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수변생태벨트 구축을 위한 하천 단절구간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Ecologically Fragmented Section for Restoration of the Riverine Ecobelt

  • 강형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 이영숙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 전승훈 (경원대학교 조경학과)
  • 투고 : 2011.04.06
  • 심사 : 2011.05.31
  • 발행 : 2011.08.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수변생태벨트 조성 사업에 있어서 우선구간을 선정하기 위한 단절구간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대상 하천은 홍천강으로 하였으며, 홍천강 약 96 km를 2 km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A1-P3의 48개 구간에 대한 도상조사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단절 항목은 크게 연결성 및 생태적 기능성 단절로 구분하였으며, 연결성 단절에서는 토지이용 등의 면적 단절과 도로 및 제방 등의 선적 단절로 구분하였다. 또한 생태벨트의 기능성 단절은 기존 연구결과의 일부 항목을 도입하여 크게 하천 수로 및 하상구조, 수림대 및 식생, 하천구조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하여 각각의 세부 항목별 단절 점수를 부여하였으며, 각 단절 항목별 평균하여 이를 등급화 하였다. 그 결과, F1-G2 구간에서 2등급 이상의 연결성 및 기능성 단절 등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구간에서는 연결성 단절이 2등급으로 높지만, 기능성 단절이 3-4등급으로 낮아 복원이 시급한 구간이 아닌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수변생태벨트 조성 등의 하천복원 사업에 있어 대상 하천내 우선 사업구간 선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an evaluation method was proposed to determine the restoration section in the riverine ecobelt project. The target river for this study is the Hongcheon river in Kangwon-do. The Hongcheon river of 96 km was divided longitudinally into subsections of 2 km. The analysis through map and aerial photograph as well as field surveys were performed in 48-sub-sections. The fragmentation items were classified into connectivity and ecological functionality. The connectivity fragmentation was also divided into two items: the area discontinuity of the land use and the line discontinuity of river bank and road. Also, the ecological functional fragmentation was evaluated by using the items of river channel, river bed, vegetation, and the obstruction of river flow. These items was modified from those in the previous literature. From map analyses and field surveys, the fragmentation score was kept with each items in 48 sub-sections of Hongcheon river. The fragmentation rate was made from the total score in each se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ections from F1 to G2 was evaluated to have high rates of all connectivity and functionality fragmentation of 1st or 2nd rate. Other sections have high connectivity fragmentation of 2nd rate, but low functional fragmentation. Thus, these sections are evaluated to be excludible in restoration site. This study seems to make a contribution to evaluate the fragmented sections for the riverine ecobelt project.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환경과학원(2009)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
  2. 김기흥(2009) 하천정비에 의한 하천의 물리적 교란 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제12권 제3호, pp. 83-97.
  3. 김동찬, 박익수(1999) 생태환경복원을 위한 하천자연도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한국조경학회, 제17권 제3호, pp. 123-134.
  4. 이상호(2000) 안양천의 자연형 하천 설치 구간 선정을 위한 하천 평가 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5. 조용현(1997) 생태적 복원을 위한 중소하천 자연도 평가방법 개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6. 한강수계관리위원회(2007) 한강수계 수변구역 관리 기본계획 연구 용역 보고서.
  7. 환경부(2009) 수변생태구역 조성 및 관리 방안 연구(II).
  8. Bentrup, G. (2008) Conservation buffers: Design guidelines for buffer, corridors, and greenway, United States Department of Ggriculture, Forest Service, Southern Research Station.
  9. Fry, J., Steinerm, F.R., and Green, D.M. (1994) Riparian evaluation and site assessment in Arizon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 28, pp. 179-199. https://doi.org/10.1016/0169-2046(94)90007-8
  10. Leopold, L.B. (1969) Landscape aesthetics. in Coast, D.R.(ed.), Landscape Assessment Stroudsberg, Penn. Down Hutchinson & Ross, pp. 46-58.
  11. National Rivers Authority (1992) River corridor surveys, methods and procedures, Conservation Technical Handbook, No. 1, NRA, Bristol.
  12. USDA (1999) Stream Visual Assessment Protocol, National water and climate center technical note.