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uptake

검색결과 348건 처리시간 0.023초

절화장미 수경재배시 배양액의 농도와 pH가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C and pH of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Single-Stemmed Rose in Cutted Rose Production Factory)

  • 이혜진;양은영;박금순;이용범;배종향;전경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58-265
    • /
    • 2004
  • 본 실험은 장미 식물생산공장식 수경재배시 배양액의 EC와 pH와 같은 지하부 환경요인이 장미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배양액의 EC를 $1.0\~3.5dS{\cdot}m^{-1}$로 처리하였을 때 장미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큰 차이가 없어 비료의 사용량을 고려하여 배양액의 농도를 높게 관리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합성률, 증산률 및 생육 등은 $EC\;1.0\~1.5dS{\cdot}m^{-1}$에서 높아 single-stemmed rose수경재배에 있어 최적의 농도임을 알 수 있었다. 배양액의 pH는 pH 3.0과 7.0을 제외한 $pH\;4.0\~6.0$에서 광합성률과 증산률이 높게 나타나 장미는 배양액의 pH를 다른 작물에 비해 낮게 관리하는 것이 생육이나 무기이온 흡수에 있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Characterization of Plant Growth-Promoting Traits of Free-Living Diazotrophic Bacteria and Their Inoculation Effects on Growth and Nitrogen Uptake of Crop Plants

  • Islam, Md. Rashedu;Madhaiyan, M.;Boruah, Hari P.Deka;Yim, Woo-Jong;Lee, Gill-Seung;Saravanan, V.S.;Fu, Qingling;Hu, Hongqing;Sa, Tongm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10호
    • /
    • pp.1213-1222
    • /
    • 2009
  • The search for diverse plant growth-promoting (PGP) diazotrophic bacteria is gaining momentum as efforts are made to exploit them as biofertilizers for various economically important crops. In the present study, 17 diazotrophic strains belonging to eight different genera isolated from rice paddy fields were screened for multiple PGP traits and evaluated for their inoculation effects on canola and rice plants. All of the strains tested positive for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ACC) deaminase activity and production of indole 3-acetic acid (IAA) and ammonia ($NH_3$). Additionally, four of the strains were able to solubilize phosphorus (P), five tested positive for zinc (Zn) solubilization and sulfur (S) oxidation, and eight strains produced siderophores. Based on the presence of multiple PGP traits, 10 strains were selected for inoculation studies. Treatment with Herbaspirillum sp. RFNB26 resulted in maximum root length (54.3%), seedling vigor, and dry biomass in canola, whereas Paenibacillus sp. RFNB4 exhibited the lowest activity under gnotobiotic conditions. However, under pot culture conditions, Paenibacillus sp. RFNB4 significantly increased plant height and dry biomass production by 42.3% and 29.5%, respectively. Canola plants and rhizosphere soils inoculated with Bacillus sp. RFNB6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nitrogenase activity. In greenhouse experiments, Serratia sp. RFNB18 increased rice plant height by 35.1%, Xanthomonas sp. RFNB24 enhanced biomass production by 84.6%, and rice rhizosphere soils inoculated with Herbaspirillum sp. RFNB26 exhibited the highest nitrogenase activity. Our findings indicate that most of the selected strains possess multiple PGP properties that significantly improve the growth parameters of the two plants when tested under controlled conditions.

토양중(土壤中) 비소(砒素)의 행동(行動)과 행동과 수도(水稻) 비소흡수(砒素吸收)에 의(依)한 피해생리(被害生理) 생태(生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Ⅱ. 토양(土壤)에 비소처리(砒素處理)로 인(因)한 수도(水稻)의 비소흡수(砒素吸收) 및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Behaviors of Arsenic in Paddy Soils and Effects of Absorbed Arsenic on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Rice Plant)

  • 이민효;임수길;김복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5-100
    • /
    • 1986
  • 비소(砒素)의 토양처리(土壤處理)에 의한 수도체(水稻體)의 비소흡수(砒素吸收) 정도(程度) 및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양토(壤土)와 사양토(砂壤土)에 수용성(水溶性) 염(鹽)인 $Na_2HAsO_4{\cdot}7H_2O$로 비소(砒素)의 농도(濃度)가 0, 10, 25, 50, 100 및 150 ppm되게 각각(各各) 처리(處理)하여 pot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도수량(水稻收量)은 토양중(土壤中) 비소농도(砒素濃度)가 높아짐에 따라 유의성(有意性) 있게 감소(減少)되었고 토성별(土性別) 유의성(有意性)있는 감소농도(減收濃度)는 사양토(砂壤土)가 2.75ppm, 양토(壤土)가 6.79ppm이었다. 2)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도 토양중(土壤中) 비소농도(砒素濃度)가 높아질수록 유의성(有意性)있게 각각(各各) 감소(減少)되었고 이중 천입중(千粒重)이 가장 높은 상관(相關)($-0.893^{{\ast}{\ast}}$)을 나타내었다. 3) 수도체(水稻體) 비소(砒素)는 대부분(大部分) 뿌리에 축적(蓄積)되어 있고 소량(小量)이 지상부(地上部)로 이행(移行)되었으며 부위별(部位別) 함량(含量)은 뿌리>줄기>엽신(葉身)>엽초>현미(玄米)의 순(順)으로 높았다. 4) 부임입수(不姙粒數)는 토양중(土壤中) 비소농도(砒素濃度)가 높을수록 증가(增加)되었으며 토성별(土性別)로는 사양토구(砂壤土區)가 양토구(壤土區) 보다 더 많았다.

  • PDF

담배가루이 Biotype B와 Q의 약제감수성과 효소활성 비교 (Comparison of insecticide susceptibility and enzyme activities of biotype B and Q of Bemisia tabaci)

  • 김은희;성재욱;양정오;안희근;윤창만;서미자;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20-330
    • /
    • 2007
  • 충북 진천군 이월면 장미재배지와 경남 밀양시 고추밭에서 채집한 담배가루이에 대해서 16S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PCR 산물을 EcoT14 I (Sty I)과 Stu I을 처리한 결과 경남 밀양시 고추밭에서 채집한 담배가루이는 Sty I 에서 555pp와 311bp 두 개의 단편이 만들어져 biotype Q임을 확인하였고, 충북진천군 장미재배지에서 채집한 담배가루이는 Stu I에서 560bp와 3060p 두 개의 단편이 만들어서 biotype B임을 확인하였다. 두 biotype에 대한 12종 살충제로 발육단계별 약제감수성, 침투이행성 및 잔효성을 비교하였고, esterase, acetylcholinesterase (AChE), glutathione S-transferase 등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저해정도를 검토하였다. 두 biotype간에 약제감수성 차이가 있었고, biotype B가 Q보다 더 감수성이었다. 엽면침투이행성과 근부침투이행성 및 잔효성에서도 biotype B가 Q보다 더 감수성이었다. 유기인계인 fenitrothion과 카바메이트계인 fenothiocarb의 저해제에 대해서 esterase, acetylcholinesterase (AChE), glutathione S-transferase등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biotype Q가 B보다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담배가루이 biotype Q가 B보다 약제에 대해서 저항성임을 알 수 있었다.

벼에 있어서 Butachlor 약해(藥害)에 미치는 1, 8-Naphthalic Anhydride 의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 (Antidoting Effect of 1,8-Naphthalic Anhydride on Butachlor Phytotoxicity in Rice)

  • 전재철;황인택;한민숙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69-174
    • /
    • 1985
  • 벼에 있어서 NA에 의한 butachlor의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에 미치는 벼의 파종심도(播種深度)와 butachlor의 처리농도(處理濃度)의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였다. 중경(中莖)은 벼의 기관(器官)중 NA에 가장 민감한 부분(部分)으로, 2~4cm 파종심도(播種深度)에서 NA 처리(處理)와 함께 중경(中莖)의 길이는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지만, 초장(草長), 근장(根長) 및 엽초의 신장(伸長)에서 영향(影響)이 없었다. butachlor 용액(溶液)으로 포화(飽和)시킨 vermiculite에 파종심도(播種深度)를 달리한 벼에서의 butachlor 약해(藥害)는 NA를 사용(使用)함으로써 전파종심도(全播種深度)에서 경감효과(輕減效果)를 얻을 수 있었지만, NA 무사용구(無使用區)의 3~4cm 파종심도(播種深到)에서의 심파(深播)에 의한 약해경감(藥害輕減) 효과(效果)는 얻을 수 없었다. NA를 사용(使用)하면 butachlor 처리농도(處理濃度)의 증가(增加)에 따른 약해(藥害)를 경감(輕減)시킬 수 있지만, butachlor 40 ppmw 처리(處理)로 나타나는 약해(藥害)는 경감효과(輕減效果)를 보이지 안하였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는 NA에 의한 약해경감효과(藥害輕減效果)가 중경(中莖) 신장(伸長)을 감소(減少)시켜 butachlor와의 접촉(接觸) 흡수(吸收)를 적게하는 데에서 기인되는 것이 아님을 나타내었다.

  • PDF

대기 산성 강하물 : 삼림의 질소 포화 (Atmospheric Acid Deposition : Nitrogen Saturation of Forests)

  • 김준호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3호
    • /
    • pp.305-321
    • /
    • 2006
  • 대기 산성 강하물 : 삼림의 질소 포화 한국의 연평균 습성 질소 강하량은 12.78(범위: $7.28{\sim}21.05)\;kgN{\cdot}ha^{-1}{\cdot}yr^{-1}$이고, 이것에 건성 질소 강하량(43%)을 합하여 추정한 총질소 강하량은 18.26(10.41-30.10) $kgN{\cdot}ha^{-1}{\cdot}yr^{-1}$이 된다. 이 질소 강하량은 유럽과 북미 북동부의 질소 강하량과 비슷한 수준이다. 대기 질소 강하량이 많은 온대 삼림은 질소로 포화된다. 질소로 포화된 삼림은 계류수와 토양에 질산이온 ($NO_3^-$)과 질산태질소/암모늄태질소이($NO_{3}^{-}-N/NH_{4}^{+}-N$)의 비가 높아지고, 잎의 질소 농도가 높아지므로 N/P비, N/K비 및 N/Mg 비가 높아지는 것으로 보아 무기 영양소 교란이 일어나며, 상해와 병해에 걸리기 쉬워지고 세근과 근균의 활성이 낮아짐으로써 생산성이 낮아진다. 그러고 혐질소성 종이 호질소성 종에 의하여 대치된다. 질소로 포화된 토양에서는 온실가스인 메탄($CH_4$)의 흡수가 감소되고 일산화질소 (NO)와 아산화질소 ($N_{2}O$)의 배출이 증가되어 지구온난화를 촉진할 수 있다. 이 종설은 한국의 33장소에서 6년 동안 ($1999{\sim}2004$) 측정한 부피가중 연평균 습성 질소 강하량이 삼림의 질소 포화 수준에 달하고, 광릉시험림분수계와 그 밖의 삼림 계류수의 $NO_3$ 유출량으로 미루어 보아 한국의 삼림에 질소 포화의 징후가 나타났음을 제시하며, 문헌 자료를 통해서 외국의 삼림에서 일어나는 질소 포화의 징후를 체계적으로 논하는 데 목적이 있다.

팔레놉시스 생육에 적합한 배양액내 $NO_3^-$$NH_4^+$ 비율 (Optimum Ratio of $NO_3^-$ to $NH_4^+$ in Nutrient Solution for the Growth of Phalaenopsis Hybrid)

  • 이영란;이용범;예병우;이동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29-233
    • /
    • 2010
  • 본 연구는 팔레놉시스의 생육에 적합한 배양액내 $NO_3^-$$NH_4^+$의 비율을 찾고 그리고 그 비율이 화경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배양액내 $NO_3^-$$NH_4^+$의 비율은 100%: 0%, 90%: 10%, 80%: 20%, 70%: 30%였다. 배양액내 팔레놉시스의 생육은$NO_3^-$만을 공급할 때보다 $NO_3^-$$NH_4^+$를 함께 공급할 때 생육이 증가하였다. 특히 $NH_4^+$의 비율이 10%일 때 생체중과 건물중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배양액내 $NH_4^+$의 비율이 10%에서 30%로 증가함에 따라 지상부와 뿌리의 생육은 감소 되었다. 화경의 길이, 개체당 화경수와 소화수 모두 $NH_4^+$ 비율이 0%에서 10%로 증가함에 따라 높았으나 30%로 높아질수록 감소하였다. 즉, 팔레놉시스의 생육에 적합한 배양액내 $NO_3^-$$NH_4^+$의 비율은 90%:10%이었다.

Jasmonic Acid 및 NaCl 처리가 스피아민트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Jasmonic Acid and NaCl on the Growth of Spearmint(Mentha spicata L.))

  • 최영;장매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3-139
    • /
    • 2017
  • 본 연구는 NaCl 및 jasmonic acid(JA) 처리 시 스피아민트(Mentha spicata)의 생육 및 생리적 반응 변화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조구, JA($20{\mu}M$ JA 전처리), JA+NaCl($20{\mu}M$ JA 전처리+ 50mM NaCl), NaCl(50mM NaCl) 처리 등 4처리구로 구분하여 0.5배 Hoagland 용액에서 3주간 수경 재배한 후 생장반응과 엽록소, 비타민 C, 프롤린, 무기물, DPPH 라디칼 소거 항산화 활성 등을 측정하였다. 스피아민트의 초장, 엽장, 엽폭 및 생체중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였고, 특히 NaCl 처리구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반면에 건물중은 JA+NaCl 혼용처리구를 비롯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엽록소 a와 b 함량은 JA 처리구가 가장 높았으나 비타민 C와 항산화 활성 및 지상부의 프롤린 함량은 염 스트레스로 생육이 가장 낮았던 NaCl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온 흡수의 균형 정도를 알 수 있는 K/Na 비율은 JA 단독 처리 시 증가하였고, NaCl처리 및 JA+NaCl 혼용 처리구에서는 $Na^+$ 흡수 증가로 인하여 K/Na 비율이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낮은 염 스트레스나 JA처리 같은 적절한 스트레스 처리가 항산화 활성과 정유를 포함하는 이차대사물질의 축적을 유도함으로써 스피아민트의 품질을 향상시킬 잠재적인 가능성을 보여준다.

수도의 염해와 대책 (Salt Injury and Overcoming Strategy of Rice)

  • 이승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s02호
    • /
    • pp.66-80
    • /
    • 1989
  • Salt injury in rice is caused mainly by the salinity in soil and in the irrigated water, and occasionaly by salinity delivered through typhoon from the sea. The salt concentration of rice plants increased with higher salinity in the soil of the rice growing. The climatic conditions, high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and dry conditions promote the salt absorption of rice plant in saline soil. The higher salt accumulation in the rice plant generally reduces the root activity and inhibits the absorption of minerals of rice plant, resulting the reduction of photosynthesis. The salt damages of rice plant, however, are different from different growth stage of rice plants as follows: 1. Germination of rice seed was slightly delayed up to 1.0% of salt concentration and remarkably at 1. 5%, but none of rice seeds were germinated at 2.5%. This may be due to the delayed water uptake of rice seeds and the inhibition of enzyme activity, 2. It was enable to establish rice seedlings at seed bed by 0.2% of salt concentration with some reduction of leaf elongation. The increasing of 0.3% salt concentration caused to the seedling death with varietal differences, but most of seedlings were death at 0.4% with no varietal differences. 3. Seedlings grown at the nursery over 0.1% salt, gradually reduced in rooting activity after transplanting according to increasing the salt concentration from 0.1% up to 0.3% of paddy field. However, the seedlings grown in normal seed bed showed no difference in rooting between varieties up to 0.1% but significantly different at 0.3% between varieties, but greatly reduced at 0.5% and died at last in paddy after transplanting. 4. At panicle initiation stage, rice plant delayed in heading by salt damage, at meiotic stage reduced in grains and its filling rate due to inhibition of glume and pollen developing, and salt damage at heading stage and till 3 weeks after heading caused to reduction of fertilization and ripening rate. In viewpoint of agricultural policy the overcoming strategy for salt injury is to secure sufficient water source.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s as well as underground drainage is necessary to desalinize more effectively. This must be the most effective and positive way except cost. By cultural practice, growing the salt tolerant variety with high population could increase yield. The intermittent irrigation and fresh water flooding especially at transplanting and from panicle initiation to heading stage, the most sensitive to salt injury, is important to reduce the salt content in saline soil. During the off-cropping season, plough and rotavation with flooding followed by drainage, or submersion and drainage with groove could improve the desalinization. Increase of nitrogen fertilizer with more split application, and soil improvement by lime, organic matter and forign soil addition, could increase the rice yield. Shift of trans-planting is one of the way to escape from the salt injury.

  • PDF

옥수수와 대두의 단작 및 교호작에서 작물의 초형구조와 건물 및 수량생산성 (Response on Canopy Structure, Dry Matter and Yield of Corn and Soydean on Alternative Row Cropping)

  • 홍경식;이호진;유재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57-368
    • /
    • 1987
  • 옥수수와 대두의 단작 및 교호재배시 각 작물 상호간의 교호비율에 따른 이들 작물의 초형구조와 건물 및 수량생산의 변화를 검토하고자 옥수수 단작, 옥수수와 대두의 교호비율이 각각 1 : 1, 1 : 2, 1 :3인 이랑 교호작, 그리고 대두단작의 5가지 재배 양식으로 시험을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옥수수는 대두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간장이 짧아지고 착수고가 낮아졌으며 줄기의 굵기는 굵어졌다. 대두는 옥수수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경장이 길어지고 줄기가 가늘어졌으며 생장후기 도복의 정도가 심해 졌다. 2. 엽면적지수는 교호작에 의해 2∼8% 증가되었으며 지상부 건물중도 다소 늘어났다. 엽면적과 건물중의 수직분포는 교호재배시 중하부의 분포비율이 높아져 보다 고르게 분포되었다. 3. 대두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엽중의 분포비율이 높아지고 엽이외 부분의 비율이 낮아졌다. T/R ratio는 단작보다 교호작에서, 교호작간에는 대두의 비율이 높아질수록 감소되어 식물체중에 근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4. 식물체내 전질소량은 단작에 비하여 교호작에서 교호비율 및 시기에 따라 4∼22% 증가되었다. 그러나 부위별 함량은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5. 타 작물과의 교호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옥수수의 수량구성요소는 증가되었으나 대두의 수량구성요소는 감소되었다. 6. Land equivalent ratio(LER)은 교호재배시 0.96∼1.01로 단작 1.00과 차이 없었으나 예상수량에 대한 실제 수량의 비로 평가할 때, 총질소수량은 1.10∼1.25, 총건물수량은 1.07∼1.12, 그리고 총종실수량은 1. 17∼1.20으로 교호재배에 의해 수량생산성이 높아졌으며 옥수수와 대두의 1 : 1 교호작이 비교적 유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