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smarinic acid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6초

레몬그라스와 자소엽 추출물의 피부보습 및 피부장벽에 관한 연구 (Skin Hydration and Skin Barrier Effects of Cymbopogon citratus and Perilla frutescens Extracts)

  • 소양강;황지영;김현우;조하늘;이태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25-235
    • /
    • 2019
  • 레몬그라스와 자소엽 추출물은 다양한 생리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피부보습과 피부장벽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까지 연구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레몬그라스와 자소엽 추출물의 피부보습과 피부장벽에 미치는 영향과 페놀성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각 추출물이 피부보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두 추출물 모두 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에서 히알루론산 생성이 많았다. HPLC를 이용한 19종 페놀성 화합물 분석 결과는 레몬그라스 에탄올 추출물(CCE)에서 chlorogenic acid와 p-coumar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자소엽 에탄올 추출물(PFE)에서 rosmarinic acid와 caffeic acid가 검출되었다. 피부보습에 관련된 HAS1, HAS2, HAS3 및 AQP3와 피부장벽에 관련된 filaggrin, loricrin 발현은 PFE보다 CCE에서 높았다. 또한, CCE, PFE 모두 피부보습과 표피분화 조절에 관여하는 $PPAR-{\alpha}$ 단백질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CE의 주요성분인 chlorogenic acid와 p-coumaric acid가 $PPAR-{\alpha}$ 발현을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피부보습과 피부장벽보호 효과에 있어서 CCE가 PFE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고, 두 추출물은 피부보습과 피부장벽개선에 대한 기능성 소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배초향의 생장과 기능성 물질 함량을 고려한 실내재배 적합 최적 품종 선정 (Selection of Optimal Varieties Suitable for Indoor Cultivation Considering the Growth and Functional Content of Agastache Species)

  • 도종원;노승원;복권정;이현주;이종원;박종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02-208
    • /
    • 2020
  • 본 연구는 Agastache 속 여러 종에서 국내 자생지 환경요건에 적합하면서 생육 및 기능성 물질 함량면에서 가장 최적의 종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첫째, 11종의 배초향(Agastache)속 종자를 구입하여 미국 농무성(USDA) 식물 내한성 지도(plant hardiness zone map) 및 국내 식물 내한성 지도를 참고하여 11종에서 생육 및 기능성 분석을 할 5종을 선정하였다. 둘째, 배초향(Agastache) 속 5개 품종인 A. cana, A. foeniculum, A. rugosa 'Spike Blue', A. rugosa 'Spike Snow', A. rupestris에 대해 초장, 엽장, 엽폭, 엽면적, 엽수, SPAD, 지상부 생체중 및 건물중, 지하부 생체중 및 건물중 등의 생육 분석을 실시하였다. 생육 분석 결과, A. rugosa SB 및 A. rugosa SS 종에서 전체적으로 균형 있게 높은 수치를 나타냄을 알 수 있어, 생육 부문에서는 A. rugosa 계통의 품종이 다른 품종에 비해서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셋째, rosmarinic acid, tilianin, acacetin 성분에 대해 단위 중량당 함량 및 식물체 1중당 함량 등의 기능성물질 함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능성 물질 분석 결과, A. rugosa 계통 종에서 기능성 물질 및 항산화물질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이는 생육 결과값과 정비례적인 연계성이 크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배초향(Agastache)속 종에 대한 생육과 기능성 부분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A. rugosa SS 및 A. rugosa SB 등 A. rugosa 계통이 가장 최적의 고부가가치 작물로 적합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Anti-Oral Microbial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osmarinic Acid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MC3T3-E1 Osteoblastic Cells on a Titanium Surface

  • Jeong, Moon-Jin;Lim, Do-Seon;Heo, Kyungwon;Jeong, Soon-Jeo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21-229
    • /
    • 2020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ral microbial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osmarinic acid (RA)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MC3T3-E1 osteoblastic cells on a titanium (Ti) surface during osseointegration, an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using RA as a safe natural substance for the control of peri-implantitis (PI) in Ti-based dental implants. Methods: A disk diffusion tes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RA against oral microorganisms. In order to confirm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A, inflammatory conditions were induced with 100 ng/ml of LPS in MC3T3-E1 osteoblastic cells on the Ti surface treated with or without 14 ㎍/ml of RA.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2 (PGE2) in LPS-stimulated MC3T3-E1 osteoblastic cells on the Ti surface was confirmed using an NO assay kit and PGE2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analysi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expression of interleukin (IL)-1β and tumor necrosis factor (TNF)-α in total RNA and protein. Results: RA showed weak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and Escherichia coli, but no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 bacteria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and the fungus Candida albicans. RA reduced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s, NO and PGE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α and IL-1β, in LPS-stimulated MC3T3-E1 osteoblastic cells on the Ti surface at the protein and mRNA levels. Conclusion: RA not only has anti-oral microbial activity, but also anti-inflammatory effects in LPS-stimulated MC3T3-E1 osteoblasts on the Ti surface, therefore, it can be used as a safe functional substance derived from plants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PI for successful Ti-based implants.

야파(night interruption)처리에 의한 배초향의 항산화 물질 증가 (Increased Antioxidants of Agastache rugosa by the Night Interruption Time)

  • 김성진;노승원;박종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19-324
    • /
    • 2022
  • 본 연구는 식물 공장에서 배초향(Agastache rugosa Kuntze) 재배 시, 야파시간에 따른 생육과 항산화 물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수행하였다. 본엽 4매인 배초향 묘를 백색 LEDs를 이용한 수경재배 시스템에 정식하였다. 야파처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06시부터 광도 200μmol·m-2·s-1 조건으로 시간을 24시간 주기에서 18:1:2:3, 18:2:2:2, 18:3:2:1(명기:암기:명기:암기) 비율로 처리하였으며 대조구는 20:4(명기:암기)로 설정하여 4주간 재배하였다. 엽장과 엽폭, 화아수를 제외하고는 유의적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배초향 지상부의 항산화물질 함량은 tilianin과 acacetin이 높았고, 지하부에서는 rosmarinic acid(RA)의 함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배초향의 건물중당 RA함량은 18:1:2:3과 18:2:2:2에서 대조구보다 47.92, 51.46% 높았고, 건물중당 tilianin과 acactin은 18:3:2:1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야파처리를 하였을때 동일한 누적 광량으로 인해 생육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18:2:2:2의 야파처리가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인공광을 이용한 배초향 재배 시스템에서 야파처리를 통하여 생육 저하 없이 배초향의 항산화 물질 증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osmarinic Acid Inhibits Ultraviolet B-Mediated Oxidative Damage via the AKT/ERK-NRF2-GSH Pathway In Vitro and In Vivo

  • Mei Jing Piao;Pattage Madushan Dilhara Jayatissa Fernando;Kyoung Ah Kang;Pincha Devage Sameera Madushan Fernando;Herath Mudiyanselage Udari Lakmini Herath;Young Ree Kim;Jin Won Hyun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2권1호
    • /
    • pp.84-93
    • /
    • 2024
  • Rosmarinic acid (RA) is a phenolic ester that protects human keratinocytes against oxidative damage induced by ultraviolet B (UVB) exposure, however, the mechanisms underlying its effects remain unclear.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cell signaling mechanisms that regul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A and confirm its cyto-protective role. To explore the signaling mechanisms, we used the human keratinocyte cell line HaCaT and SKH1 hairless mouse skin. RA enhanced glutamate-cysteine ligase catalytic subunit (GCLC) and glutathione synthetase (GSS) expression in HaCaT cells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Moreover, RA induced nuclear factor erythroid-2-related factor 2 (NRF2) nuclear translocation and activated the signaling kinases protein kinase B (AKT) an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Treatment with the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PI3K) inhibitor LY294002, the ERK inhibitor U0126, and small interfering RNA (siRNA) gene silencing suppressed RA-enhanced GCLC, GSS, and NRF2 expression, respectively. Cell viability tests showed that RA significantly prevented UVB-induced cell viability decrease, whereas the glutathione (GSH) inhibitors buthionine sulfoximine, LY294002, and U0126 significantly reduced this effect. Moreover, RA protected against DNA damage and protein carbonylation, lipid peroxidation, and apoptosis caused by UVB-induced oxidative stres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SKH1 hairless mouse skin tissu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A protects against UVB-induced oxidative damage by activating AKT and ERK signaling to regulate NRF2 signaling and enhance GSH biosynthesis. Thus, RA treatment may be a promising approach to protect the skin from UVB-induced oxidative damage.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 추출물로부터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물질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s against Helicobacter pylori from Rosemary (Rosmarinus officinalis L.) Extracts)

  • 윤소정;김진성;조분성;김정환;이선호;안봉전;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3호
    • /
    • pp.159-165
    • /
    • 2011
  • 로즈마리 추출물의 phenol 함량은 25.7 mg/g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Helicobacter pylori 에 대한 항균효과를 측정한 결과, clear zone이 $100{sim}200{\mu}/disc$의 phenol 농도에서 각각 11, 12, 14 mm의 clear zone을 형성하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H. pylori 에 대한 저해효과가 농도 의존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Sephadex LH-20과 MCI-gel CHP-20 column을 이용하여 normal phase type인 $ethanol{\rightarrow}H_2O$와 reverse phase type인 $H_2O{\rightarrow}methanol$로 용액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용출한 결과 H. pylori에 대한 탁월한 저해활성을 나타낸 5종류(compound A~E)의 단일 물질로 분리하였다. 5가지 각각의 물질은 H. pylori에 대한 항균력이 미약하였으나, 2종류 이상의 다중 물질의 항균 시너지 효과에 의해 각각 10~16 mm의 clear zone을 형성하여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fast atom bombardment (FAB)-Mass, $^1H$-NMR, $^{13}C$-NMR과 IR spectrum을 사용하여 구조 동정한 결과 protocatechuic acid, coumaric acid,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및 rosmarinic acid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Antioxidative Constituents from Lycopus lucidus

  • Woo, Eun-Rhan;Piao, Mei-Sha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2호
    • /
    • pp.173-176
    • /
    • 2004
  • Three phenolic compounds, rosmarinic acid (1), methyl rosmarinate (2), ethyl rosmarinate (3), and two flavonoids, luteolin (4), luteolin-7-O-$\beta$-D-glucuronide methyl ester (5) were isolated from the aerial part of Lycopus lucidus (Labiatae). Their structures were determined by chemical and spectral analysis. Compounds 1-5 exhibited potent antioxidative activity on the NBT superoxide scavenging assay. The $IC_{50}$ values for compounds 1-5 were 2.59, 1.42, 0.78, 2.83, and 3.05 $\mu\textrm{g}$/mL respectively. In addition, five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is plant for the first time.

대사체분석 기술을 이용한 들깨 종자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효과 (Analysis of the seed metabolite profil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erilla varieties)

  • 구수연;손예진;박지영;최성길;이명희;김현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93-199
    • /
    • 2019
  • 지방산과 이차대사물질들의 프로파일들을 종합적으로 비교한 결과 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Okdong, Deulsaem, Daesil 품종의 총 페놀화합물과 항산화 활성은 낮았으나 Joim, Yeupsil, Danjo 품종은 지방산과 총 페놀화합물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Yeupsil 품종이 그 중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기름의 함량만으로는 Okdong과 Deulsaem 품종이 우수한 반면 기름 함량과 다양한 건강기능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rosmarinyl glucoside와 rosmarinic acid을 비롯한 기능성 이차산물의 함량도 높은 것을 고려한다면 Yeupsil 품종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어 들기름 뿐만 아니라 들깨가루용으로도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에 지방산 함량과 이차대사물질의 함량이 낮은 것으로 확인된 Dasil, Daeyeop, Saeyeupsil 품종은 식품 가공용 들깨 품종으로는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로즈마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균·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 from Rosmarinus officinalis L. and Their Fractions)

  • 유미희;채인경;정영태;정연섭;김혁일;이인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75-384
    • /
    • 2011
  • 허브류의 하나인 로즈마리를 추출, 분획하여 각 용매별 항산화와 항균효과를 관찰하였다. 로즈마리의 항산화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 및 FRAP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분획물의 $RC_{50}$값이 $3.22\;{\mu}g/ml$로 강력한 항산화능을 나타냈으며, water 분획물을 제외한 나머지 분획물(methanol: $5.05\;{\mu}g/ml$, hexane: $6.28\;{\mu}g/ml$, chlorofrom: $5.32\;{\mu}g/ml$, buthanol: $5.74\;{\mu}g/ml$)에서도 강력한 항산화능을 보였다. FRAP활성 또한 ethyl acetate 분획물이 $5.9{\pm}0.3\;{\mu}M/{\mu}g$의 높은 $Fe^{2+}$함량을 나타났으며 water 분획물을 제외한 나머지 분획물에서 높은 $Fe^{2+}$함량을 나타내어 DPPH radical 소거능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ethyl acetate분획물의 $RC_{50}$값이 $5.05\;{\mu}g/ml$, methanol 추출물의 $RC_{50}$값이 $8.72\;{\mu}g/ml$으로 강력한 항산화능을 나타냈으며 그 외 나머지 분획물들은 DPPH radical 소거능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항산화능을 나타냈다. 로즈마리 단일물질로는 rosmarinic acid, carnosic acid가 DPPH radical 소거능과 FRAP활성에 유사한 경향을 보인 반면 ABTS radical 소거능은 rosmarinic acid만이 $43.16\;{\mu}M$에서 $RC_{50}$값을 나타내었다. 로즈마리의 항균 활성은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한 Inhibition zone과 MIC (최소 저해 농도)를 측정하여 항균력을 알아본 후 hand plate와 resazurin 환원 실험을 통해 항균제와 식품 보존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항균 활성 검색 결과 methanol 추출물과 chloroform 분획물이 S. aureus에 대해서 2.5 mg/disc의 농도에서 inhibition zone이 각각 15.3 mm, 15.5 mm로 높게 나타났으며 E. coli에 대해서 14.3 mm, 13.7 mm로 나타나 강력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MIC는 S. aureaus 균주와 E. coli 균주 모두 methanol 추출물에서 5 mg/ml의 MIC값을 나타내었고 chloroform 분획물은 2 mg/ml에서 MIC값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의 경우 methanol 추출물과 소수성의 hexane, chloroform 분획물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위의 결과를 통해 항균제와 식품 보존제 등의 상품화는 경제적이고 그 활성이 우수한 methanol 추출물의 이용이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판단되어 methanol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균제와 식품 보존제로의 이용 가능성을 측정한 결과 항균제로는 hand plate를 통해 5 mg/ml에서 식품 보존제로는 resazurin 환원 실험을 통해 1 mg/ml에서 이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자소엽(紫蘇葉)의 한약재 표준화 연구 (Analysis of Perilla Frutescens Using Liquid Chromatogram Pattern)

  • 김동우;황귀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1-145
    • /
    • 2006
  • Perilla frutescens is known as the herb helps digestion, tonifies stomachache, and decreases fever in oriental medicine. And it is reported it possess the anti-pyretic effect, anti-inflammatory effect, anti-allergy effect, anti-tumor effect etc. The components isolated from this herb consist of perilla aldehyde, d-limonene, ${\alpha}-pinene$, cyanin, linoleic acid, palmitic acid, menthol, rosmarinic acid and luteolin etc. But there is no effective tools to determine the quality of this herb. In this study, we aimed to analyze the changes of liquid chromatogram pattern, one of major standardization method, to determine the quality of Perilla frutesce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