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왕따와 예방프로그램

Korean Wang-ta: Characteristics and Prevention Program

  • Keumjoo Kwak (Department of Psych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08.01.18
  • 발행 : 2008.02.28

초록

세계적인 학교 폭력의 주요 현상인 집단따돌림에 대해 세계 여러 나라에서 이미 1970년대부터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와 비교해 한국의 왕따 연구는 그 역사가 비교적 짧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불링(bullying)과는 달리 고유한 특성을 지니는 한국의 왕따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국의 왕따가 가지는 현상적 특성으로 집단성, 한 번 피해자가 되면 지속적인 괴롭힘에 노출되는 지속성, 가해자의 범위가 일반학생으로 확대되는 일반성이라 할 수 있다. 외부 환경적 특성으로 한국의 교육환경, 부정적인 가정환경, 집단주의 문화가 있다. 또한 왕따 현상에는 그 참여 역할이 중요한데 크게 세 가지의 구조 틀을 가진다. 즉 가해자, 피해자, 가해-피해자 중심의 구조, 가해자와 피해자를 제외한 중간집단(가해지지자, 방관자, 방어자)에 초점을 맞춘 구조, 마지막으로 가해자, 가해조력자, 가해강화자, 방어자, 피해자, 방관자의 참여역할 구조를 통해 각각의 역할에 따른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결과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왕따의 특성을 반영하여, 전 학급을 대상으로 한 방관자 중심의 예방 프로그램과 그 효과에 관해 간략히 설명하고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When observing the subjects and seriousness of Korea's Wang-ta, it is urgent that we know the characteristics of Wang-ta and its condi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definition of Wang-ta, which partly differs from bullying. Also, the phenomenal characteristics of collectivism, the victimization of an individual once stigmatized in the Wang-ta process, the generalization of the Wang-ta process where bullies extend their territory into general students were examined. Moreover,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Korea's school environment, negative house environment, and collective culture were examined. The three general structures in researching Korea's Wang-ta were presented. The first structure consists of a bully, victim, and a bully-victim. The second structure focuses on the certain groups, which consists of followers, outsider, and the defender. The last structure deals with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 roles, which are the bully, reinforcer, assistant, defender, victim, and outsider. Wang-ta prevention programs,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Wang-ta, are presented. Implications on future Wang-ta prevention programs are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은경 (2007). 집단과정으로서의 왕따: 왕따 참여자 역할과 심리적 특성의 관계-공격행동, 사회적 능력, 공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곽금주 (2007). 왕따 (Wang-ta) 현황과 예방 프로그램. 한국정신치료학회 2007년도 제2차 학술연찬회: 자료집, pp.1-12.
  3. 곽금주 (2006 a). 한국의 왕따 및 학교 폭력: 특징과 한국형 예방프로그램. 한국심리 학회연차대회 논문집.
  4. 곽금주 (2006 b). 학교폭력과 왕따의 구조적 특징. 문용린 외(저), 학교폭력 예방과 상담. 서울: 학지사.
  5. 곽금주 (1999a). 학교폭력 및 왕따 예방프로그램(I):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연구, 5(2), 153-168.
  6. 곽금주 (1999b). 왕따에 대한 심리학적 관점. 경희대 교육연구소 주최 심포지엄. 왕따, 학교폭력의 실태와 대처방안, 69-81.
  7. 곽금주 (2000). 또래 간 사회적 관계: 부정적 측면에 관한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3), 77-89.
  8. 곽금주 (2003). 아동 청소년의 규범의식 교육을 위한 심리학적 연구. 법심리학의 문제(최상진.강지원 편저), 13-46, 서울: 학지사.
  9. 곽금주 등 (2005).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KT&G 복지재단 결과보고서
  10. 곽금주, 윤진, 문은영 (1993). 한국청소년 비행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7(1), 12-27.
  11. 구본용 (1997). 청소년 집단 따돌림의 원인과 지도방안. 청소년 상담문제 연구.
  12. 권이종 (2000). 학교 내에서의 집단 따돌림의 발생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 학교내의 폭력을 중심으로-. 청소년학 연구, 7(2), 1-38.
  13. 김석진 (1999). 초등학교 집단따돌림 가해실태와 관련 요인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김석진 (2000). 초등학교 집단따돌림 가해실태와 관련 요인 연구. 한국청소년 연구, 11(1), 111-142.
  15. 김소명, 현명호 (2004). 가정폭력이 집단 괴롭힘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사회인지와 정 서조절을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1), 17-23.
  16. 김연순, 박분희 (2004). 농촌과 도시 아동의 집단따돌림 연구. 아동교육, 13(2), 31-43.
  17. 김영신 (2001). 중학생의 집단따돌림 현상의 정신병리학적 연구. 보건복지부 일반과제 보고서
  18. 김용태, 박한샘 (1997). 청소년 친구 따돌림에 대한 실태조사. 따돌리는 아이들, 따돌림 당하는 아이들. 청소년 대화의 광장.
  19. 김창대 (1999). 따돌림 해결을 위한 가정모델. 따돌림 해결을 위한 현장모델 개발. 제 2회 청소년상담 심포지엄 자료집, 21-33. 서울특별시청소년종합 상담실.
  20. 김현주 (2003). 집단 따돌림에서의 동조집단 유형화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5(2), 103-119.
  21. 박경숙, 손희권, 송혜경 (1998). 학생의 왕따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2. 박남지 (2000). 집단따돌림에 대한 초등학교 아동의 인식연구. 건국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3. 박보경, 도현심 (2002). 아동의 인성특성, 부모에 대한 애착 및 부부갈등과 또래 괴롭힘. 아동학회지, 23(5), 51-65.
  24. 백운학 (1999). 학교폭력과 집단따돌림 현상의 실태와 대응방안. 재활심리연구, 6(1), 223-245.
  25. 안재진, 이경님 (2002). 아동의 개인적 변인과 환경적 변인이 또래에 의한 괴롭힘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2), 9-21.
  26. 이규미 (1998). 상담사례를 통해서 본 왕따현상. 청소년 문제 연구보고서. 서울시 청소년 종합상담실.
  27. 이민아 (1998). 초등학생의 집단 괴롭힘 개입유형과 심리적 특성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8. 이성식, 전신현 (2000). 학교에서의 집단 괴롭힘의 상황요인과 집단역학과정. 한국형사정책학회, 12(1), 155-184.
  29. 이은희, 강은희 (2003). 청소년들의 지배성, 우월감, 자기찬미, 신뢰결핍과 집단따돌림 행동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323-354.
  30. 이희경 (2000). 집단따돌림현상에서 공감수준이 동조와 귀인에 미치는 영향. 교육논총, 16. 한양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31. 이춘재, 곽금주 (1999). 학교에서의 집단 따돌림: 특성 및 실태. 서울: 집문당.
  32. 이춘재, 곽금주 (2000). 집단따돌림 경험 유형에 따른 자기개념과 사회적 지지.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1), 65-80.
  33. 정문성 (1992). 일본대중문화가 한국청소년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일본번역 만화가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11, 19-35.
  34. 전재천 (2000). 초등학생의 집단 따돌림과 부모의 양육태도, 학교적응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35. 조학래 (2002). 중학생 집단따돌림의 실태와 대응방안. 연세사회복지연구, 8, 1-27.
  36. 최은숙 (2000). 집단따돌림 가해, 피해 경향과 관련된 심리적 요인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37. Aber, J. L., Brown, J. L. Chaudy, N., Jones, D. M., & Samples, F. (1996). The evaluation of the resolving conflict creativity program: An overview. American Journal of Prevention Medicine, 12, 82-90.
  38. Bjorkqvist, K., Ekman, K., & Lagerspetz, K. (1982). Bullies and victims: Their ego picture, ideal ego picture and normative ego picture.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23, 307-313.
  39. Boulton, M. J., & Smith, P. K. (1994). Bully/victim problems in middle-school children: Stability, self-perceived competence, peer perceptions and peer acceptance.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2, 315-329.
  40. Cohen, D. & Strayer, J. (1996). Empathy in conduct disordered and comparison youth. Developmental Psychology, 32, 988-998.
  41. Foster, DeLawyer, & Guevremont, (1986), in Hoover, J and Hazler, R (1991). Bullies and Victims. Elementary School Guidance and Counseling, 25(3) 212-219.
  42. Hofstede, G. (1991).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England. McGraw-Hill.
  43. Kaukiainen, A., Bjorqvist, K., Lagerspetz, K., Osterman, C. Salmivalli, C., Rothberg, S., & Ahlbom, A.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ntelligence, empathy, and three types of aggression. Aggressive Behaviour, 25, 81-89.
  44. Kwak, K., Bornstein, M. H., Lee, S., Choi, S., Lee, S., & Lee, M. (2006).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fferent Participant Roles in Korean Bullying (Wang-ta). accepted paper in the biennial conference of SRA.
  45. Kwak, K & Koo, H. (2004). General pictures of wang-ta (South Korean bullying). Unpublished manuscript, Seoul National University
  46. Kwak, K., & Lee, C. (2001). Bullying at school in Korea.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Minneapolis.
  47. Lee, M., Kwak, K., Bornstein, M. H., Choi, S., Lee, S., & Lee, S. (2006). Interpersonal Schemas of Mothers and Peers of Peer Onlookers in Korea. accepted paper in the biennial conference of SRA.
  48. Matsui, T., Kakuyama, T., Tsuzuki, Y., & Onglato, M .(1996). Long-term outcomes of early victimization by peers among Japanese male university students: Model of a vicious cycle. Psychological Reports, 79(3), 711-720.
  49. Mytton, J., & DiGuiseppi, C. (2000). School based prevention programs for reducing violence. Protocol for Cochrane Review. In the Cochrane Library, Issue 4. Oxford: update software.
  50. Newman, D. A., Horne, A. M., & Bartolomcci, C. L. (2000). Bully busters: A teacher's manual for helping bullies, victims, and bystanders. Champaign, IL: Research Press.
  51. Olweus, D. (1978). Aggression in the schools: Bullies and whipping boys. Washington, DC: Hemisphere (Wiley).
  52. Olweus, D. (1984). Aggressors and their victims: bullying at school. In: Frude, N. & Gault, H. Disruptive behaviour in schools. New York: Wiley & Sons. 57-76.
  53. Olweus, D. (1993). Bullying at school: What we know and what we can do. Cambridge, MA: Blackwell. ED 384 437.
  54. Orpinas, P., Horne, A. M., & Staniszewski, D. (2003). School bullying: Changing the problem by changing the school. School Psychology Review, 32(3), 431-444.
  55. Pepler, D., & Craig, W. (1995). A Peek behind the fence: Naturalistic observations of aggressive children with remote audiovisual recording. Developmental Psychology, 31, 548-553.
  56. Pepler, D., & Craig, W. (1997). "Bullying: Research and Interventions" Youth Update. Publication of the Institute for the Study of Antisocial Youth.
  57. Rigby, K., & Slee, P. T. (1991). Bullying among Australian school children: Reported behavior and attitudes toward victims.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1(5), 615-627.
  58. Salmivalli, C., Lagerspetz, K., Bjorkqvist, K., Kaukiainen, A., & Osterman, K. (1996). bullying as a Group ProcessL Participant Roles and Their Relations to Social Status within the Group. Aggressive Behavior, 2, 1-15.
  59. Salmivalli, C. (1998). Intelligent, attractive, well-behaving, unhappy: The structure of adolescents' self-concept and its relations to their social behavior.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8, 333-354.
  60. Sharp, S. (1996). Self esteem, response style and victimisation: possible ways of preventing victimisation through parenting and school based training programmes.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17(4), 347-357.
  61. Smith, P., Morita, Y., Junger-tas, J., Olweus, D., Catalano, R., & Slee, P.(eds.) (1999). The nature of school bullying: A cross-national perspective.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62. Wolke, D., Woods, S., Schulz, H., & Standford, K. (2001). Bullying and victimization of primary school children in south England and South Germany: Prevalence and school factor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2, 673-6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