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3D Textile Design of New-Hanbok Chulic Dress Applying Korean Traditional Floral Pattern

한국 전통 꽃문양을 활용한 철릭형 신한복의 3D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 Heo, Seungyeun (Division of Fashion & Jewelry Design, Gwangju University) ;
  • An, Myungsook (Division of Fashion & Jewelry Design, Gwangju University) ;
  • Cha, SuJoung (Dept. of Fashion & Cloth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 허승연 (광주대학교 패션.주얼리 디자인학부) ;
  • 안명숙 (광주대학교 패션.주얼리 디자인학부) ;
  • 차수정 (국립목포대학교 패션의류학과)
  • Received : 2022.05.03
  • Accepted : 2022.05.17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the textile design applying the floral pattern shown in Korean traditional fabrics and the New-Hanbok Chulic Dress in 3D through a virtual fitting system. As a research method, first, we analyzed the floral pattern types of fabrics in the literature related to traditional Korean textiles. Second, we developed textile designs of traditional flower motifs using 13 extracted flower types. Third, we applied the floral textile designs to the 3D original form of new-Hanbok Dress produced based on design preference survey results. The findings deriv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Korean traditional patterns, the type of flowers used in textiles were blossom of chrysanthemum, orchid, camellia, apricot, peony, peach, pomegranate, hydrangea, narcissus, lotus, plum, chinese rose, and rosa rugosa.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can be further increased by using traditional flower patterns as an infinite source of creative desig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new-Hanbok can be developed endlessly as a clothing design that combines various morphological modifications and patterns without departing from traditional designs. In the future, if the research on costume design using various items of traditional clothing and the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s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continues, the development of new clothes design that leads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and meets the sensibilities of modern people will be endless.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과제번호) (NRF-2019S1A5A2A03040046).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미술공예실. (2006). 한국전통문늬 직물편. 서울: 눌와.
  2. 김선영. (2011). 동백꽃을 모티브로 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콘텐츠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5(3), 304-311. https://doi.org/10.5850/JKSCT.2011.35.3.304
  3. 김신혜, 김은정. (2017). 서울지역의 문화 관광지를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한 신한복 디자인 개발. 한복문화, 20(4), 97-111.
  4. 김혜림, 김혜연. (2019). 조선 시대 철릭의 조형미를 응용한 현대패션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9(2), 163-180.
  5. 민소희. (2022). 신한복 공연의상 디자인 개발.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찬호. (2019. 7. 9). 흥미로운 생물자원 해당화. 인천일보. 자료검색일 2022. 4. 13, 자료출처 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960425
  7. 배다니엘. (2013). 중국 고전시에 나타난 석류화 이미지. 중국어문학지, 44, 31-54.
  8. 세계복식문화사전 편찬위원회. (2007). 패션전문 자료사전, 서울: 한국사전연구사.
  9. 이경미. (2004). 한국 전통문양에 나타난 상징성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명숙. (2018). 조선시대 식물문양의 현대화를 위한 패턴디자인 개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이제남. (2016. 10. 18). 청바지에 치마저고리... 한주얼, 출근복 되다. 조선일보. 자료검색일 2022. 4. 13, 자료출처 https://premium.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0/18/2016101801731.html
  12. 이혜란. (2017). 단청의 화문을 활용한 신한복 디자인 연구. 한복문화, 20(3), 5-22.
  13. 장현주, 김소희. (2017). 고구려 고분벽화의 해.달 문양을 응용한 유.아동 신한복 디자인 개발. 한복문화, 20(3), 23-34.
  14. 정도화. (1973). 한국의 부적. 서울: 민학.
  15. 정혜린. (2006). 조선시대 여자복식에 나타난 꽃문양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조민숙. (2011). 조선시대 철릭을 응용한 원피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차수정, 안명숙, 허승연. (2021). 신한복 철릭 원피스 원형 개발.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6(10), 125-137. https://doi.org/10.9708/JKSCI.2021.26.10.125
  18. 최은지, 신상윤. (2021). 전통문양을 활용한 생활한복 커스터마이징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연구. 브랜드디자인학회지, 19(4), 125-137.
  19. 허승연, 안명숙, 차수정. (2021). 신한복 원피스에 대한 인식과 디자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23(1), 129-142. https://doi.org/10.30751/kfcda.2021.23.1.129
  20. 홍수진, 김은정, 배수정. (2020). 창덕궁 희정당 창살문양을 활용한 신한복 코트 디자인 개발. 패션비즈니스, 24(3), 121-137. https://doi.org/10.12940/JFB.2020.24.3.121
  21. 횃대보. 문화원형백과. 자료검색일 2022. 4. 13, 자료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734281&cid=49306&categoryId=49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