들은 분류에 어려움이 있었다. RAPD 결과를 바탕으로 장미 속의 군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아속 $Platyrhodon$$Eurosa$를 구분할 수 있었다. 그 중 아속 $Eurosa$는 5개의 section으로 분리되었다; $Gallicanae$, $Cinnamomeae$, $Pimpinellifoliae$, $Synstylae$ 그리고 $Caninae$. 형태적 분석과 RAPD 분석 간의 상관 관계는 유의성이 낮았다($r$=0.35). Sect. $Cinnmomeae$에 속하는 해당화는 RAPD 분석을 통해 유전적 거리 0.28에서 3그룹으로 군집을 형성하였다. 결과적으로, 장미 속의 유전적 관계는 이전에 보고된 rose section system과 일치하였으며, 국내에서 수집한 해당화는 RAPD 마커 분석에 의해 3그룹으로 구분되었다.

해당화의 종자 발아 연구 (Improvement of Seed Germination in Rosa rugosa)

  • 이지연;이자현;기광연;김성태;한태호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4호
    • /
    • pp.352-357
    • /
    • 2011
  • 장미의 발아율은 약 20% 정도이고 과피 안에 발아억제물질이 존재하며 물 투과성이 어렵기 때문에 육종의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장미속 식물인 해당화의 종자를 이용하여 위하여 $25^{\circ}C$ 배양실에 16시간 광주기 하에서 기내배양을 수행하였다. 해당화 종자를 half-cut하여 치상 방향에 따른 발아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치상방향을 달리하여 2주간 배양하였다. 종자의 절단면이 배지에 닿지 않도록 치상하였을 경우 모두 발아가 되었으나, 반대로 치상한 경우에는 전혀 발아되지 않았다. Intact 종자와 half-cut된 종자의 수분 후 경과일수와 저온 요구도에 따른 발아율을 비교하기 위해 2주 동안 배양한 결과 intact 종자는 발아되지 않았으며 수분 후 경과 90일된 half-cut 종자에서는 저온처리의 유무에 관계없이 100% 발아하였으며, 수분 후 경과일수가 지날수록 발아율이 높았다. 또한 half-cut 종자를 적색, 청색, 흰색, 황색, 녹색 LED 하에서 배양한 결과 1주 후에 청색 LED에서 90%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여 층적 저온처리 없이도 해당화의 발아기간을 성공적으로 단축시켰고, 종자의 half-cut 방법을 장미의 육종연구에 적용한다면 더 효율적인 발아연구 및 육종연구를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피부 주름개선 소재개발을 위한 식용작물의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활성 (Inhibitory Activity of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GE) Formation of Edible Plants for Development of Anti-Wrinkle Ingredients)

  • 이현순;윤진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86-192
    • /
    • 2010
  • 피부의 주름은 노화과정의 결과로 유도되어지는데, 비효소적 glycation 반응은 주름생성의 원인 중에 하나로 단백질의 비가역적 가교결합에 의해 생성된 최종당화산물(AGEs)이라고 불리는 갈색화합물을 생성한다. 비교적 반감기가 긴 collagen은 쉽게 glycation이 일어나고 collagen의 가교결합(cross-linking)이 일어나면서 여러 단계의 반응을 거쳐 최종적으로 생성된 AGEs가 피부에 축적되어 피부의 탄력감소 및 주름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피부 내에 glycation된 collagen의 축척은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하는 것을 방해한다. 수종의 식용작물로부터 항주름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메탄올 및 열수추출물을 조제한 후 AGEs 형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검색하였다. 먼저 서양향신료 중에서는 월계수잎, 계피, 정향, 오레가노, 로즈마리, 사보리, 팔각과 한약재 중에서는 복분자, 달개비, 삼지구엽초, 가자와 해당화의 메탄올 및 열수추출물에서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활성이 높았다. 그러나 국내 식물 중에서는 단지 참취 및 녹차 추출물의 메탄올과 열수추출물만이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해조류 중에서는 활성이 높은 시료는 없었다.

한국 전통 꽃문양을 활용한 철릭형 신한복의 3D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3D Textile Design of New-Hanbok Chulic Dress Applying Korean Traditional Floral Pattern)

  • 허승연;안명숙;차수정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1-14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the textile design applying the floral pattern shown in Korean traditional fabrics and the New-Hanbok Chulic Dress in 3D through a virtual fitting system. As a research method, first, we analyzed the floral pattern types of fabrics in the literature related to traditional Korean textiles. Second, we developed textile designs of traditional flower motifs using 13 extracted flower types. Third, we applied the floral textile designs to the 3D original form of new-Hanbok Dress produced based on design preference survey results. The findings deriv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Korean traditional patterns, the type of flowers used in textiles were blossom of chrysanthemum, orchid, camellia, apricot, peony, peach, pomegranate, hydrangea, narcissus, lotus, plum, chinese rose, and rosa rugosa.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can be further increased by using traditional flower patterns as an infinite source of creative desig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new-Hanbok can be developed endlessly as a clothing design that combines various morphological modifications and patterns without departing from traditional designs. In the future, if the research on costume design using various items of traditional clothing and the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s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continues, the development of new clothes design that leads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and meets the sensibilities of modern people will be endl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