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iverine area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4초

수변생태벨트 구축을 위한 하천 단절구간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Ecologically Fragmented Section for Restoration of the Riverine Ecobelt)

  • 강형식;이영숙;전승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4B호
    • /
    • pp.383-39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수변생태벨트 조성 사업에 있어서 우선구간을 선정하기 위한 단절구간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대상 하천은 홍천강으로 하였으며, 홍천강 약 96 km를 2 km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A1-P3의 48개 구간에 대한 도상조사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단절 항목은 크게 연결성 및 생태적 기능성 단절로 구분하였으며, 연결성 단절에서는 토지이용 등의 면적 단절과 도로 및 제방 등의 선적 단절로 구분하였다. 또한 생태벨트의 기능성 단절은 기존 연구결과의 일부 항목을 도입하여 크게 하천 수로 및 하상구조, 수림대 및 식생, 하천구조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하여 각각의 세부 항목별 단절 점수를 부여하였으며, 각 단절 항목별 평균하여 이를 등급화 하였다. 그 결과, F1-G2 구간에서 2등급 이상의 연결성 및 기능성 단절 등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구간에서는 연결성 단절이 2등급으로 높지만, 기능성 단절이 3-4등급으로 낮아 복원이 시급한 구간이 아닌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수변생태벨트 조성 등의 하천복원 사업에 있어 대상 하천내 우선 사업구간 선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CO2농도 및 온도 상승이 하천변 잠재자연식생인 졸참나무와 갈참나무 잎의 형태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vated CO2 and Temperature on the Leaf Morphological Responses of Quercus serrata and Quercus aliena,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Riverine)

  • 조규태;김해란;정헌모;유영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71-177
    • /
    • 2013
  • 한반도의 참나무 중 하천변 잠재자연식생인 졸참나무와 갈참나무를 대상으로 지구온난화의 핵심 요소인 $CO_2$농도와 온도를 상승시킬 때 잎의 형태학적 반응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알아보고자 유리온실 내에서 대기 중의 $CO_2$농도를 그대로 반영한 대조구와 이보다 $CO_2$농도는 약 1.6배와 온도는 $2.2^{\circ}C$상승시킨 온난화처리구에서 실험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졸참나무와 갈참나무는 $CO_2$농도와 온도의 상승으로 인하여 잎폭 길이, 잎몸 무게 그리고 엽면적이 증가하고 잎 수와 비엽면적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졸참나무는 잎폭 길이, 잎몸 길이, 잎몸 무게, 잎 수, 엽면적 그리고 비엽면적 모두 대조구와 온난화처리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갈참나무는 잎폭 길이와 잎몸 무게의 증가, 비엽면적의 감소가 뚜렷하였다. 이상의 잎의 형태학적 반응으로 볼 때, 갈참나무는 $CO_2$농도와 온도에 대하여 졸참나무 보다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성분분석 결과, 두 종은 요인 1과 2에 의해 대조구와 온난화처리구에서 배열에 차이가 있었고, 온난화처리에 대한 변화는 졸참나무보다 갈참나무에서 명확히 구별되었다.

CLASSIFICATION OF AQUATIC AREAS FOR NATURAL AND MODIFIED RIVERS

  • Cheong, Tae-Sung;Seo, Il-Won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2권1호
    • /
    • pp.33-48
    • /
    • 2001
  • For the design of suitable aquatic habitats and habitat management purposes, sensitive descriptors for aquatic area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aquatic areas were developed for natural streams and modified streams in Korea. Relationships among the descriptors of an aquatic area such as channel width, meander wave length, and arc angle have been defined. The analysis indicates that the total mean sinuosity is 1.25 for the main channels of natural streams, whereas the mean value of the sinuosity of modified streams is 1.14. The mean values of the total area, the width, and the length for the sandbars of natural streams are larger than those of modified streams.

  • PDF

생태축 연결을 고려한 하천습지의 적정 후보지 선정 방안 (A Selection Methodology of the Appropriate Candidate Sites of Riverine Wetlands for Ecological Connection)

  • 강유진;왕원준;이하늘;이준형;이승민;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1-120
    • /
    • 2023
  • 현재 국내에서는 전국내륙습지 일반조사 및 습지보전기본계획 등의 장기적인 계획을 통해 습지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정책은 습지의 면적, 분포 및 생물다양성 등 현황 파악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습지 생태계를 하나의 유기체로 보존 및 관리하는 것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터, 생물다양성, 서식지 제공, 관광자원 등의 기능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생태축 연결이 가능한 하천습지 후보지 선정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에 있는 우포늪, 화포천습지, 주남저수지 3개의 습지와 생태축 연결이 가능한 후보지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의 15개 표준유역 내에 존재하는 63개의 습지와 7개의 후보지를 대상으로 적지 분석을 수행하였고, 산정된 점수를 이용하여 생태축 연결에 가장 적합한 하천습지 후보지를 선정하였다. 후보지 평가를 위해 9개의 평가요소를 선정하고, 해당 평가요소들에 분위수를 이용한 점수화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우포늪2(호포)가 36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 생태축 연결 가능성이 가장 높은 후보지로 선정되었다. 따라서 우포늪2(호포)가 홍수터, 서식지, 생물다양성 증진 및 관광자원으로서 역할이 가능한 동시에 생태축 연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우리나라 습지 유형별 분류특성에 관한 연구 -내륙 습지를 대상으로- (Classifying and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Wetlands in Korea -Cases on the Inland Wetlands-)

  • 구본학;김귀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25
    • /
    • 2001
  • A wetland is an ecosystem which is the most useful and highly-energetic transition area.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classify and identify the various types of wetlands in Korea.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are 1) defining and classifying of wetlands, and 2) identifying the wetlands characteristics, and 3) studying cases on the natural wetlands such as Han river, DMZ(Demillitarized Zone), Upo wetland and Yong(Dragon) wetland. The results as follows: 1) Development of the indices for identifying and classifying wetlands in encompassing in such as Ramsar Conference, US NWI(National Wetlands Inventory), Hydrogeomorphic system. 2) Development on the classifying method on the wetlands in the level of supersystem, system, subsystem, class and subclass. The systems include Palustrine and Riverine, and the subsystems are Seasonal, Permanent(Palustrine) and Impersistent, Lower perennial, Impersistent (Riverine). 3) Finally, we find out Young wetland is Palustrine/Permanent/Slope/Persistent, and Upo wetland consists of various types of wetlands, those are, Palustrine/Permanent/Depression/Forest Deciduous, Palustrine/Permanent/Depression/Shrub Deciduous, Palustrine/Permanent/Depression/Persistent, Palustrine /Permanent/Depression/Hydrophytes, and Lacustrine/Permanent/Openwater/Hydrophytes. The taxonomy of this study stems from identifying and classifying wetlands with indices mainly based on hydrologic features and substrates. So, it is needed that consequent studies are to be performed with various viewpoints. And the studying cases were limited because of the restricted entrance into the DMZ, And, we selected only 10 crucial sites in Han river as the subject for wetlands regulation and creation. And, for advanced studies, drawing up inventory and mapping are necessary.

  • PDF

원격탐사자료를 활용한 접경지역 지형조사 - 강원도 고성군 송현리 일대를 사례로 - (A Landform Survey in Transborder Region Using the RS Data - In case of Goseong Region, Kangwon Province -)

  • 서종철;박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85-394
    • /
    • 2003
  • 현장 접근이 제한되어 있는 동부해안 접경지역의 지형조사 과정에서 IKONOS 위성영상과 수치지도 등의 원격탐사자료와 현장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지형분류를 시도하였다. 조사결과는 위성영상자료를 활용하여 조사지역 전체를 면사상의 단위지형으로 분류하였다. 조사지역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지형은 해안사주, 해안사구, 석호, 육계사주와 육계도 등으로 구성된 해안지형과 하천습지와 석호, 하구습지 등으로 구성된 습지지형이다. 이 일대의 지형은 규모에 비해 지형요소의 유기적인 안정성이 높아 그 가치가 높게 평가된다.

  • PDF

Simulation of Pesticide Fate and Transport in Drainage Channels

  • Chung, Sang-Ok;Park, Ki-Jung;Christen, E.W.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7권7호
    • /
    • pp.49-56
    • /
    • 2005
  • Contamination in the drainage channels and creeks with pesticides used in agriculture is of a major concern in many countries. In this study the stream pesticide model RIVWQ (chemical transport model for riverine environments) was assessed for its applicability in simulating pesticide fate in drainage channels. The model was successfully calibrated against field data collected on flows and pesticide concentrations for a drainage channel from a small catchment in the Murrumbidgee Irrigation Area of southwestern New South Wales. The effects of different pesticide loading scenarios from farm fields on channel water quality were analysed by the calibrated model. The model simulated the flow rates and the pesticide concentrations in the drainage channel well. The results of the model simulation suggest that the RIVWQ model can be effectively used for predicting pesticide fate in the drainage channels and exposure assessment of pesticide in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새만금지구의 퇴적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dimentation processes in seamangum coastal area)

  • 신문섭;유철웅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199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89-694
    • /
    • 1996
  • 새만금지구의 조류 변화와 만경강, 동진강의 부유사유입의한 퇴적 과정을 알아보았다. 퇴적과정은 새만금지구해역의 조석잔차류와 수온, 염분에 의한 잔차류, 바람에 의한 잔차류성분을 포함한 흐름 성분과 입자의 침강속도를 고려한 3차원 수치실험에 의하여 재현하였다. 계산에서 안정성이 높고, 오차가 축적되지 않고, 복잡한 경계조건에서도 적용이 간단하다는 특성이 있는 Monte Carlo 방법을 사용하여 부유사의 분산, 퇴적과정을 수치실험한 결과와 농어촌진흥공사의 관측결과와 거의 유사하였다.

  • PDF

금강하구 및 인근해역에서 부유퇴적물의 계절적 변동에 관한 연구 (Seasonal Variations of suspended Matters in the Keum Estuary and its Adjacent coastal Area)

  • 최진용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72-280
    • /
    • 1993
  • 한반도 서해중부에 위치하는 금강하구 및 인근 연안역에서 염분 및 부유물함량의 계절적 변화양상을 관측하였다. 금강하구에서 부유물함량은 계절적으로 크게 변하였으 며, 동계에 높고 하계에 낮게 나타났다. 특히 홍수기의 하계에는 담수의 유입이 증가 하여 금강하구에서 염분은 5$\textperthousand$ 미만이었고, 염분이 28$\textperthousand$ 미만의 기수가 인근 연안역으 로 확장하였다. 부유물함량은 금강하구에서 100 mg/l 이상으로 높았지만, 외해에서는 5mg/l 이하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이 홍수기인 하계에 부유물함량이 낮은 것은 금강을 통해 공급되는 육상기원 부유물질의 대부분이 강하구역에 집적되기 때문으로 해석된 다. 금강하구 및 인근해역에서 부유물함량 및 분포양상의 계절적 변동은 한반도 서해 연악역에서 현생 퇴적물의 주기적 퇴적작용으로 해석되었다. 즉, 하계동안 금강을 통 해 공급되는 세립물질은 강하구에 우세하게 집적되며, 동계에는 재부유되어 남쪽방향 으로 운반되는 반복작용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백악기 경상분지의 생성 및 진화에 관여한 지구조운동의 분석과 최하부 낙동층에 대한 퇴적학적 연구 I: 경상분지 서남단 낙동층의 퇴적환경과 기원암, 고수류 분석 (Sedimentological Study of the Nakdong Formation to analyse the Forming and Evolving Tectonics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I: Depositional Setting, Source, and Paleocurrent Analyses of the Nakdong Formation in the Southwestern Gyeongsang Basin)

  • 정대교;김용인
    • 자원환경지질
    • /
    • 제29권5호
    • /
    • pp.639-660
    • /
    • 1996
  • The lowest formation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Supergroup, the Nakdong Formation, unconformably overlies the gneiss complex basement in Hadong, Gyeongsangnam-do and Gwangyang, Chullanam-do. The Nakdong Formation of the study area is 500-600 m thick and occurs as a belt shape. Based upon lithology, sedimentary structure, and bedding geometry the formation consists of three conglomerate facies (Gd, Gn, Gic), five sandstone facies (Sh-n, Sh-i, Sp, Sr, Sm), and four mudstone facies (Mf, Mfn, Mc, Mv). Sandstone facies are the most prominent in the study area. The twelve facies can be grouped into five facies associations. The depositional settings are elucidated from analyses of 12 facies and five facies associations of the formation. The lower part of the Nakdong Formation was deposited in alluvial plain, and the middle and upper parts were in a riverine system. The lithologies of the Nakdong Formation of the Gyeongsang Basin have been considered to consist of generally conglomerates and pebbly sandstones that were accumulated in alluvial fans. But the common lithology of the study area is sandstone which was formed in lower part of alluvial fan or fluvial setting. It is supposed that the coarser sedimentary sequence distributed west to the study area should be eroded out after deposition and early uplift, and the finer sandstone sequence in the east remains behind. The mineral composition of sandstones and the clast composition of conglomerates indicate that the Nakdong Formation was derived mainly from the metamorphic source rocks. Some reworked intraclasts were also supplied from the intrabasinal sedimentary layers. Paleocurrent data collected from cross-beddings, ripple marks, asymmetric sand dune suggest that most sediments were transported from north to south during the Nakdong Formation tim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