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les in school violenc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4초

학교폭력 방지를 위한 체육의 역할 제고 (Enhancement of the Roles of Physical Education to Prevent School Violence)

  • 남중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68-377
    • /
    • 2012
  • 최근에 발표된 정부의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에는 체육수업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청소년들의 체력과 건강이 저하되는 교육현실에도 오히려 학교체육은 소외되는 역설적 사회가 지속된 지 오래이다. 과도한 입시경쟁에서 저평가된 체육교과는 학교교과로서의 핵심적 목적을 전인교육에 두고 인성적 측면의 발달을 공식적으로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폭력 방지를 위한 다양한 접근으로써 체육의 역할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그리하여 이 연구는 학교폭력 방지를 위한 체육의 역할을 제고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우선 한국사회에서 학교폭력이 고착화된 이유는 개인적, 가정적, 학교, 지역사회 등의 요인 등과 더불어 압축적 근대성장에 의한 성장제일주의, 경제적 효율성에 기반을 둔 신자유주의 등이 복합적으로 작동된 결과이다. 그만큼 한국사회에서 학교폭력은 고착화된 가치체계와 신념이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심각한 학교폭력의 수준에 불구하고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였다고 볼 수 있어 교육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이데올로기에 대한 평가가 요구된다. 또한 체육의 가치를 통해 체육이 학교폭력을 완화시키거나 방지할 수 있는 정당성 논리가 재발견되는 만큼 학교폭력을 근절시키기 위한 하나의 대안은 학교체육의 정상화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대안은 학교 스포츠클럽의 활성화와 함께 학교폭력관련 프로그램 개발과 체육교사 연수프로그램 운영 등이 동반될 때 보다 근본적인 실천적 대안으로 자리하게 될 것이다.

청소년기 또래관계의 형성을 통한 학교폭력상담의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School Violence Counseling through the Formation of Peer Relationships in Adolescence)

  • 전승혜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4호
    • /
    • pp.55-61
    • /
    • 2020
  • 본 연구는 학교폭력을 해결하기 위한 학교폭력상담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 올바른 또래관계의 형성을 통해 학교폭력을 해결하기 위한 학교폭력상담의 활용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학교폭력상담에서 또래관계는 학교폭력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상담은 우선적으로 피해자를 보호하고 치유해야 한다. 학교폭력상담의 1차적인 목표는 피해자에 대한 배려에서 시작되어 피해자의 올바른 또래관계 형성이 계속되는 데 두어야 한다. 그만큼 또래관계는 중요하다. 둘째, 학교폭력상담 피해자뿐만 아니라, 가해자도 내담자 대상에 포함되어야 한다. 즉, 상담개입 시에 통상적으로 피해자에게만 집중되는 일이 많을 수 있다. 따라서 학교폭력 후에도 또래관계는 계속 지속될 수 있으므로 피해자뿐만 아니라, 가해자에 대해서도 맞춤형 상담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폭력상담은 또래관계의 회복과 삶에 대한 통찰이 중요하다. 따라서 징계나 훈계 위주의 통제적 관점이 아닌, 자기성찰을 통한 반성과 당사자들 간의 관계회복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넷째, 학교폭력에서 또래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활성화해야 한다. 따라서, 학교폭력상담자는 그 역할에 있어서, 정서적 조력자, 문제해결자, 공감배려 문화촉진자로서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현장 요구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최적화시켜야 한다. 결론적으로 학교폭력상담은 기본적으로 또래관계에서 개입되어야 한다. 학교폭력상담은 학교폭력을 근절하기 위해 올바른 또래관계의 형성에 초점을 맞추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하여야 한다.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대한 학교사회복지사의 주관적 인식유형 : Q방법론의 활용 (The Social Workers' Subjective Perception Type on the School Violence of Adolescents : Application of Q-Methodology)

  • 정현태;염동문;임채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384-398
    • /
    • 2016
  •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이용하여 학교사회복지사들이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탐색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Q방법론을 적용하여 청소년의 학교폭력과 관련된 31개의 Q표본을 선정하여 33명의 학교사회복지사들에게 분류표를 작성한 결과 3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제1유형은 '비전문적인식 부모 개선형', 제2유형은 '소극적인식 책임 모호형', 제3유형은 '전문적인식 책임 부재형'으로 명명되었다. 이러한 유형은 전반적으로 학교사회복지사들은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에 대한 전문가로서 직접적인 개입을 원하나 현실적인 개입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학교사회복지사들의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에 대한 주관적 인식은 향후 청소년들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며, 학교에서는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과 유형화를 통한 예방과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다.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에 대한 유효성 검증 - 근본대책을 중심으로 - (Comprehensive Measures the Elimination of Violence in Schools validated - Centered on the fundamental countermeasures -)

  • 정성숙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87-196
    • /
    • 2013
  • 최근 학교폭력이 심각한 사회적 병리현상으로 대두되는 시점에서 2012년 2월 국무총리실 주재로 안전행정부와 교육과학기술부 합동으로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이라는 정책적 안전장치가 마련되었다. 이 정책은 2012년 3월부터 1년간 시범운영을 하게 되었으나, 실효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일각에서는 적지 않게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학교폭력근절종합대책"에 대한 실효성을 검증해 보고자 각 정책항목(근본대책)을 5점 Likert 척도로 설문지를 구성한 후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172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근본대책 가운데, '교육 전반에 걸친 인성교육 실천'에 대한 대책안 총 12개(관련없는 1문항 제외) 가운데, '다양한 예술교육 기회 확대 및 독서활동을 지원'이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인성발달 관련 특기사항 결과를 입학사정관전형, 자기주도 학습 전형에 반영'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가정과 사회의 역할 강화'에 대한 대책안 총 3개 가운데, '범정부적으로 학교폭력 근절을 위해 방송, 언론, 시민단체와 연계하여 연중 캠페인 실시'가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게임 인터넷 중독 등 유해요인 대책'에 관한 대책안 총 7개 가운데, '게임 인터넷 중독 예방을 위한'학생 생활지도 요령'에 따라 단계적으로 게임 인터넷 중독 예방교육 강화'가 평균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인터넷 중독 예방교육에 필요한 다양한 교육용 콘텐츠를 개발하여 현장에 보급'으로 조사되었다.

학교 내 청소년들의 권력관계 양상과 유형 파악을 위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wo Measures (power controllability, power desirability) for Identifying Power Relationships Among the School Youth)

  • 엄명용;송민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2호
    • /
    • pp.255-286
    • /
    • 2014
  • 본 연구는 학교 내 청소년들의 권력관계 유형 파악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척도인 '권력장악가능성'과 '권력장악욕구'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를 목적으로 했다.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던 문항들을 기초로 추가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초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과 초점 집단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개발된 문항의 안면타당도와 내용타당도 확인을 위해 학교교사 및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받았다. 최종 선정된 문항을 갖고 수도권 소재 초 중 고생(N=1,822)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해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확인된 요인구조의 타당화를 위해 별도로 수집된 수도권 중학생 표본(N=333)을 대상으로 타당화 검사를 실시하였다. 타당화 표본을 통해 척도의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산출하였으며 '권력장악가능성'과 '권력장악욕구'를 바탕으로 분류된 권력관계 유형과 학교폭력 현장에서 학생들의 실제 역할 사이의 관련성을 확인함으로써 개발된 척도의 예측타당도를 점검하였다.

  • PDF

한국 교사들의 성역할인지, 성교육요구 및 성교육 의식정도에 관한 조사연구 (The Study of the Recognition of Sexual Roles, the Demand of Sexual Education and the Consciousness of Sexual Education in the Korean teachers)

  • 김영혜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1-146
    • /
    • 1998
  • The study was attempted and executed to reach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period was May 1st through June 15th, 1998 and the subjects were 302 teachers consisting of School Nurses and general teachers in Pusan city. 1) The degrees of recognition of sexual roles by the subjects were compared as follows : The average point as to the recognition of sexual roles in the occupational functions by the school nurses was 2.41,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teachers. The average points as to the recognition of sexual roles in the attitudes by the school nurses was 2.28,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teachers. The average points as to the recognition of sexual roles in the abilitis was 2.26,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teachers. These ascertain that school nurses recognize the man has higher superities in the occupational functions, the attitudes and the abilities than the woman. 2) The degrees of demand of sexual education by the subjects were compared as follows : As to the degrees of demand of sexual education, the school nurses showed higher demand than the general teachers in the concepts such as 'the society and sexualities, physiology and actual education'. 3) The levels of the consciousness of sexual education by the subjects were compared as follows : the general teachers showed the more strict attitudes than the school nurses against the lascivious sex objects and wanted the punishment against the related students and the general teachers have myth. They claimed that their family have no relation with the sexual violence or pornography. As to the masturbation, the general teachers showed the more conservative attitudes. 4) The opinions by the subjects as to the well-qualified person in charge of sexual education in school were compared as follows : 77.3% of the school nurses, and 36.1% of the general teachers supported the school nurses.

  • PDF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가정과교육의 접근 방안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school violence preven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왕석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9-135
    • /
    • 2013
  • 이 탐색적 연구는 문헌고찰에 의한 내용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우리 교육 및 가정과교육의 역할과 임무 수행의 타당성을 주장할 수 있는 논리를 개발하려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우리 교육 및 가정과교육이 학교 폭력 예방을 위해 접근할 수 있는 세가지의 논리가 개발되었다. 첫째, 우리 교육에서 청소년을 학습자라는 소극적 관점으로 제한하지 말고 '생활인'이란 보다 적극적인 관점으로 변화시킨다. 둘째, 우리 교육의 목적의 하나였으나 그 가치가 폄하되어 온 생활역량을 교육의 중요한 가치로 강화한다. 생활역량은 저절로 자연스럽게 경험을 통하여 습득되는 자질이 아니다.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학교폭력 문제는 학습자가 아닌 생활인으로서 청소년이 나타내는 문제이므로 생활역량을 강화하는 교육과정으로 교육을 개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전통적으로 생활인으로서의 다양한 역량 개발에 교과교육의 목적을 두어 온 대표적인 교과는 가정교과이다. 따라서 가정과교육은 우리 교육 전체에서 학교폭력을 예방하는데 가장 중요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교과이다. 생활교과로서의 가정교과는 청소년이 당면한 다양한 생활의 문제 해결을 지원하며, 적응을 넘어서서 삶의 질과 행복한 삶을 성취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갖추도록 하는데 그 본질을 가지고 있다.

  • PDF

중학생의 성에 대한 지식, 태도, 행위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to Sexual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 차은석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57-375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methods to control, regulate and prevent sexual violence and provide guidelines for sex education in middle schoo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factors in relation to sexuality, attitudes toward women, experience of sexual contact, frequencies and kinds of pornography with which they had contact, and sex education. For the data collection, a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5 to October 1, 1997 by using prepared questionnaires.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503 students from three different kinds of middle schools in Seoul, Boys, Girls, and Coeducation schools. The data analyses used a PC-SAS. Each item was examined by frequencies and percentage. To compare Boys with Girls, I applied a T-test. In addition, with the kinds of school type, I applied anANOVA, ${\chi}^2$. Moreover, For investigating and analyzing each category, I categorized knowledge and attitude of sexuality, with precautionary measures of sexual violence. After that I applied T-test, ANOVA, and a Pearson's correlation for each category. The instrume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9 domain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2) 9 questions about the interaction between he/she and his/her parent. (3) 12 questions, concerning A Scale for Attitudes of Adolescents Toward women(AWSA). (4) 26 questions related to sexual knowledge. (5) 25 questions about sexual attitude (6) strategies for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33 questions (7) 5 questions related to sexual behavior (8) the experience of contact with pronography. (9) the experience of sex-education. The major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Like many researches, This study shows that the girls are more eqalitarian than boys. The girls mean ($40.90{\pm}3.67$)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boys ($34.72{\pm}3.77$). Most Koreans have believed that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men's roles and women's ones, because of confucianism which had been implied in most thought and ideas since the Lee dynasty. Therefore, the result is not surprising at all. 2. Most students answered correctly the questions of sexual knowledge. The girl's score was higher ($Mean{\pm}SD$ : $48.88{\pm}2.39$) than the boys' ($Mean{\pm}SD$ : $46.95{\pm}3.90$)(p 0.001). Nevertheless, the hypothesis that sexual knowledge influences sexual attitude and its behavior was rejected. 3. When twenty-five questions were asked about sexual attitude, the girl students investigated were found to have a more propre sexual attitude than that of the boy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boys and girls(p=0.001). The result shows that a person who has more experience in viewing pornography and who smokes will have a more distorted view of sexuality. 4. There are many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of sexual contact. They need to take a sex education program about contraception and prevention of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Systematic and concrete sex education is one way to lead them to proper sexual behavior. 5. Most respondents rejected stereotyped attitudes towards women. Boys, however, were more likely to accept stereotypes of Women. The girl's mean($Mean{\pm}SD$ : $40.90{\pm}3.67$) is higher than the boys($Mean{\pm}SD$ : $34.72{\pm}3.77$)(p=0.0001). 6. Many boys ignored the rules for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A boy or a girl who has more experience of sexual contact over kiss and sex-typed neglected the rules, too(p=0.001). Today, there is increasing juvenile delinquency related to sexuality. This study provided the basic material for a preventive education system. I believe that a systematic and concrete sex education system can be helpful for adolescents and promote their responsibility as well as cultivate morality about sexuality. As a result, juvenile delinquency can be decreased. This study is basically aimed to provide information for a prevenative education system of sexual violence. Further research is recommended to evaluate programs in schools.

  • PDF

한국의 왕따와 예방프로그램 (Korean Wang-ta: Characteristics and Prevention Program)

  • 곽금주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255-272
    • /
    • 2008
  • 세계적인 학교 폭력의 주요 현상인 집단따돌림에 대해 세계 여러 나라에서 이미 1970년대부터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와 비교해 한국의 왕따 연구는 그 역사가 비교적 짧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불링(bullying)과는 달리 고유한 특성을 지니는 한국의 왕따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국의 왕따가 가지는 현상적 특성으로 집단성, 한 번 피해자가 되면 지속적인 괴롭힘에 노출되는 지속성, 가해자의 범위가 일반학생으로 확대되는 일반성이라 할 수 있다. 외부 환경적 특성으로 한국의 교육환경, 부정적인 가정환경, 집단주의 문화가 있다. 또한 왕따 현상에는 그 참여 역할이 중요한데 크게 세 가지의 구조 틀을 가진다. 즉 가해자, 피해자, 가해-피해자 중심의 구조, 가해자와 피해자를 제외한 중간집단(가해지지자, 방관자, 방어자)에 초점을 맞춘 구조, 마지막으로 가해자, 가해조력자, 가해강화자, 방어자, 피해자, 방관자의 참여역할 구조를 통해 각각의 역할에 따른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결과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왕따의 특성을 반영하여, 전 학급을 대상으로 한 방관자 중심의 예방 프로그램과 그 효과에 관해 간략히 설명하고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도시와 농촌 초등학생의 성의식 및 성가치관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ex-consciousness and sexual values between urban and rural elementary schoolers)

  • 노미영;박영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6권
    • /
    • pp.17-3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x-consciousness and sexual values of school children by geographic region. It's specifically attempted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sex-consciousness and sexual values between urban and rural elementary schoolers to help provide efficient sex education for them to build the right sexual valu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0 elementary schoolers in their sixth year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anyang-gun and Chungju city, north Chungcheong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answer sheets from 387 students that were analyzable were analyzed. For data handling, SPSS program was employed, and t-test was utilized to see if there's any differences between the urban and rural elementary school youngsters in sex consciousness and sexual values. And $x^2$ test was used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ir view of sex edu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regarding sex-consciousness, they had general knowledge on sex. Especially, they were highly aware of sexual violence and the generation of baby, but many of them didn't know about where and how egg cells were produced. This indicated that systematic education should be offered in various ways. Concerning geographic ga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ual knowledge between the urban and rural students. As to sexual attitude, they took a relatively positive attitude toward display of affection or sex-related talk on TV or in movies, as they viewed it as natural. This finding implied that the elementary schoolers were recipient toward sex and took an active attitude toward sexual expressions. Concerning geographic gap,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rural and urban students. As for sexual practices, the largest group of the students had a liking for the opposite sex, which showed that their needs for sex were unveiled in the course of having some trouble due to the other sex rather than through firsthand experiences or activities. As to geographic ga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rban and rural students in that regard. Besides, the urban students put their sex-consciousness in practice more often than the rural students did. After they are educated to build the right sexual values, systematic sex-education programs should also be offered for them to be exposed to sustained sex education and to team how to apply their sex-consciousness to real life. Second, as for sexual values, the school children had relatively positive and equalitarian sexual values. Regarding geographic gap, there were significant gaps between the two groups' view of the opposite sex, sexual roles and chastity. Concerning view of the opposite sex, they attached more importance to the inner aspects of the opposite sex than his or her look, and they wanted to date in a natural manner. Regarding sexual roles, they were relatively well cognizant of gender equity and the importance of male and female roles. As to view of chastity, they looked upon sex as natural, not as what's ugly or ashamed of. Third, concerning their outlook on sex education, approximately more than half the students felt the needs for sex educa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rban and rural students. They wanted to receive education about the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and physical changes during puberty the mos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urban and rural students in this aspect. As to the time for sex education, they thought that students should start to be exposed to sex education in their fifth or sixth year. This finding signified that fifth or sixth graders who were in the beginning of puberty started to have a lot of interest in their own physical changes. Therefore, sex education would produce better effects when it's provided to fifth or sixth graders. Nearly half them preferred single-gender class when they received sex education, and there's no gap between the urban and rural students in that regar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