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ubrene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초

현탁된 산화 아연에서의 $O_2^-$의 광탈착 (Photodesorption of $O_2^-$ on Suspended Zine Oxide)

  • 전동철;한종수;이계수;전학제
    • 대한화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7-50
    • /
    • 1986
  • 산화아연에 흡착된 $O_2^-$의 광탈착이 ZnO-$O_2(N_2)$-rubrene-bromobenzene계에서 연구되었다. 산화아연의 금지대 에너지(3.2eV)보다 큰 에너지를 가진 빛을 계에 조사할 때, 산화아연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변화된 rubrene의 양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3.2eV보다 적은 에너지의 빛을 조사시켰을 때는 산화아연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변화된 rubrene의 양은 감소하였다. ZnO-$O_2$-rubrene-bromobenzene계와 ZnO-$N_2$-rubrene-bromobenze계에서의 변화된 rubrene의 양은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이 사실들로 부터 산화아연에 흡착된 $O_2^-$가 광탈착 과정에서 단일항 산소로 변화하고 변화된 단일항 산소가 rubrene과 반응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청색과 오렌지색 발광재료를 사용한 백색 유기발광소자 제작 및 특성 분석 (The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using Blue and Orange Emitting Materials)

  • 강명구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3권2호
    • /
    • pp.1-6
    • /
    • 2006
  • Two-wavelength에 의한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청색계열의 발광재료 DPVBi와 오렌지계열의 발광재료 Rubrene 물질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소자의 구조는 glass/ITO/TPD$(225{\AA})$/DPVBi/Rubrene/BCP$(210{\AA})/Alq_3(225{\AA})/Al(1000{\AA})$로 하였다. 청색 발광층인 DPVBi와 오렌지색 발광층인 Rubrene층의 두께비율를 변화시켜 가면서 백색광을 구현하였다. 청색발광재료 DPVBi층의 두께가 210${\AA}$ 이고 오렌지색 발광재료의 Rubrene 층의 두께가 180${\AA}$일 때 구동전압 15V에서 $1000cd/m^2$ 휘도와 (0.29, 0.33)의 CIE 색좌표값을 갖는 백색광을 얻었다.

Electroluminescence of a red fluorescent dye doped in an $Alq_{3}$:rubrene Mixed Host

  • Kang, Hee-Young;kang, Gi-Wook;Lee, Chang-Hee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948-951
    • /
    • 2003
  • The electroluminescence (EL) properties were studied in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with a red fluorescent dye, 4- (dicyanomethylene)- 2- tert-butyl-6 (1,1,7,7-tetramethyljulolidyl-9-enyl)- 4H- pyran (DCJTB) doped into tris-(8-hydroxyquinoline)aluminum ($Alq_{3}$), rubrene and the mixed matrix of $Alq_3$ and rubrene. The device with DCJTB doped into the $Alq_{3}$:rubrene mixed host shows an efficient red emission from DCJTB with a negligible EL emission from $Alq_{3}$ and a lower EL onset voltage compared to the device with DCJTB doped into the $Alq_{3}$ only host. The quantum efficiency is almost temperature-independent for the device with the $Alq_3:rubrene$ mixed host. The results indicate that recombination of injected electrons and holes occurs on rubrene and subsequent energy transfer to DCJTB dominates in the device with the $Alq_{3}$:rubrene mixed host.

  • PDF

Rubrene 발광층을 가진 유기발광소자의 전자 포획 메커니즘

  • 권원주;전영표;박성수;김태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2회 동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474-474
    • /
    • 2012
  • 유기발광소자는 다른 디스플레이에 비해 높은 명암비와 색재현성의 장점을 갖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얇은 박막 특성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모바일용 디스플레이 기술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낮은 발광효율, 높은 구동전압 및 전압에 따른 색좌표 변화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효율을 높이며 구동 전압을 낮추기 위해 호스트물질에 다양한 도펀트를 도핑하고 있다. 높은 발광효율을 가지는 도펀트인 5,6,11,12-tetraphenylnaphthacene (rubrene)을 사용한 유기발광소자는 rubrene의 안정된 분자 에너지 레벨로 인해 전자들이 포획되는 현상이 나타나 효율이 감소되는 원인이 규명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rubrene을 발광층으로 사용하여, 전공수송층인 N,N_-bis-(1-naphthyl)-N,N_-diphenyl-1,1-biphenyl-4,4-diamine (NPB)의 두께에 따른 I-V 변화와 전계발광 스펙트럼를 분석하여 두께에 따른 rubrene의 전자 포획를 관찰하였다. rubrene보다 큰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에너지를 갖는 NPB와 에너지장벽으로 낮은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에너지를 갖는 4,7-diphenyl-1,10-phenanthroline을 각각 교차되게 적층한 유기발광소자의 I-V 변화와 전자 전공 재결합층의 위치변화에 따른 전계발광 스펙트럼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 결과는 발광층 내부의 rubrene의 상대적인 위치와 에너지장벽과의 상관관계에 따른 전자 포획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도움 줄 것이다.

  • PDF

Rubrene과 DCM2가 첨가된 적색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발광특성 (Luminescent characteristics of OLED doped with DCM2 and rubrene)

  • 박용규;성현호;김인회;조황신;양해석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39-942
    • /
    • 2001
  • We fabricated Re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OLED). The Basic Device Structure is ITO/hole transfer layer, TPD(50nm)/red emitting layer, Alq3 doped with DCM2 or DCM2:rubrene(xnm)/electorn transfer layer, Alq3(50-xnm)/LiF(0.8nm)/Al(8nm) . The thickness of emitting layer(xnm) changed 5, 10, 20nm. we demonstrate red emitting OLED with dependent on the thickness and concentrators of Alq3 layer doped with DCM2 or co-doped with DCM2:ruberene. The Emission color and Brightness are changed with doping or co-doping condition, dopant concentarton. In the case of rubrene:DCM2 co-doped layer structure, the red color Purity and device efficiency is improved. The CIE index of rubrene co-doped OLED is x=0.67, y=0.31. By co-doping the Alq3 layer with DCM2, rubrene, EL efficiency improved from 0.38cd/A to 0.44cd/A in comparison whit DCM2 doped Alq3 layer.

  • PDF

DPVBi/Rubrene 구조를 사용한 2-파장 방식의 백색유기발광소자의 광학적ㆍ전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White-light-emitting Organic LED with Two-wavelength using DPVBi/Rubrene Structure)

  • 오환술;조재영;최성진;강명구;윤석범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17-222
    • /
    • 2004
  • The white-light-emitting organic LED(OLED) with two-wavelength was fabricated using the DPVBi of blue emitting material and a series of orange color fluorescent dye(Rubrene) by vacuum evaporation processes. The basic structure of white-light-emitting OLED was ITO/NPB(150$\AA$)/DPVBi/Rubrene/BCP(100$\AA$)/Alq$_3$(150$\AA$)/Al(600$\AA$). We analyzed the fabricated device through the changes of the DPVBi and Rubrene layer's thickness. We obtained the white-light-emitting OLED with white color light and the CIE coordinate of the device was (0.29, 0.33) at applied voltage of 13V when the thickness of DPVBi layer was 210$\AA$ and the thickness of Rubrene layer was 180$\AA$. At a current of 100㎃/$\textrm{cm}^2$, the quantum efficiency was 0.35% and at a voltage of 20V, it was 0.405%.

DPVBi/Alg3:Rubrene 구조를 사용한 2-파장 방식의 백색유기발광소자의 발광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uminous Properties of the White-light-emitting Organic LED with Two-wavelength using DPVBi/Alg3:Rubrene Structure)

  • 조재영;최성진;윤석범;오환술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616-621
    • /
    • 2003
  • The white-light-emitting organic LED with two-wavelength was fabricated using blue emitting material(DPVBi) and a series of orange color fluorescent dye(Rubrene) by vacuum evaporation processes. The basic structure of white-light-emitting OLED was ITO/NPB(150$\AA$)/DPVBi(150$\AA$)/Alq$_3$:Rubrene(150$\AA$)/BCP(100$\AA$)/Alq$_3$(150$\AA$)/Al(600$\AA$). The changes of the CIE coordiante strongly depended on the doping concentration of Rubrene and the thickness of NPB layer. We obtained the white-light-emitting OLED close to the pure white color light and the CIE coordinate of the device was (0.315, 0.330) at applied voltage of 13V when the doping concentration of Rubrene was 0.5wt% and the thickness of NPB layer is 200$\AA$. At a current of 100mA/$\textrm{cm}^2$, the quantum efficiency was 0.35%.

Rubrene:CuPc 정공 수송층이 도입된 p-i-n형 유기 박막 태양전지의 성능 특성 연구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p-i-n type Organic Thin-film Photovoltaic Cell with Rubrene:CuPc Hole Transport Layer)

  • 강학수;황종원;강용수;이혜현;최영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5호
    • /
    • pp.654-659
    • /
    • 2010
  • 박막형 유기 태양전지의 효율 향상을 위하여 정공 수송층인 CuPc 층에 p형 유기 반도체인 rubrene을 함량 별로 도핑하여 ITO/PEDOT:PSS/CuPc: rubrene/CuPc:C60(blending ratio 1:1)/C60/BCP/Al의 이종접합구조를 가지는 p-i-n형 유기 박막형 태양전지 소자를 제조한 후, 유기 태양전지의 전류 밀도-전압(J-V) 특성, 단락 전류($J_{sc}$), 개방 전압($V_{oc}$), 충진 인자(fill factor:FF), 에너지 전환 효율(${\eta}_e$) 등을 측정하고 계산하여 성능 평가를 수행 하였다. 정공 수송층으로 사용된 CuPc 층에 rubrene을 도핑함으로써 에너지 흡수 스펙트럼에서 흡수 강도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CuPc 보다 큰 밴드갭을 가지며 높은 정공 이동도를 가지는 결정성 rubrene의 도핑에 의해 제조된 p-i-n형 유기 박막 태양전지의 성능은 향상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조된 유기 태양전지의 에너지 전환 효율(${\eta}_e$)은 1.41%로 실리콘 태양전지와 비교해서 아직도 성능 향상을 위한 많은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

GDI 602/Rubrene을 이용한 황색 OLED의 제작과 특성 분석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Yellow OLED using GDI602:Rubrene(10%) Material)

  • 장지근;김희원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71-75
    • /
    • 2006
  • GDI602:Rubrene(10%) 형광 시스템을 이용하여 황색 발광 OLED를 제작하고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소자 제작에서 ITO/glass 위에 정공 주입층으로 2-TNATA[4,4',4'-tris(2-naphthylphenyl-phenyl-amino)-triphenylamine]를, 정공 수송층으로 NPB[N,N'-bis(1-naphthyl)-N,N'-diphenyl-1,1'-biphenyl-4,4-diamine]를 진공 증착하였다. 황색 발광층으로는 GDI602를 호스트로, Rubrene를 도펀트로 사용하였다. 또한, 전자 수송층으로는 $Alq_{3}$를, 전자 주입층으로는 LiF를 사용하여 $ITO/2-TNATA/NPB/GDI602:Rubrene(10%)/Alq_{3}/LiF/Al$ 구조의 저분자 OLED를 제작하였다. 본 실험에서 제작된 황색 OLED는 562nm의 중심 발광 파장을 가지며, CIE(0.50, 0.49) 색순도, 그리고 10V의 동작전압에서 $2300\;Cd/m^{2}$ 휘도와 0.7 lm/W의 전력 효율을 나타내었다.

  • PDF

유기트랜지스터 내부 편재화 준위간 커플링에 의한 계면 전하이동의 비선형적 가속화 현상의 이해 (Understanding Interfacial Charge Transfer Nonlinearly Boosted by Localized States Coupling in Organic Transistors)

  • 한송연;김수진;최현호
    • 접착 및 계면
    • /
    • 제22권4호
    • /
    • pp.144-152
    • /
    • 2021
  • 유기반도체와 게이트 절연체 간 계면전하이동을 이해하는 것은 고성능 유기메모리, 고안정성 유기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이하 유기트랜지스터)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면 간 전하이동의 특이거동, 즉 홀전하가 유기반도체에서 고분자절연체로 이동되어 편재화되는 것이 편재화 준위간의 커플링에 의해 비선형적으로 가속화될 수 있음을 최초로 밝혀내었다. 이의 규명을 위해 rubrene 단결정과 Mylar 절연체를 기반으로 한 유기트랜지스터를 vacuum lamination 공정으로 제작하여 반도체-절연체 계면의 반복적인 전사와 박리에도 안정적인 소자를 개발하였다. Rubrene 단결정과 Mylar film의 표면을 각각 광유도 산소 확산법과 UV-오존 처리를 통해 결함을 생성시켰다. 그 결과, 계면 간 전하이동과 이에 의한 바이어스 스트레스 효과가 rubrene과 Mylar가 가진 편재화 준위 간 커플링에 의해 비선형적으로 급격하게 가속화되었음을 관측하였다. 특히, rubrene 단결정에 있는 적은 밀도의 편재화 준위가 계면 간 전하이동을 촉진하는데 가교역할을 함을 밝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